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rming effect

검색결과 559건 처리시간 0.034초

지중가온시설을 이용한 고구마뿌리흑선충 방제 (Control of Root-Knot Nematode(Meloidogyne incognita Chitwood) by Root Zone Warming System)

  • 신용습;연일권;최성국;최부술;이우승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9-143
    • /
    • 1998
  • 지중가온시설을 이용한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Chitwood) 방제를 위하여 지하 20cm 깊이의 최저지온을 각각 30. 40, $50^{\circ}C$ 가온구 및 관행의 무지중가온구로 설정하고 담수구와 무담수구로 나누어 8월 1일부터 8월 5일까지 5일간 가온한 결과, 담수구의 경우 지온 4$0^{\circ}C$에서 5일간, 무담수구의경우 지온 $50^{\circ}C$에 5일간 지중가온처리한 구에서 생존한 유충이 발견되지 않아 선충밀도를 경제적 피해수준 이하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지중가온으로 토양내 OM. P$_2$ $O_{5}$, Ca, Mg함량과 EC는 시험전 토양에 비하여 감소하였는데, 특히 담수처리에서 EC가 현저히 저하하였다.

  • PDF

태양열을 이용한 시설재배 지중변온가온의 토양 온도특성 연구(2) - 지중변온가온의 단위면적당 소요에너지 - (Study on Temperature Variation by Greenhouse Soil Warming System Using Solar Thermal Energy (2) - Required Energy per Unit Area for Soil Warming -)

  • 김진현;김태욱;나규동;김태수;김은태;정석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5권1호
    • /
    • pp.46-52
    • /
    • 2010
  • The temperature of root zone was known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growth of crops and reduction of energy in greenho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apposite inflow of calories per the unit area by comparison of temperature in the warmed and non-warmed soil. The energy needed for soil warming about pipe length showed the change of temperature on inflow and outflow as $2^{\circ}C{\sim}3^{\circ}C$(average $2.5^{\circ}C$). Therefore, the inflow per the unit hour was 3,450, 57,5 kcal/$h{\cdot}m^2$ on soil heating respectively. The non-warmed soil temperature in greenhouse made a difference by depth and it was partially affected inner temperature under 15 cm, but it was not above 15 cm. The soil temperature would be raised over $5^{\circ}C$ than non-warmed soil to increase effect of soil warming. Therefore, the inflow per the unit area that should be provided was about 100 kcal/$h{\cdot}m^2$.

대하치료(帶下治療)에 사용(使用)되는 온이약(溫裏藥)이 질내(膣內) 미생물(微生物)에 미치는 영향(影響)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interior warming herbs on vaginal microbe)

  • 이진무;이창훈;조정훈;장준복;이경섭;박준홍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4-138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interior warming herbs on vaginal microbes. Methods: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and Gardnerella vaginalis were used for vaginitis-induced microbes. Lactobacillus gasseri, Streptococcus spp. and Escherichia coli HB101 were used for normal vaginal florae. And herbs for warming the interior (Zingiberis Rhizoma, Alpiniae Officinari Rhizoma, Aconiti Tuber, Anethi Fructus, Evodiae Fructus, Cinnamomi Cortex Spissus, Caryophylli Flos, Aconiti Tube, Zanthoxyli Pericarpium, Piperis Longi Fructus, Piperis Nigri Fructus) were used in this study.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tested by the change of optical densities (OD) and colony test in vitro. Results: In the results of vaginitis-induced microbes, Anethi Fructus was decreased the OD values on MRSA and Gardnerella vaginalis and Aconiti Tuber was decreased on MRSA. There were no viable MRSA and Gardnerella vaginalis colony forming against Evodiae Fructus, Staphylococcus aureus and MRSA colony forming against Piperis Longi Fructus, Staphylococcus aureus colony forming against Piperis Nigri Fructus and MRSA colony forming against Zanthoxyli Pericarpium. In the results of normal vaginal florae, Zingiberis Rhizoma was decreased the OD values on Streptococcus spp. and all normal vaginal florae were showed viable colony forming against all experimental herbs.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can suggest that some kinds of interior warming herbs have antimicrobial effects on vaginal microbes. So there might be needed to make furthermore studies to seek the herbs which have selective antimicrobial effect on pathologic vaginal microbes.

