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M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4초

천해에 적용가능한 태풍 해일-조석-파랑 수치모델 개발 1. 해수유동 모델의 정확성 검토 (Development of the Combined Typhoon Surge-Tide-Wave Numerical Model Applicable to Shallow Water 1. Validation of the Hydrodynamic Part of the Model)

  • 천제호;안경모;윤종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63-7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천해에 적용 가능한 동적결합형 태풍 해일-조석-파랑 수치모델의 개발과 개발된 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태풍 해일과 조석 수치모델은 POM (Princeton Ocean Model)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풍파 파랑 수치모델은 WAM (Wave Model)을 기반으로 천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여 두 모델을 동적으로 결합하였다. 연속된 두 개의 논문 중에 첫 번째 논문인 본 논문에서는 해일과 조석을 수치 모의하는 해수유동 부분의 수치모의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수치모의의 안정성과 정확성 향상을 위하여 기존의 POM 모델의 난류 수치모델 부분과 연직속도 계산 알고리즘을 수정 보완하였다. 수정된 POM 모델의 정확성과 수치적 안정성 검증을 위하여 해석해와 실 해역에서 측정된 관측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수정된 POM 모델이 기존의 POM 모델보다 수치계산의 안정성과 정확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기 수치모사 파랑자료를 바탕으로 한 한국해역의 파랑에너지밀도 분석 (Analysis of Wave Energy Density for Korean Coastal Sea Area Based on Long-Term Simulated Wave Data)

  • 송무석;김도영;김민;홍기용;전기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2-157
    • /
    • 2004
  • 한국해양연구원(KORDI)의 파랑자료를 기초로 하여 한반도 근해의 파랑에너지 분포를 분석하였다. 파랑자료는 최근 24년(1979∼2002)간의 바람자료를 바탕으로 HYPA와 WAM모델을 이용하여 모사된 것이다. 파랑에너지, 즉 파력의 평가는 선형이론에 근거한 파주기를 가정하는 형태를 이용하여 하였다. 대략 3 kw/m 정도의 가용 파랑에너지가 한반도 근해에 분포한다고 말할 수 있으며, 계절과 지역에 따라 10 kw/m이상의 파랑에너지가 나타나는 곳도 있다. 제주도의 남서쪽 해역이 상대적으로 양질의 파랑에너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 PDF

선박의 항행안전지원을 위한 파랑추산에 관한 연구 (Ocean Wave Forecasting and Hindercasting Method to Support for Navigational Safety of Ship)

  • 신승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1-119
    • /
    • 2003
  • 해상수송의 안전성을 개선하는 하나의 수란으로서, 해상풍 정보로부터 예정 항로상에서 조우하게될 파랑정보를 높은 정밀도로 예측하여 단시간에 본선에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의 제1단계로서 대양에서의 다방향 불규칙파 예측을 위한 파랑추산모델을 제시하였다. 검토방법으로는 과거 실제 해역에서 발생한 황천에 기인한 선박 침몰사고를 대상으로 선박의 항행 일정에 따른 해상풍의 분석 및 파랑추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사고 선박이 조우한 해상을 평가하고 모델의 재현성 및 정도를 검토하였다. 연구비 결과, 사고 선박은 침몰사고의 원인이 Okhotsk해에서 발달한 저기압에 의해 급속히 성장한 고파랑 해역을 회피하지 못하여 발생한 것에 있음을 명백히 하였으며, 본 계산에 이용한 제3세대 파랑추산모델(WAM)로부터의 결과는 실제 관측 파랑의 유의파고, 주기, 방향 스펙트럼 등 항행관련의 파랑제원과 잘 부합되었으며, 실용 선박에서의 예측시스템 구축에 적용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Developing Asbestos Job Exposure Matrix Using Occupation and Industry Specific Exposure Data (1984-2008) in Republic of Korea

  • Choi, Sangjun;Kang, Dongmug;Park, Donguk;Lee, Hyunhee;Choi, Bongkyo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8권1호
    • /
    • pp.105-115
    • /
    • 2017
  • Backgroun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eneral population job-exposure matrix (GPJEM) on asbestos to estimate occupational asbestos exposure levels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Three Korean domestic quantitative exposure datasets collected from 1984 to 2008 were used to build the GPJEM. Exposure groups in collected data were reclassified based on the current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9^{th}$ edition) and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code ($6^{th}$ edition) that is in accordance to international standards. All of the exposure levels were expressed by weighted arithmetic mean (WAM) and minimum and maximum concentrations. Results: Based on the established GPJEM, the 112 exposure groups could be reclassified into 86 industries and 74 occupations. In the 1980s, the highest exposure levels were estimated in "knitting and weaving machine operators" with a WAM concentration of 7.48 fibers/mL (f/mL); in the 1990s, "plastic products production machine operators" with 5.12 f/mL, and in the 2000s "detergents production machine operators" handling talc containing asbestos with 2.45 f/mL. Of the 112 exposure groups, 44 groups had higher WAM concentrations than the Korean occupational exposure limit of 0.1 f/mL. Conclusion: The newly constructed GPJEM which is generated from actual domestic quantitative exposure data could be useful in evaluating historical exposure levels to asbestos and could contribute to improved prediction of asbestos-related diseases among Koreans.

