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 UMa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7초

비대칭 광도곡선을 갖는 W UMa 형 식쌍성 (ASTMMETRIC LIGHT CURVE OF W UMa TYPE ECLIPSING BINARY SYSTEM)

  • 오규동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196-207
    • /
    • 1994
  • 소위 O'Connell효과라고 하는 비대칭 광도곡선을 갖는 27개의 W UMa형 식쌍성들을 수집하고 광도곡선 형태에 다라 12개의 +형과 15개의 -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별들을 관측된 물리량 사이의 상대적인 상관관계와 진화상태를 조사하였다.

  • PDF

접촉쌍성 W UMa의 광전관측과 광도곡선 분석 (PHOTOELECTRIC OBSERVATIONS AND ANALYSIS OF THE CONTACT BINARY W UMA)

  • 김천휘;이충욱;강영운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43-54
    • /
    • 2001
  • 1984년 4월부터 1985년 5월에 걸쳐 4일간 자외선, 청색, 황색 영역으로 광전 관측되었으나 아직 발표되지 않은 접촉쌍성 W UMa의 광전관측 자료를 제시하였다. 우리의 관측으로부터 11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결정하였다. 1993년에 개선된 WD 쌍성 모델을 이용하여 광도곡선을 분석하여 W UMa의 측광학적 해를 구하였다.

  • PDF

W UMa형 별들의 UV 방출선 연구 (UV LINE EMISSIONS OF W UMa STARS)

  • 김용기;한동주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39-44
    • /
    • 2000
  • lUE 저분산 자로플 가지고 44i Boo, W UMa, AW UMa및 VW Cep에서 나오는 자외선 방출선들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단파장영역과 장파장영역에서의 방출선 선세기를 구하여, 이를 자$\boxUl$선 등급으로 변환하여 광도곡선을 얻었다 단파장 영ff에서 나오는 방출선인 C I, C II, C IV, SiIV, N V에 대한 선세기를 구한 결파, C IV가 모든 별에서 가장 센 방출을 보였으며. Si IV와 NV는 비교적 작은 양의 선세기를 나타내었다. 4개의 W UMa 별 쿵에근 44i Boo가 가장 높은 선세기를 보였으며, 단과장 영역에서는 위상 0.2와 0 8부근에서 자외선 팡도가 maximup을 보이는 변광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이영역에서 나오는 C IV, Si IV, N V 방출선을 합하여 이를 극소기의 태양값과 비교하여 태양보다 최대40배의 높은 활동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았다. 짧은 주기를 갖는 별,즉 44i Boo, W UMa, AW UMa순으로 전이영역의 헐동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 파장 영역에서는 AW UMa와 VW Cep의 Mg ll 방출선을 조사하였는데, 단파장의 방출선 보다 뚜렷한 주기적 변광을 보였으며, 이를 이응하여 두 별의 유효온도를 추정하였다..

  • PDF

접촉형 쌍성의 진화 검증을 위한 TY UMa의 CCD 측광관측 (CCD PHOTOMETRY OF W UMa TYPE BINARY TY UMa)

  • 강영운;황창덕;이희원;김천휘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55-62
    • /
    • 2001
  • W UMa 형 쌍성 TY UMa를 소백산천문대 61cm 반사망원경과 PM512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2001년 3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측광관측하여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광도곡선의 형태는 제 2극심이 제 1극심보다 더 깊고, 식 바같부분의 max 1은 max II에 비하여 평균 $0.^m023$밝게 나타나는 비대칭이다. 비대칭 광도곡선을 분석하기 위하여 흑점 모델을 도입하고, Wilson & Devinney의 차등보정법을 이용하여 측광학적인 해를 구하였다.

  • PDF

EXOSAT X-RAY LIGHT CURVES OF SS ARI

  • Kim, Yong-Gi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65-68
    • /
    • 1998
  • We construct the X-ray light curves of the W UMa type contact binary SS Arietis(HD12929) from the EXOSAT data in HEASARC data archive. The phase dependent X-ray light curves obtained by using the ephimeris of Kaluzny & Pojmanski of SS Ari is modulated on the orbital phase as in the case of other W UMa type binaries. Alth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se data is impossible because of the very low X-ray light curves in the context of the radiation in the corona region of W UMa type stars.

  • PDF

ABSOLUTE PARAMETERS AND MASS-RADIUS-LUMINOSITY RELATIONS FOR THE SUB-TYPES OF W UMα BINARIES

  • AWADALLA N. S.;HANNA M. A.
    • 천문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3-57
    • /
    • 2005
  • The authors have assembled a sample of 80 W UMa binary systems (42 W-subtype and 38 A-subtype) whose light curves have all been solved by means of the recent W-D code and combined with up-to-date radial velocity solutions. The absolute parameters (masses, radii and luminosities) have been derived (without any constraint on the physical parameters).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1) the mass-luminosity relations for both W&A-subtypes. as well as for all W UMa contact binaries have been shown, (2) the mass-radius relations have been found for both subtypes, (3) some remarks on the evolution status have been presented.

