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rm climate seaso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6초

방울토마토의 수경재배시 외형형질의 비파괴적 추정 (Non-Destructive Estimation of External Quality of Cherry Tomato Fruits by Hydroponics)

  • 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2-57
    • /
    • 1994
  • 방울토마토의 수경재배시 과실의 외형형질을 비파괴적으로 추정하고, 이를 검정하였다. ‘Chelseamini’와 ‘뽀뽀’에 비해 ‘Minicarol’의 외형상의 크기(과장, 과폭, 과중, 과실부피)가 특히 작았다. 토마토 과실의 외형형질 간에는 고도의 상관이 인정되어 과실의 생장은 길이생장과 부피생장과 균형있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의 체적 및 무게는 다음 식으로 추정 가능하였다. 과실의 체적=0.071$\times$(과장+과폭)$^3$+0.451, 과실의 무게 =0.072$\times$(과장+과폭)$^3$+0.542. 1993-1994년에 수확한 과실도 이 식으로 설명되었다.

  • PDF

무공해 자동차용 수열원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Heating Performance of Coolant Heat Source Heat Pump System for Zero Emission Vehicles)

  • 이대웅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7호
    • /
    • pp.57-62
    • /
    • 2014
  • This study presented the feasibility of a coolant heat-source heat pump system as an alternative heating system for electrically driven vehicles. Heat pumps are among the mos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fficient heating technologies in residential buildings. In various countries, electric mobiles devices such as EV, PHEV, and FCEV, have been mainly concerned with heat pumps for new mobile markets. The experiments herein were conducted for various ambient temperatures and coolant temperatures to reflect the winter season. The system, a coolant heat-source heat pump, consisted of an inside heat exchanger, an outside heat exchanger, a motor driven compressor,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plumbing parts. For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maximum heating capacity and air discharge temperature are up to 6.3 kW and $62^{\circ}C$ respectively at an ambient temperature of $10^{\circ}C$, and coolant at $10^{\circ}C$. However, at $-20^{\circ}C$ ambient temperature and $-10^{\circ}C$ coolant temperature, conditions were insufficient to warm the cabin as the air discharge temperature was $13^{\circ}C$.

Development of Field Scale Model for Estimating Garlic Growth Based on UAV NDVI and Meteorological Factors

  • Na, Sang-Il;Min, Byoung-keol;Park, Chan-Won;So, Kyu-Ho;Park, Jae-Moon;Lee, Kyung-D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22-433
    • /
    • 2017
  • Unmanned Aerial Vehicle (UAV) has several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remote sensing techniques. They can acquire high-resolution images quickly and repeatedly. And with a comparatively lower flight altitude, they can obtain good quality images even in cloudy weather. In this paper, we developed for estimating garlic growth at field scale model in major cultivation regions. We used the $NDVI_{UAV}$ that reflects the crop conditions, and seven meteorological elements for 3 major cultivation regions from 2015 to 2017. For this study, UAV imagery was taken at Taean, Changnyeong, and Hapcheon regions nine times from early February to late June during the garlic growing season. Four plant growth parameters, plant height (P.H.), leaf number (L.N.), plant diameter (P.D.), and fresh weight (F.W.) were measured for twenty plants per plot for each field campaig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suggested by using backward elimination and stepwise selection in the extrac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model of cold type explain 82.1%, 65.9%, 64.5%, and 61.7% of the P.H., F.W., L.N., P.D. with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7.98 cm, 5.91 g, 1.05, and 3.43 cm. Especially, model of warm type explain 92.9%, 88.6%, 62.8%, 54.6% of the P.H., P.D., L.N., F.W. with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16.41 cm, 9.08 cm, 1.12, 19.51 g. The spatial distribution map of garlic growth was in strong agreement with the field measurements in terms of field variation and relative numerical values when $NDVI_{UAV}$ was applied to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These results will also be useful for determining the UAV multi-spectral imagery necessary to estimate growth parameters of garlic.