선박의 항행안전지원을 위한 파낭추산에 관한 연구 (Ocean wave forecasting and hindercasting method to support for navigational safety of ship)

  • 신승호;교본전명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147-156
    • /
    • 2003
  • 해상수송의 안전성을 개선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해상풍 정보로부터 예정 항로상에서 조우하게될 파랑정보를 높은 정밀도로 예측하여 단시간에 본선에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의 제1단계로서 대양에서의 다방향 불규칙 예측을 위한 파랑추산모델을 제시하였다. 검토방법으로는 과거 실제 해역에서 발생한 황천에 기인한 선박 침몰사고를 대상으로 선박의 항행 일정에 따른 해상풍의 분석 및 파랑추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사고 선박이 조우한 해상을 평가하고 모델의 재현성 및 정도를 검토하였다.연구의 결과, 사고 선박은 침몰사고의 원인이 Okhotsk해에서 발랄한 저기압에 의해 급속히 성장한 고파랑 해역을 회피하지 못하여 발생한 것에 있음을 명백히 하였으며, 본 계산에 이용한 제3세대 파랑추산모델(WAM)로부터의 결과는 실제 관측 파랑의 유의파고, 주기, 방향 스펙트럼 등 항행관련의 파랑제원과 잘 부합되었으며, 실용 선박에서의 예측시스템 구축에 적용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robot arm reach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al movement in chronic stroke survivors: a preliminary study

  • Cho, Ki Hun;Song, Won-Kyu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8권2호
    • /
    • pp.93-98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bot arm reach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al movement in chronic stroke survivors. Design: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s: Thirteen chronic stroke surviv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obot arm reach training was performed with a Whole Arm Manipulator (WAM) and a 120-inch projective display to provide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During the robotic arm reach training, WAM provided gravity compensation and assist-as-needed (AAN) force according to the robot control mode. When a participant could not move the arm toward the target for more than 2 seconds, WAM provided AAN force to reach the desired targets. All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for 40 minutes per day, 3 times a week, for 4 weeks. Main outcome measures were the Fugl-Meyer Assessment (FMA), Action Research Arm Test (ARAT) and Box and Block Test (BBT) to assess upper extremity functional movement. Results: After 4 weeks,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upper extremity functional movement (FMA: 42.15 to 46.23, BBT: 12.23 to 14.00, p<0.05). In the subscore analysis of the FMA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domains,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upper extremity and coordination/speed units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AT.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f robot arm reach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al movement in chronic stroke survivors. In particular, we confirmed that robot arm reach training c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by leading to improvement of motor recovery of the proximal upper extremity.

Sea State Hindcast for the Korean Seas With a Spectral Wave Model and Validation with Buoy Observation During January 1997

  • Kumar, B. Prasad;Rao, A.D.;Kim, Tae-Hee;Nam, Jae-Cheol;Hong, Chang-Su;Pang, Ig-Cha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21
    • /
    • 2003
  • The state-of-art third generation wave prediction model WAM was applied to the Korean seas for a winter monsoon period of January 1997. The wind field used in the present study is the global NSCAT-ERS/NCEP blended winds, which was further interpolated using a bi-cubic spline interpolator to fine grid limited area shallow water regime surrounding the Korean seas. To evaluate and investigate the accuracy of WAM, the hindcasted wave heights are compared with observed data from two shallow water buoys off Chil-Bal and Duk-Juk. A detailed study has been carried with the various meteorological parameters in observed buoy data and its inter-dependency on model computed wave fields was also investigated. The RMS error between the observation and model computed wave heights results to 0.489 for Chil-Bal and 0.417 for Duk-Juk. A similar comparison between the observation and interpolated winds off Duk-Juk show RMS error of 2.28 which suggest a good estimate for wave modelling studies.