  • PDF

지구온난화가 국내 건설 공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the Global Warming in Domestic Construction Schedules)

  • 채희만;조성우;양창현;손치수;김경환;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67-570
    • /
    • 2007
  • 최근의 이상기후현상은 지구온난화에 의한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모든 산업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후변화를 겪고 있으며, 건설 산업 또한 이러한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러나 아직까지 건설 분야에서 이와 관련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 하고 현재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구온난화가 건설업에 미치는 영향 중 건설공기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작업불능일의 변화추이를 살펴볼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지구온난화가 건설 공기에 미치는 영향의 일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기후와 함께 변화하는 국내 건설 산업의 미래를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열수지 자료 해석에서 드러난 중학생의 복사 평형,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에 대한 이해 (Assessing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Radiative Equilibrium, the Greenhouse Effect, and Global Warming Through Their Interpretation of Heat Balance Data)

  • 정수임;유은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70-788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화를 이해하고, 이를 지구 복사 평형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기권과 날씨' 대단원 수업을 완료한 중학교 3학년 11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복사 평형,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에 대한 선택형 및 서답형으로 구성된 학생 이해 온라인 평가를 2021년 7월 13일부터 7월 24일까지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97명의 학생 응답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과반수(61.9%)가 넘는 학생들이 복사 평형의 의미를 옳게 기술하였으나 제시된 자료와 무관하게 사전 지식이나 구체적 사례를 들어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의 학생들(92.8%)은 대기가 있는 지구에서 온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온실 효과를 복사 평형이 깨진 상태로 생각하는 경향이 높았으며(32.0%), 달과 지구 모두 복사 평형이 일어난다고 응답한 학생(47.4%)은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온실 효과의 원인으로 대기의 재복사를 찾아낸 학생은 다수(69.1%)였으나, 지구로 입사한 태양 복사량보다 방출한 지표 복사량이 더 크다고 응답한 학생은 소수(39.2%)에 불과하였다. 또한 절반 정도의 학생들(49.5%)이 온실 기체의 증가와 대기 흡수, 이로 인한 지표로의 재복사의 관계를 잘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온실 기체가 증가할 때, 지표 방출에 대해서는 증가(14.4%), 일정(9.3%), 감소(7.2%), 무응답(18.6%)으로 의견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복사 평형,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는 지구계의 균형과 상호작용이라는 빅 아이디어로 연결된 커다란 하나의 의미망이므로 학생들이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를 이해하고 적용하고 해석하는 개념 체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인류에 닥친 기후 변화 위기와 관련해 학생들이 정확한 이해에 근거하여 과학적으로 사고하고 과학적 개념을 정립할 수 있도록, 정교한 프로그램 개발과 수업 경험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점검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lobal Warming Index and Its Two Main Causes (space weather and green house effects) from 1868 to 2005

  • Moon, Yong-Jae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8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7권2호
    • /
    • pp.24.2-24.2
    • /
    • 2008
  • We have examined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representative space weather proxies (geomagnetic aa index) to global warming (Global temperature anomaly) and compared them with that of green house effect characterized CO2 content from 1868 to 2005. For this we used Hadcrut3 temperature anomaly (Ta) data, aa index taken at two anti-podal subauroral stations (Canberra Australia and hartland England), and the CO2 data come from historical ice core records.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a and aa index, we found several interesting results: (1) the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wo parameters increases until 1990 and then decreases rapidly, and (2) the scattered plots between two parameters shows different patterns before and after 1990. A partial correlation of Ta and two quantities (aa, CO2) also shows that the geomagnetic effect (aa index) is dominant until about 1990 and the CO2 effect becomes much more important after the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green house effect become very important since at least 1990. For a further analysis, we simply assume that Ta (total) = Ta (aa) + Ta (CO2) and made a linear regression between Ta and aa index from 1868 to 1990. A linear model is then made from the linear regression between energy consumption (a proxy of CO2 effect) and Ta (total) - Ta (aa) since 1990. This linear model makes it possible to predict the temperature anomaly in 2030, about 1 degree higher than the present temperature, which is much larger than in the previous century.

