• 제목/요약/키워드: Warship M&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1초

강화 및 진화 학습 기능을 갖는 에이전트 기반 함정 교전 시뮬레이션 (The Battle Warship Simulation of Agent-based with Reinforcement and Evolutionary Learning)

  • 정찬호;박철영;지승도;김재익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5-73
    • /
    • 2012
  • 함정 전투체계는 무기체계, 정보통신 등의 기술 발전으로 인한 복잡한 전장 환경에 따라 인간이 개입하여 다양한 전술을 운용해야 한다. 따라서 에이전트 기반의 국방 M&S 시스템의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에이전트 기반 M&S 시스템은 고정된 전술을 적용하여 분석하는데 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함정 교전에서 보다 적합한 대응을 찾기 위해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강화 학습 기능을 갖으며, 또한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세대별 진화 학습 기능을 갖는 에이전트 모델링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타당성 검증을 위해 서해상에서 벌어지는 가상의 1:1 함정교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함정 교전에 있어 강화 및 진화 학습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계층구조적 다중에이전트를 이용한 다대다 함정전투 M&S 시스템 (Multi-Platform Warship M&S System Using the Hierarchical Multi-Agent System)

  • 정찬호;유용준;류한얼;이장세;김재익;지승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17-125
    • /
    • 2009
  • 최근 들어 지능 에이전트를 이용한 국방 M&S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시스템들은 아군과 대항군을 대신하는 에이전트의 수준이 스크립트 기반에 불과하기 때문에 개별적 행위 등을 묘사할 수는 있으나, 고도의 전술운용이나 다양한 전장 환경과 같은 사실적인 표현을 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정보장교, 함장 및 함대사령관 등 역할에 따라 지능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계층구조적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위해 다중에이전트 구조를 갖는 2:2 함정전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지능적이고 실질적인 다양한 전술적 행위를 묘사할 수 있었다.

진화론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다대다 함정교전 전술 생성 방법론 (Many-to-Many Warship Combat Tactics Generation Methodology Using the Evolutionary Simulation)

  • 정찬호;류한얼;유용준;지승도;김재익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79-88
    • /
    • 2011
  • 함정 전투체계는 무기체계, 정보통신 등의 기술 발전으로 인한 복잡한 전장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술을 운용해야 한다. 현재 운용되는 국방 M&S 시스템은 의사결정을 위해 운용자, 즉 인간의 개입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인간이 개입되는 시뮬레이션은 실시간 정도의 저속에서 가능하고, 반복적인 실험의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에이전트 기반의 국방 M&S 시스템의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에이전트 기반 M&S 시스템은 고속 시뮬레이션은 가능하지만, 고정된 전술 분석용으로 활용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시나리오에 대한 고속의 반복적인 실험 및 다양한 전술 운용과 창발적 전술 생성을 위해 진화론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다대다 함정교전 전술 생성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타당성 검증을 위해 서해상에서 벌어지는 가상의 3:3 함정교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창발적 전술 생성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대 잠수함 HVU 호위 임무 분석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Modeling and Simulation for Anti-submarine HVU Escort Mission)

  • 박강문;이은복;신석훈;한승진;지승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75-83
    • /
    • 2014
  • 함정 전투체계는 각종 센서 및 무장을 포함한 플랫폼들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 운용자의 개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중 에이전트 기반의 M&S(Modeling and Simulation) 기술이 도입되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다중 플랫폼간의 높은 임무 복잡도를 필요로 하는 대 잠수함 전투에 있어서는 M&S 시스템을 통한 전술에 관한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에이전트 기반의 M&S 기술을 대 잠수함 전투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함정, 잠수함, 헬기 등 다수의 플랫폼을 에이전트 기반으로 모델링함으로써 HVU(High Value Unit) 호위 임무를 위한 모델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전장상황에 대한 다양한 전술 효과도를 분석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조건별 최적의 전술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방 관계자들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도입하여 상세한 모델 변수값들을 대입한다면 보다 실질적인 대 잠수함 전술 효과도를 분석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함정전투 시뮬레이션을 위한 HEAP 기반 지능 에이전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EAP-based Intelligent Agent applied to Warship Combat Simulation)

  • 유용준;지승도;김재익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81-289
    • /
    • 2010
  • 기존의 국방 M&S 시스템에서의 에이전트는 계급과 역할에 따른 계층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지만, 상하위 에이전트는 동일한 속성을 보유함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특징이 없고, 에이전트의 의사결정 수준은 스크립트 기반 또는 유한 상태 기계 기반으로서 주변 환경의 변화에 기계적으로 반응하는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기존 에이전트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HEAP (Hierarchical Encapsulation and Abstraction Principle) 기반의 지능 에이전트를 제안한다. HEAP 기반의 지능 에이전트는 엔진베이스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여 엔진모델과 지식베이스 모델을 분리시킴으로써 모델링이 용이하고 시스템의 모듈화와 추상화를 보다 유연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함정전투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Ni-Cr-Mo-V 내열강의 마찰마모 특성 연구 (A Study on Tribological Characteristics for High Temperature Alloy Steel with Ni-Cr-Mo-V)