전지구 온도지표를 이용한 한강유역의 여름철 강우특성 변화 분석 (Summer Precipitation Variability in the Han River Basin within the Context of Global Temperature Gradients)

  • 정민수;김종석;문영일;황성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151-115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전지구 온도지표인 LOC/MTG 온도인자를 이용하여 기후변동성(Climate Variability)을 파악하고 관측수문량의 상대적 변화분석을 위한 특성자료로 활용하였다. 여기서, LOC (Land-Ocean Contrast)는 중위도 지역에서 대륙과 해양의 온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수이며, 고위도 및 아열대 지역의 남북간 기온의 차이는 MTG (Meridional Temperature Gradient)로 정의된다. LOC/MTG 두 패턴의 남북 또는 동서 지점의 변화는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대기순환패턴의 변화와 그와 관련된 대기수분이송에 직간접적인 영향인자로서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여름철 동아시아의 수문기상의 변화는 식수, 관개용수, 수력발전 및 수산산업과 연관성이 매우 크며, 인간과 자연의 상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수자원의 공급에 중요한 결정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6월에서 9월 사이에 발생한 여름철 강우 중에서 태풍에 의해 유발된 강우를 제외하고 몬순기후에 의한 한반도 유역의 지역적 강우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강 몬순강우와의 통계적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름철 몬순강우의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기후변화의 추세와 원인 고찰 (A Review of Recent Climate Trends and Causes over the Korean Peninsula)

  • 안순일;하경자;서경환;예상욱;민승기;허창회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37-251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나타난 기후변화 추세를 요약하고 그 원인을 평가하였다. 인간 활동에 기인한 기후 변화는 한반도 지역에 상대적으로 빠른 변화를 유도하였다. 지난 10년간 한반도 지역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전 지구 평균보다 빠르게 상승했으며, 평균기온 역시 지구평균 기온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혹한기온 발생은 감소하고, 혹서기온 발생은 증가하여 평균 기온의 상승을 유도하였고, 지표면 녹지화(greenness) 역시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었다. 한편, 한반도의 1990년 이후의 여름철 평균 강수는 그 이전에 비해 15 % 정도 증가하였다. 이는 8월 강수량의 증가에 기인한 것이며, 장마 기간 동안의 평균 강수량은 오히려 약 5 % 감소하였다. 집중호우의 경우 197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강수가 없던 날의 지속일수 역시 다소 증가하여, 강수의 지속성은 약해지고 집중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강한 태풍의 발생 빈도가 다소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10년 동안에는 한반도 남동쪽으로 상륙하는 태풍의 수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도시화 효과에 의한 기온 증가는 1950년대 이후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한반도 평균기온 증가의 약 28%가 도시화 효과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엘니뇨 해의 한반도 겨울철 평균 기온은 대체로 평년보다 높았으며, 여름철 평균 기온은 평년보다 낮았다. 여름철 강수의 경우 엘니뇨 해에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최근 들어 발생 빈도가 증가하기 시작한 중태평양 엘니뇨의 발달시기에는 한반도에 온난한 여름 가을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기후변화 탐지와 원인규명은 미래 기후변화 전망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요건으로, 앞으로 보다 포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서로 다른 형태의 엘니뇨에 따른 한강유역의 여름철 강우량과 극치강우의 변동특성 분석 (Different Impacts of the Two Phases of El Niño on Variability of Warm Season Rainfall and Frequency of Extreme Events over the Han River Basin)

  • 윤선권;김종석;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2호
    • /
    • pp.123-13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엘니뇨와 새로운 형태의 엘니뇨 Modoki에 따른 한강유역의 여름철(6~9월) 강우량의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형적인 엘니뇨 시기에는 대체로 여름철 강우량이 감소하였으며, 강우의 변동성도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CV=0.40). 반면에 엘니뇨 Modoki 시기에는 한강 대부분 유역에서 평년보다 강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름철 강우의 변동성은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CV=0.23). 엘니뇨 Modoki 시기에는 한강 남부의 11개 중권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강우의 증가를 보였고, 30mm/day와 50mm/day를 초과하는 중호우의 강우발생일은 각각 9.9일과 5.4일로 나타났으며, 전형적인 엘니뇨 시기보다 백분위 편차가 각각 17.74%, 50.94%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엘니뇨 Modoki가 전형적인 패턴의 엘니뇨보다 한강유역의 여름철 수자원 변동에 민감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수자원의 계절적 변동과 불확실성이 큰 지역에서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한국 남부지방 난온대성 상록활엽수의 동해피해 -전라남도 광양시 중마동의 후박나무를 중심으로- (Freezing Injury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Warm-Temperature in the Southern Region in Korea -A Case of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on the Jungma-dong, Gwangyang-city, Jeollanam Province-)

  • 이기원;김도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7-96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climatic factors of the freezing injury for the judgement on the adaptation area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climatic factors of the freezing injury to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on the streets with the analyzation of planting grounds, soil conditions and the surrounding buildings. This study showed that only the minimum air temperature factor out of the other climate elements, which were the annual precipitation;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the average monthly temperature of january; the average monthly minimum temperature of January;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the warmth index and the coldness index, was matched up with the previous theories and reports on the freezing damages on the evergreen broad leaved trees and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The freezing injury of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was occurred when the mean minimum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TMC) in winter season fell down below $-4.1^{\circ}C$ and the temperature fell down below $-9.2^{\circ}C$. The freezing damage on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surrounded by high buildings were less than those surrounded by low buildings or at non buildings.

