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RD-1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Bacillus sp. WRD-1 배양액 처리가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 (Growth Effect of Tomato Treated with Bacillus sp. WRD-1 Cultures)

  • 옥민;서원석;배계선;권오창;박수진;조영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3-66
    • /
    • 2001
  • 토양으로 부터 분리한 Bacillus sp. WRD-l의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미생물 배양액을 100배, 300배, 500배의 희석 비율에 따라 토마토재배지에 관주를 실시하여 토마토 생육 및 토양미생물상 변화를 관찰 하였다. 대조구로는 실제 미생물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Bacillus sp. WRD-1 배양액을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토마토 생육은 전체적으로 100배> 300배> 500배> 대조구 순으로 희석 비율과 비례하였다. 시간별 토양미생물 수는 세균과 방선균의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곰팡이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토양활성개량미생물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Surveillance Programme of Work-related Diseases (WRD) in France

  • Valenty, Madeleine;Homere, Julie;Mevel, Maelaig;Dourlat, Thomas;Garras, Loic;Brom, Magdeleine;Imbernon, Elle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3권1호
    • /
    • pp.67-70
    • /
    • 2012
  • The surveillance programme of work-related diseases (WRD) is based on a network of occupational physicians who notify all WRD diagnosed during a two-week observation period. The aims are mainly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non-compensated WRD in the working population according to socio economic factors; to determine new indicators of occupational health; to update the lists of compensable occupational diseases; to understand and assess under-compensation and under-notification. The participation rate for occupational physicians is around 33% in 2008. The main WRD are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followed by the mental disorders. This 2-week protocol, repeated regularly, provides useful data on frequency of pathologies linked to employment as well as an estimate of unreported WRD subject to compensation or non-compensated WRDs, and the trends of WRDs over the time.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p. WRD-1이 생산하는 Extracellular Prote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 of Bacillus sp. WRD-1 Isolated from Soil)

  • 옥민;김민석;서원석;차재영;조영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29-333
    • /
    • 2000
  • Alkaline bacterium producing a high pro-tease activity at low temperature was isolated by using enrichment culture from soil samples and identified as Bacil-lus sp. WRD-1 Cell growth was maximal at 10 hours and the optimal initial pH and culture time of culture condition for enzyme production was pH 7 and 10 hours, respectively. Temperature range of high enzyme activity were $10~40^{\circ}C$.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for the enzyme activity were pH9 and $30^{\circ}C$.

  • PDF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화학기상성장법에 의한 다이아몬드 박막의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amond Thin Films Synthesized by Microwave Plasma Enhance Chemical Vapor Deposition)

  • 이병수;이상희;박상현;유동현;이백수;이덕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809-814
    • /
    • 1998
  • In this study, the metastable state diamond thin films have been deposited on Si substrates from methand-hydrogen and oxygen mixture usin gMicrowave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MWPCVD) method. effects experimental parameters MWPCVD including methan concentrations, oxygen additions, operating pressure, deposition time on the growth rate and crystallinity were investigated. diamond thin film was synthesiz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methane concentration of 0.5%(0.5sccm)∼5%(5sccm). oxygen concentration of 0∼80%(2.4sccm). operating pressure of 30Torr∼ 70Torr, deposition time of 1∼32hr. SEM, WRD, and Raman spectroscopy were employed to analyse the growth rate and morphology, crystallinity and prefered growth direction, and relative amounts of diamond and non=diamond phases respectively.

  • PDF

유도성 아이리스를 이용한 NRD 가이드 필터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NRD Guide Filter using Inductive Iris)

  • 김영수;류원렬;최형동;유영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741-747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WRD 가이드를 이용하여 38 MHz 밀리미터파 대역의 대역통과 필터를 설계하고, 실제 제작하여 그 측정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기존의 공극 결합된 NRD 가이드 필터의 경우, NRD 가이드로 사용되는 PTFE 선로의 정밀 가공 및 공진기 간의 정위치가 어려워 대량생산에 불리한 단점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유전체 공진기를 Inductive Iris로 결합, 하나의 선로상에 공진기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가공 및 조립성이 뛰어나 양산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다. 설계 한 필터는 측정 결과, 통과대역 38.66 - 39.06 MHz로 400 MHz 대역폭을 가지며, 대역내 삽입손실 1.4 dB, 반사손실 -18 dB 이하의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삼보광산 수계 하천수질 및 퇴적토의 오염도 평가 (Contaminatio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and Stream Sediments Affected by Mine Drainage in the Sambo Mine Creek)