  • 임호기;배문기;김태규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284-291
    • /
    • 2016
  • High temperature alloy steel such as Ni-Cr-Mo-V material has excellent properties of high strength and high heating resistance. It has been used for several military weapon components such as gun barrel of a warship, turbine rotor and turbine disk for nuclear power plant. Being curious about this material required excellent wear resistance and durability in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A dry wear test at the ambient air and Ar gas conditions in the room temperature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What's more a lubricant wear test at different temperature was conducted. In addition that DLC was coated on Ni-Cr-Mo-V alloy steel substrate with a thickness of $3{\mu}m$, a property of it was compare with lubricant conditions. All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wear volume, comparing with DLC coated specimens. The test parameters were selected as follows: 10 N for normal load; 80 rpm for sliding wear speed; and 300 m for the sliding wear distance.

해양레저 안전을 위한 개인 휴대용 전자장치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 Hand-held Electronic Devices for Marine Leisure Safety)

  • 임정빈;남택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57-362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안전한 해양레저 행위를 지원하기 위한 두 가지 개인 휴대용 전자장치 개발 내용을 기술한다. 하나는 조난자를 신속히 민-관-군 동시 다발적으로 수색하기 위한 선박용 9GHz 대역의 일반 레이더 전파에 응답하는 레이더 응답장치이다. 다른 하나는 조난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식별할 수 있는 900MHz 스펙트럼 확산 주파수 홉핑 방식의 송수신기와 GPS를 이용한 해상 무선식별장치 개념의 전자장치이다. 해양경찰 함정을 이용한 해상에서의 다양한 현장실험을 통하여 두 가지 장비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향후 상용화 방안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콘테이너선의 불규칙파중 갑판침수에 관한 실험적 고찰 (Experimental Study on the Deck Wetting of a Container Ship in Irregular Head Waves)

  • 홍사영;이판묵;공도식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1-39
    • /
    • 1990
  • 불규칙 해상을 항해하는 선박이 겪게 되는 갑판침수 현상은 의장품 및 갑판화물의 손상과 승무원의 활동제한 등을 초래하여 선박의 성능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며 거친 해상에서의 잦은 갑판침수는 전복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거친해상에서의 작업이 요구되는 군함이나 갑판에 화물을 적재하게 되는 콘테이너선 등은 설계시 갑판침수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수부 현상이 고안되어야 한다, 갑판침수 현상은 현상자체의 비선형성 및 희귀성으로 인해 이론적 추정이 난점이 있으므로 설계목적의 갑판침수 현상해석은 주로 모형시험에 의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용량식 파고계의 원리를 이용한 갑판침수계측 시험방법을 소개하였으며, ITTC 내항성분과 표준모형선인 S-175 고속콘테이너선의 1/43.75 모형으로, 유의파고 7.88m, 평균주기 10.5초의 선수파 해상상태에서 Froude수 0.15와 0.275의 두 조건에 대해 갑판침수계측 시험을 수행하였다. 계측시험 결과를 통계적 관점에서 고찰하였고 Rayleigh 분포의 가정에 따른 Ochi의 갑판침수계산 공식에 의한 계산결과로 비교하였다.

  • PDF

해양 환경 변화에 따른 유전 알고리즘 기반의 대잠전 전술 생성에 관한 연구 (Tactics Generation about Anti-submarine using Genetic Algorithm through Oceanography Environmental Change)

  • 박강문;신상복;김선재;황재룡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62-368
    • /
    • 2018
  • 해상에서 잠수함을 마주하는 급박한 상황에서 올바르게 상황을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지휘관의 잘못된 판단으로 한순간에 아군을 전멸로 몰고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급한 상황에서 인간 지휘관을 대신하여 적합한 전술을 생성하고 효과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에 지능 에이전트와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함정 및 잠수함에 추론엔진 기반의 에이전트를 적용하고, 각 에이전트에 유전 알고리즘 기반의 규칙을 적용하여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하여 최적의 전술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간단한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적 잠수함의 성능에 따른 아군의 위험도를 분석해보고 그에 따른 적합한 전술을 유전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생성하였다. 또한 생성된 전술들에 대해서 평가해 보고 왜 그런 결과가 나오게 되었는지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