집중적 답압 피해에서의 잔디 회복을 위한 강제 흡.호기 순환식 설비의 효과 (Effects of a Forced Air-Flow System for Recovery of Turfgrass after Intensive Traffic Injury)

  • 이정호;손진수;김인철;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7-135
    • /
    • 2007
  • Korea and Japan hosted the FIFA World Cup Soccer Game in 2002. Ten stadiums had been built and more than 30 soccer grounds for practice were renovated in Korea. Sport fields in both countries had problems on cool-season turfgrass growth and quality by summer decline during humid and warm climate especially followed by intensive uses. We measured the effects of air-flow system, which is designed to optimize rootzone soil gas and moisture levels to promote the growth and maintenance turfgrass.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system on soil gas exchange, ground resilience, and turfgrass recovery in turfgrass rootzone. Within 1 or 2hr of operation of the system, rootzone soil gas ($CO_2$, $O_2$) levels returned to natural atmospheric levels completely Soil $CO_2$ levels began to decrease within the first 10 min of operation of the system. The levels were reduced from 1.3 to 0.06% after 30 min, and natural atmospheric levels within 1 hr. When the system was turned off, $CO_2$ levels increased to 0.36% and 0.7% after 5 and 20 hr, respectively.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did not affect the resilience of turf surface after traffic treatments. Higher traffic treatment resulted in higher surface resilience especially in zoysiagrass plots. Operation of the system had a significant beneficial impact on turf recovery by increased root dry wight and improved turf quality, as compared with the non-operated check plots.

고령 여성의 착의 실태와 건강 관련 착의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Wearing Conditions and Health-Related Wearing Perception of Older Women)

  • 심현섭;이윤정;권수애;정혜원;유신정;박준희;박주희;정운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2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to examine the behavior patterns and activities related to the clothing of older women. A total of 31 older women were interviewed regarding indoor/outdoor wearing conditions, thermal sensation indoors, and their clothing perception related to health. The final outcomes were as follows. Firstly, interviewees viewed indoor temperature as neutral in the spring and fall. Many people felt cool or warm in the summer and warm or cold in the winter. Secondly, they controlled indoor temperature with an air conditioner and/or fan and by opening the window and/or wearing less clothing. In winter, most respondents used a heating system and wore more clothing. It seemed that the level of dependence on clothing was higher in winter. Thirdly, the number of garment layer indoors was similar among the four seasons, and many wore underwear. However, there were individual variations. Fourthly, interviewees tended to perceive clothing in relation to health. Textile materials appropriate to the season were firstly viewed as related to health, followed by climate adaptability, clothing pressure, UV protection, and aesthetic satisfaction. Fifthly, respon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health improvement by clothing even though they lacked information on it. From this research, older women showed positive the perception and attitudes regarding clothing from a health perspective. Since they lacked information, education is needed regarding the bases and ways to improve health through clothing behavior.

정식시기와 질소시비 수준에 따른 봄배추의 생육량 추정 (Prediction of Chinese Cabbage Yield as Affected by Planting Date and Nitrogen Fertilization for Spring Production)

  • 이상규;서태철;장윤아;이준구;남춘우;최장선;여경환;엄영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1-275
    • /
    • 2012
  •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상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배추 등 일부 채소작물의 저온 및 고온 등으로 인하여 생산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상기상 조건 발생시 사전에 생산량을 예측하면 수급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실험은 기상이변에 따른 봄배추의 생육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정식시기와 질소시비량을 달리하여 생육인자간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정식시기별 최종 생육은 4월 15일과 4월 22일 정식 처리에서 건물중이 각각 168g과 139g으로 타 시기에 비해 높았으며, 질소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기후인자 온도, 일사량, GDD, 그리고 생육인자 엽수, 지상부생체중, 지상부건물중 등의 편상관분석 결과,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DD와 엽수, GDD와 지상부 건물중의 분포를 측정한 결과, 질소시비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3차함수로 다항회귀식을 구한 결과, 엽수$(y)=-0.0000004x^3+0.0004x^2+0.0225x+5.4045$($R^2$=0.9818), 지상부건물중$(y)=-0.0000008x^3+0.001x^2-0.0958x+0.3426$($R^2$=0.9584)로 나타났다. 따라서 봄배추 생육기간중에 GDD 측정만으로도 봄배추의 지상부 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