  • 정구복;권순익;홍성창;김민경;채미진;김원일;이종식;강기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2-128
    • /
    • 2012
  • 폐금속 광산에서 유출되는 광산배수로 인한 하류 수계의 환경오염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삼보광산 하류 수계 내 하천수질, 퇴적토양 및 인근 논토양에 대한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보광산 주변 광미댐 침출수의 Cd 평균 농도(0.018~0.035 mg/L)는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질기준(0.01 mg/L)을 초과하였고, 미량성분 중 Zn, Fe 및 Mn 함량도 FAO의 관개용수 최대 권고치(Zn 2.0, Fe 5.0, Mn 0.2 mg/L)를 초과 하였다. 광산 하류 논토양의 Pb, Zn 평균함량은 우리나라 농경지의 토양오염 우려기준(Pb 200, Zn 300 mg/kg)을 초과 하였고, 중금속 오염지수 평균치는 상리가 1.2로 내리지역0.45보다 높게 나타났다. 광산 하류 수계 내 퇴적토의 Cd, Pb 및 Zn 함량은 우리나라 하천용지의 토양오염 우려기준(Cd 10, Pb 400, Zn 600 mg/kg)을 초과하였다. 또한 퇴적토의 중금속 오염지수(PI)는 상리지역 0.98~7.32, 내리지역 0.34~5.27로 지점별 편차가 컸으며, 하류 1km 지점 합류지점(SN-1, SN-2)까지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토의 부화계수(EFc) 평균치는 Cd>Pb>Zn>As>Cu>Cr>Ni 순으로 지점간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토의 중금속별 지화학적농축계수(Igeo)는 지점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Zn>Cd>Pb>Cu>As>Cr>Ni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Zn의 경우 광산 침출수 영향을 받은 퇴적토에서 경보오염에서 위험오염(Igeo 3.1~6.2) 상태로 심하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삼보광산 하류 하천수질 및 퇴적토의 오염도 평가를 종합해 볼 때 광산 침출수의 영향이 하류 수계 1 km 이상(SN-1, SN-2)까지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삼보광산 하류 수계의 계절별 수질변화와 오염도 평가 (Monitoring of Seasonal Water Quality Variations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the Sambo Mine Creek, Korea)

  • 정구복;이종식;김원일;류종수;윤순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8-336
    • /
    • 2008
  • 폐금속 광산에서 유출되는 광산배수로 인한 수계의 수질오염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삼보광산 광미댐 침출수 및 하류 하천수의 화학성분 및 미량금속을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보광산 주변 광미댐 침출수의 pH 값은 $5.8{\sim}6.9$ 사이로 중성에 가까운 약산성이였다. 주 광미댐 침출수의 주요 용존 화학성분 평균치는 EC 1.77 dS/m, $SO_4^{2-}$ 929, $K^+$ 14.6, $Ca^{2+}$ 263.3, $Mg^{2+}$ 46.9 mg/L 이였다. 특히 화학성분 중 EC 값과 $SO_4^{2-}$ 농도는 벼의 농업용수 피해한계 농도 (EC 1.0 dS/m, $SO_4^{2-}$ 54.0 mg/L)를 상회하였다. 광산 침출수의 Cd 평균 농도($0.016{\sim}0.021\;mg/L$)는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0.01 mg/L을 초과하였고, Cd 최고치는 수질기준의 4배정도 높았다. 또한 미량금속 중 Zn, Fe 및 Mn 농도는 FAO의 관개용수 최대 권고치(Cd 0.01, Zn 2.0, Fe 5.0, Mn 0.2 mg/L)를 초과하였고, 특히 Zn 및 Mn 평균 농도는 권고치의 $8{\sim}26$배, $45{\sim}313$배 이상 높았다. 본 조사결과에서 광산배수에 의한 수계의 수질오염은 하류 1 km 이상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산배수와 하천수의 수질항목 중 pH 값은 용존 Cd, Zn, Al 및 Mn 농도와 부의 상관을, 주 오염성분인 EC 값, $SO_4^{2-}$$Ca^{2+}$ 농도는 각각의 Cd, Zn, Al 및 Mn 농도와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주요 화학성분 중에서는 pH 값이 EC 값 및 $SO_4^{2-}$ 농도와 부의 상관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