위피 응용프로그램 개발환경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 Environment for WIPI Applications)

  • 유용덕;박충범;최훈;김우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5호
    • /
    • pp.749-756
    • /
    • 2005
  • 모바일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을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위피 응용프로그램 개발 환경, 즉 CNU 위피 에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CNU 위피 에뮬레이터는 안정적인 메모리 관리 기능을 가지며, 위피 버전 1.2 규격에서 정의하는 기능과 WAM(WIPI Application Manager)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의 설치, 실행, 삭제 및 관리 기능들을 제공한다. 또한 위피 응용프로그램 생명 주기에 맞는 경량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의 빠른 실행과 안정적인 디버깅 기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개발한 CNU 위피 에뮬레이터의 설계 및 구현 특징에 대하여 기술하며, 기존 위피 에뮬레이터들과의 비교 실험을 통하여 응용프로그램 실행의 안정성과 $25\%$ 이상의 실행 성능 향상을 제시하였다.

국가 수자원 관리 종합 정보 시스템(WAMIS)을 기초로 한 유역 수리권 자료 재구성 (Reorganization of Water Rights Data Based on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 김정호;김태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82-282
    • /
    • 2015
  • 도시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후 및 자연환경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인구증가에 따른 물 부족 현상은 새로운 저수지 건설로 지속 가능한 수자원 개발이 불가능한 현 상황에서 더욱더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한된 물 사용에 대한 효율적인 배분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물에 대한 권리, 즉 수리권(water rights)에 대한 자료 및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수리권에 대한 자료는 국가 수자원 관리 종합 정보 시스템(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에서 특정년도에 생활, 공업 및 농업용수에 대하여 정보가 권역, 시도 및 하천등급별로 구성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텍사스 수자원 관리 모델인 Water Availability Model(WAM) 시스템의 구성 요소 모델인 Water Rights Analysis Package (WRAP) 모델에 적용하기 위하여 권역별로 구성되어 있는 수리권 정보를 물 사용자의 지정학적 위치 및 점용년도에 따라 재구성하였다. 한강유역의 수리권 정보를 중점으로 수행되었으며 재구성 수리권 정보는 자연 순위 (natural order) 및 우선 순위 (priority order) 수리권의 두가지 형태의 입력값으로 WRAP 모델에 활용되었다.

  • PDF

국내 업종별 결정형 유리규산 노출 평가 (Evaluation of Crystalline Silica Exposure Level by Industries in Korea)

  • 연동은;최상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8-422
    • /
    • 2017
  • Objectives: The major aim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database of retrospective exposure assessment for crystalline silica through reviews of literatures in South Korea. Methods: Airborne concentrations of crystalline silica were collected using an academic information search engin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RISS), operated by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The key words used for the literature search were 'silica', 'crystalline silica', 'cristobalite', 'quartz' and 'tridymite'. A total number of 18 published documents with the information of crystalline silica level in air or bulk samples were selected and used to estimate retrospective exposures to crystalline silica. Weighted arithmetic mean(WAM) calculated across studies was summarized by industry type. Industr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KSIC) using information provided in the literature. Results: A total of 2,131 individual air sampling data measured from 1987 to 2012 were compiled. Compiled individual measurement data consisted of 827 respirable crystalline silica (RCS), 31 total crystalline silica(TCS), 24 crystalline silica(CS), 778 respirable dust(RD) and 471 total dust(TD). Most of RCS measurements(68.9%) were collected from 'cast of metals(KSIC 243)'. Comparing industry types, 'mining coal and lignite(KISC 051)' showed the highest WAM concentration of RCS, $0.14mg/m^3$, followed by $0.11mg/m^3$ of 'manufacture of other non-metallic mineral products(KSIC 239)', $0.108mg/m^3$ of 'manufacture of ceramic ware(KSIC 232)', $0.098mg/m^3$ of 'heavy construction(KSIC 412)' and $0.062mg/m^3$ of 'cast of metals(KSIC 243)'. In terms of crystalline silica contents in airborne dust, 'manufacture of other non-metallic mineral products(KSIC 239)' showed the highest value of 7.3%(wt/wt), followed by 6.8% of 'manufacture of ceramic ware(KSIC 232)', 5.8% of 'mining of iron ores(KSIC 061)', 4.9% of 'cast of metals(KSIC 243)' and 4.5% of 'heavy construction(KSIC 412)'. WAM concentrations of RCS had no consistent trends over time from 1994 ($0.26mg/m^3$) to 2012 ($0.12mg/m^3$). Conclusion: The data set related RCS exposure level by industries can be used to determine not only the possibility of retrospective exposure to RCS, but also to evaluate the level of quantitative retrospective exposure to R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