  • PDF

비메탄계 휘발성유기화합물에 의한 간접 온실효과의 산출 (Estimation of Indirect Greenhouse Effect by Non-methane Volatile Organic Compounds)

  • 최은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5-179
    • /
    • 2012
  • Indirect $CO_2$ effect due to non-methane volatile organic compound (NMVOC) emissions from solvent and product use and fugitive NMVOC emissions from fuel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13 Annex I countries under United Nations Framework on Climate Change were estimated and the proportions of them to total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anged from 0.092% to 0.45% in 2006. Indirect greenhouse effect ($CO_2$, $CH_4$, and $O_3$) were estimated at 13 photochemical assessment monitoring sites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concentrations of 8 NMVOCs of which indirect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were available. The contribution of toluene to mixing ratio was highest at 11 sites and however, the contribution of toluene to indirect greenhouse effect was highest at nine sites. In contrast to toluene, the contributions of ethane, butane, and ethylene were enhanced. The indirect greenhouse effects of ethane and propane, of which ozone formation potentials are the lowest and the third lowest respectively among targeted 10 NMVOCs, ranked first and fourth highest respectively. Acetaldehyde has relatively higher maximum incremental reactivity and is classified as probable human carcinogen however, its indirect GWP ranked second lowest.

미기상규모 영역의 온실기체 승온효과에 관한 수치연구 (Numerical Study on Warming Effect Due to Green House Gas in Microscale Atmospheric Domain)

  • 이순환;서광수;김동희;황수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03-315
    • /
    • 2004
  • The change of land use such as the construction of way in mountainous area and tunnel leads to the quantitative change of the greenhouse gas. This study tried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change of land use around Miryang Ice Valley on thermal environment of micro-meteorological scale by numerical experiment. We carried out several numerical experiment under different atmospheric conditions with different amount of greenhouse gases. Heating rate increased by the greenhouse gas in the ground level is average of 0.0073 K/day. And the increasing rate if smaller than the daily average heat crossing quantity.

배기열 회수장치 적용에 따른 SI 엔진의 웜업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rm-up Performance on SI Engine with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 박경석;서호철;박선홍;김인태;장성욱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53-60
    • /
    • 2011
  • The effect of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can be evaluated by two well known method. First method is to measure the time duration from engine start under cold coolant temperature till coolant get warmed. By this methodology coolant warming duration can be index of warm-up effect. Second method is to analyze heat balance of the engine during warm-up phase under steady engine operation so that wasted energy by losses such as cooling and exhaust can be index of warm-up effect. This study focused on evaluation of warming-up effect by both methodology above mentioned using 2L SI engine under from idle to 2000rpm steady condition. Results, idle operation showed low heat recovery efficiency but under higher engine speed condition, remarkable heat recovery efficiency improvement was observed. In 2000rpm steady condition, warm-up duration of engine is decreased by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적외선등을 이용한 실외 실험적 온난화 처리에 따른 소나무와 전나무의 종자 발아 및 유묘 생존율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Survival Rate of Pinus densiflora and Abies holophylla in Open-field Experimental Warming Using the Infrared Lamp)

  • 조민석;황재홍;양아람;한새롬;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203-210
    • /
    • 2014
  • 본 연구는 지구 온난화와 관련한 대응 대책 마련을 위해서 대기 온도 상승에 따른 주요 침엽수의 종자 발아 및 발아 후 유묘의 생존율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소나무와 전나무를 대상으로 적외선등을 이용하여 대조구 보다 온난화 처리구의 대기 온도를 $3^{\circ}C$ 높게 유지하는 실외 실험적 온난화 처리를 실시하였다. 온난화 처리에 따른 대기 온도 상승으로 두 수종 모두 발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전나무에서만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소나무와 전나무 두 수종 모두 온난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평균발아일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온난화 처리구에서 높은 발아속도와 발아세를 보였다. 온도 상승과 토양 수분 감소에 따라 전나무 유묘의 고사율은 증가하였지만, 소나무는 온난화 처리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향후, 지구 온난화에 따른 대기와 토양 온도 상승 및 토양 수분감소로 양묘과정에서 종자 발아 및 유묘 생존율의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에 대응할 수 있는 양묘기술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