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ulnerability Databas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3초

A Testbed for the Security Issues of Limited-resource Internet Appliances

  • Vorapojpisut, S.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4년도 ICCAS
    • /
    • pp.762-766
    • /
    • 2004
  • This paper introduces a testbed which is suitable for the study of security issues arising in applications involving internet appliances. The testbed implements secure door locks by utilizing the intranet in the building and is composed of two main parts, namely a database server and door locks each of which equipped with a custom-made embedded system.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ide a platform for teaching the conflict among real-time specifications, security requirements, and limited-resource constraints. After definitions of threat, vulnerability, and attack are given, we discuss how the testbed can be applied as an education tool for these concepts. Finally, the effects of sequential and multitasking operations are given as a case study.

  • PDF

취약성 DB 자동 갱신 로봇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obot for Updating Automatically Vulnerability Database)

  • 서혜성;최경희;박승규;정기현;이철원;이남훈;한광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145-147
    • /
    • 2002
  • 컴퓨터 시스템이나 네트워크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보안상 취약성이 발견되는 보안 취약성을 점검 하는 것이 옳다. 그러나 취약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외 관련 사이트를 수동적 방법으로 검사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스스로 관련 사이트의 홈 페이지를 검색하고 취약성 정보를 추출한 후 새로운 취약성 관련 정보가 발견되는 대로 이를 취약성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이른바 취약성 자동 갱신 시스템[1]은 취약성 탐지 시스템의 핵심 기능이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취약성 자동 갱신 로봇은 웹 페이지 자동 검색프로그램인 스파이더를 활용하여 구현되었으며, ICAT등과 같은 취약점 정보 제공 사이트들로부터 홈페이지를 검색하고 이에 수록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한 후, 취약성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갱신한다.

  • PDF

오버플로우 공격에 대한 방어 기술 연구 (The Research of Defense Technique of Overflow Attack)

  • 신동휘;김승주;원동호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645-648
    • /
    • 2006
  • Buffer Overflow 취약점은 오래전에 발표된 기술이지만 현재까지도 보안 취약점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 중에 하나이다. CVE Vulnerability Database에서 Buffer Overflow를 검색해보면 알 수 있듯이 지금까지 수많은 Buffer Overflow 취약점득의 발견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하는 공격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공격에 대처하기 위하여 각각의 공격방법에 대한 대처방법을 제시하고 커널과 컴파일러의 패치에 이루어지고 있지만 해커들은 그에 대응하는 공격방법들을 찾아내곤 한다. 본 논문에는 지금까지 발표된 많은 Buffer Overflow 공격 기술에 대해 주제별로 확인하고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을 만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취약성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분산 웜 탐지 시스템 설계 (An Architecture for Vulnerability Database based and Distributed Worm Detection System)

  • 임정묵;한영주;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901-904
    • /
    • 2005
  • 인터넷이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면서 인터넷에 대한 공격이 엄청난 피해를 야기시킬 수 있게 되었다. 웜은 스스로를 복제하여 인터넷 상의 취약한 호스트들을 공격하여 여러가지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웜을 탐지하고 방어하기 위해 inbound/outbound 스캔률 검사, 웜 시그니처 검사와 같은 네트워크 기반 침입탐지 방법과 웜 생성 파일 검사, 파일 무결성 검사와 같은 호스트 기반 침입탐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단일 시스템에서의 웜 탐지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응에 있어서도 더딜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웜 탐지 시스템을 분산 배치시킴으로써 탐지의 정확성을 확보하였고 웜 경보를 모든 웜 탐지 시스템에 송신함으로써 대응에 있어 신속성을 제공해준다. 뿐만 아니라 취약성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최신으로 갱신만되어 있다면 제로데이 공격에도 대응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 PDF

서울시 모델 구역에서의 지진피해시나리오 연구 (A Study on the Seismic Damage Scenario in the Model District of Seoul City)

  • 김재관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 /
    • pp.223-230
    • /
    • 1999
  • The seismic damage assessment to the postulated earthquake is attempted for the buildings in the model district of Seoul City. The capacity spectrum method is employed in which the vulnerability functions are expressed as functions of the spectral displacement. the database of the building stock is constructed and manag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oftware. The model district is selected to represent the typical structural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Seoul City The structural properties were collected from the design documents. The field inspections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building. They are classified into 11 structural types. The fragility curves in HazUS are employed, The ground motions from the postulated earthquakes are simulated using the Boor's methods, The surface soil in the district is classified into 3 profiles using the depth as the parameter. The one-dimensional wave propagation method is used to calculate he filtered ground motion through surface soil layer. The average spectrum of this sample time histories is used as the demand curves. The calculated results are expressed in maps using GIS software ArcView 3.0a

  • PDF

HVIDB를 이용한 해당 호스트의 오탐율 경고 발생 감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lse Positive Alert reduction using HVIDB of Target Host)