근접촉쌍성(NCBs)의 일반적 특성 (GENERAL PROPERTIES OF NEAR-CONTACT BINARIES)

  • 오규동;김호일;강영운;이우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51-162
    • /
    • 2000
  • 근접촉쌍성을 분광형에 따라 A형과 F형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물리적 특성과 진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근접촉쌍성이 TRO 이론에 따른 진화 경로를 겪는다고 가정하면, F형이 A형에 비하여 더 접촉에 가까운 즉, W UMa형에 근접한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NCBs의 질량-반경 관계, 질량-광도 관계 및 H-R도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A형이 F형에 비하여 질량교환이 활발할 것으로 생각된다. 근접촉쌍성은 ZAMS와 평행하게 나타나며 접촉쌍성의 진화 위치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 PDF

ORBITAL PERIOD VARIATION AND MORPHOLOGICAL LIGHT CURVE STUDIES FOR THE W UMa BINARY BB PEGASI

  • Hanna, Magdy A.;Awadalla, Nabil S.
    • 천문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97-108
    • /
    • 2011
  • The photometric light curves of the W-type W UMa eclipsing contact binary system BB Pegasi have been found to be extremely asymmetric over all the observed 63 years in all wavelengths UBVR. The light curves have been characterized by occultation primary minima. Hence, the morphology of these light curves has been studied in view of these different asymmetric degrees. The system shows a distinct O'Connell effect, as well as depth variation. A 22.96 years of stellar dark spots cycle has been determined for the system. Almost the same cycle (22.78 yr) has been found for the depth variation of MinI and MinII. We also present an analysis of mid-eclipse time measurements of BB Peg. The analysis indicates a period decrement of $5.62{\times}10^{-8}$ day/yr, which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mass transfer at a rate of $-4.38{\times}10^{-8}M_{\odot}$/yr, from the more to the less massive component. The O - C diagram shows a damping sine wave covering two different cycles of 17.0 yr and 12.87 yr with amplitudes equal to 0.0071 and 0.0013 day, respectively. These unequal durations show a non-periodicity which may be explained as a result of magnetic activity cycling variations due to star spots. The obtained characteristics are consistent with similar chromospherically active stars, when applying the Applegate's (1992) mechanism.

접촉쌍성 AA UMa의 재검토

  • 송미화;김천휘;우수완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46.2-146.2
    • /
    • 2012
  • 2008년부터 2012년에 걸친 관측기간 동안 총 21일간 관측하여 AA UMa의 BVRI 광도 곡선을 획득하였다. AA UMa의 I 필터 광도 곡선은 이번에 처음으로 얻어진 것이다. 또한 극심시각을 추가적으로 획득하기 위하여 2005 ~ 2008년까지 총 8일간 AA UMa의 극심 부근의 측광관측을 수행하였고, SuperWASP에서 공개하는 AA UMa의 측광 자료를 수집하여 총 31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결정하였다. 우리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포함하여 83년 동안의 AA UMa 극심시각을 수집하여 총 250개의 극심시각으로 주기 변화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AA UMa 계는 $3.30{\times}10^{-11}d/yr$의 영년 주기 증가 위에 58.7년의 주기적인 변화가 겹쳐 발생한다. 주기적인 변화의 원인이 제3천체에 의해 발생한다고 가정했을 때 제3천체의 최소 질량은 $0.28M_{\odot}$이다. 이전 연구자의 광도곡선(Meinunger(1976), Wang et al.(1988), Lee et al(2011))을 수집하여 우리의 광도곡선(2008, 2012)과 함께 각각 주기변화가 보정된 통일된 기산점을 사용하여 광도곡선을 분석하였다. 모든 광도곡선에서 0.75 위상에서 밝기가 더 어두워지는 O'Connell effect가 발생하였고, 일부 광도곡선은 부식에서 식의 깊이가 주식보다 깊어지는 시기를 가진다. 이는 스펙트럼 유형이 F0-F5보다 만기형 별에서 흑점이 부식의 깊이에 영향을 주어 주식보다 깊어지는 AC Boo, TY UMa 등에서 보여 지는 특징이다. 우리는 W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광도곡선 중 B-V 색지수 그래프에서 식 이외부분에서 변화가 적고 광도곡선의 O'Connell effect의 크기가 작은 2008 광도곡선으로 광도해를 결정하였다. 전형적인 TY UMa형 별과 같이, 우리의 광도해 역시 W-subtype의 결과를 나타낸다. 결정된 광도해를 다른 광도곡선에도 적용시켜 광도곡선에 나타나는 흑점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주기 분석 결과와는 달리 제 3천체의 광도는 검출 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