  • 김태훈;이금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481-483
    • /
    • 2004
  • NIDS(Network Intrusion Detection System)는 공격 탐지 과정에서 대량의 로그가 발생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침입탐지 시스템에서 탐지되어 하루에 남는 로그만으로도 시스템에 막대한 양을 차지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관리자에게 많은 부담을 줄뿐만 아니라 그렇게 남겨진 로그에는 오탐율(False Positive) 비율이 높기 때문에 관리자가 실제로 위협적인 침입을 식별하고, 침입 행위에 대한 빠른 대응을 어렵게 만든다. 그러므로 NIDS와 특정 호스트가 가지고 있는 보안상 취약한 부분을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는 침입탐지시스템을 선택, 운용하는 것은 관리측면이나 대응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NIDS와 해당 호스트 취약점 정보를 이용해 작성된 데이터베이스(HVIDB : Host Vulnerability Information Database)를 이용하여 호스트의 취약성에 관한 로그만을 최종 경고해줌으로써 오탐율의 양을 감소시키고 호스트 보안성의 향상과 관리자가 로그분석 등의 IDS 업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다.

  • PD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Water Supply System in Fukuoka, Japa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15-24
    • /
    • 2001
  • This study introduces an integrated decision support system (DSS) for the water supply system in Fukuoka City, Japan. The objective is to conceive a comprehensive tool that may aid decision-makers to derive the best water supply alternatives from a multi-reservoir system in order to minimize the long-term drought damages and threat of water shortage. The present DSS consists of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 database manager, and mathematical models for runoff analysis, water demand forecasting, and reservoir operation. The methodology applied explicitly integrates the drought risk assessment based on the concept of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as constraints to derive the management operation. The application of the DSS to the existing water supply system in Fukuoka City was found to be an efficient tool to facilitate the examination of a sequence of water supply scenarios toward an improved performance of the actual water supply system during periods of drought.

  • PDF

산사태취약성 분석을 통한 북한산국립공원의 생태적 위험도 평가 (An Assessment of Ecological Risk by Landslide Susceptibility in Bukhansan National Park)

  • 김경태;정성관;유주한;장갑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9-127
    • /
    • 2008
  • 본 연구는 북한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인자들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였으며, 중첩분석 및 합산평가 매트릭스분석을 이용한산사태 취약성 지도 및 생태적 위험 지표 작성을 통해 향후산사태 재해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사태 평가 인자로는 사면경사, 사면방향, 경사길이, 토양배수, 식생활력도(NDVI), 토지이용도가 선택되었으며, 공간데이터베이스는 $30m\times30m$ 해상도로 구축되었다. 분석결과, 우이동 및 도봉계곡 일대의 산사태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생태적 위험도는 도봉계곡, 용어천계곡 및 정릉계곡, 평창계곡 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이들 지역의 관리계획 수립 시 산사태 위험에 대한 영향도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통합보안관리 에이전트를 확장한 웹 어플리케이션 공격 탐지 연구 (A Study of Web Application Attack Detection extended ESM Agent)

  • 김성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61-168
    • /
    • 2007
  • 웹에 대한 공격은 웹 서버 자체의 취약점 보다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 논리, 코딩상의 오류를 이용한다. OWASP에서 웹 어플리케이션 취약점을 10가지로 분류하여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웹 해킹의 위험성과 피해가 심각함을 잘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웹 해킹에 대한 탐지능력 및 대응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웹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패턴 매칭을 이용한 필터링을 수행하거나 코드를 수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새로운 공격에 대해서는 탐지 및 방어가 어렵다. 또한 침입탐지시스템이나 웹 방화벽과 같은 단위보안 제품을 도입할 수 있지만 운영과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요구되며 많은 탐지의 오류를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와 파라미터 입력 값에 대한 타입, 길이와 같은 특성 값들을 추출하는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사전에 웹 어플리케이션 구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서 사용자 입력 값 검증의 부재에 대한 해결과 비정상적인 요청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의 프로파일 식별자를 이용하여 검증하고 공격 탐지가 가능하다.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은 현재 대부분 조직에서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일반화 되어있다. 그래서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의 보안 감사 로그 수집 에이전트에 웹 어플리케이션 공격 탐지 기능을 추가한 모델을 제시함으로서 추가 단위보안제품을 도입하지 않고서도 웹 어플리케이션 공격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GIS를 이용한 강우조건에 따른 산사태 취약지 평가 (An Estimation to Landslide Vulnerable Area of Rainfall Condition using GIS)

  • 양인태;천기선;박재국;이상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통권39호
    • /
    • pp.39-46
    • /
    • 2007
  • 강원도 지역은 산지지형이 많고 여름철 장마나 이상기후에 의한 국지적인 집중호우에 의해서 산사태가 발생하기 쉬운 자연조건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강우는 산사태를 유발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요소이다. 산사태 발생면적과 4개월간의 누적강우량과의 관련성을 분석해 보면, 3개월간의 강우량이 1,100mm 이상이 되는 지역에서는 극심한 산사태 피해가 발생하게 되고 누적강우량이 많을수록 산사태의 규모도 커진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산사태 취약지역에서 강우에 의해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일정이상의 강우가 발생하면 취약성이 낮은 지역에서도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유발인자들에 대한 GIS DB를 구축하고 산사태 취약성을 평가한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조건을 달리하면서 산사태 취약지의 분포 변화를 모의 실험하였다. 그 결과 강우량이200mm이상 발생하였을 때 산사태 발생가능성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