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ulnerability Analysis for Sensor Network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Node Compromise에 대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취약성 및 위험 평가 (Assessing Vulnerability and Risk of Sensor Networks under Node Compromise)

  • 박종서;서윤경;이슬기;이장세;김동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51-60
    • /
    • 2007
  • 현재 다양한 공격 대응을 위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네트워크와 정보시스템의 취약성을 평가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와 정보시스템의 취약성 및 위험 평가 방법론은 센서 네트워크에 직접 적용하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센서 네트워크는 전통적인 네트워크와 정보시스템과 비교해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 논문은 클러스터 기반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취약성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있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취약성을 평가하며 몇 가지 케이스를 통해 클러스터 기반 센서 네트워크의 취약성 평가 프레임워크의 실효성을 증명해 보인다.

  • PDF

센서 네트워크의 노드간 세션키 생성을 위한 개선된 프로토콜 (An Improved Protocol for Establishing A Session Key in Sensor Networks)

  • 김종은;조경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2호
    • /
    • pp.137-146
    • /
    • 2006
  • 제한된 연산 및 통신 능력을 갖는 센서 노드에서는 전통적인 공개키 기반의 보안 기법들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두 센서 노드 사이의 안전한 통신이 센서 네트워크의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되었으며 두 센서 노드 사이의 안전한 직접 통신을 위한 다양한 세션키 설정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표적인 세션키 설정 프로토콜들을 세션키 설정 방법, 세션키의 유일성, 연결성, 통신 및 연산 과부하, 공격 취약성 등의 기준 측도에 의해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위한 기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기준안을 만족시키는 개선된 세션키 생성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제안 프로토콜의 성능적 우수성을 상세한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현장 함수비 모니터링과 습윤-건조 함수특성곡선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Landslide Analysis Using the Wetting-Drying Process-Based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and Field Monitoring Data)

  • 이성철;홍문현;정상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9권5호
    • /
    • pp.13-26
    • /
    • 2023
  • 불포화토의 함수특성곡선은 산사태 평가와 토석류 분석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 적합한 모관흡수력을 통해 산사태 취약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함수특성곡선과 체적변형을 고려한 수축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국내에 분포하는 세립분이 다량함유된 SM계열 화강 풍화토이며, 산사태 해석 시 사용된 강수량의 경우 실측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내실험 시 측정된 함수특성곡선은 건조과정에서 발생 된 곡선이며, 체적변형 확인할 수 있는 수축시험을 통하여 습윤과정에서 발생되는 곡선을 재 산정하여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습윤곡선의 안전율이 건조곡선의 안전율보다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결과 현장 사면지반의 체적변형을 고려한 모관흡수력 산정이 필요함을 확인 하였다.

Key Infection의 보안성 향상을 위한 개선된 키 설정 방법 (Security-Enhanced Key Establishment Scheme for Key Infection)

  • 황영식;한승완;남택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7호
    • /
    • pp.24-31
    • /
    • 2006
  • 기존의 보안 메커니즘들은 센서 노드의 자원의 제약 사항들로 인해 센서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적용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센서 네트워크상의 보안 이슈들은 센서 네트워크의 구현에 있어서 선행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로 인식된다. 이런 보안 이슈들 중 키 설정은 두 노드들 간의 보안 통신을 위해 초기 단계에서 해결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보안 요소이다. 최근 R. Anderson 등에 의해 Key Infection이라는 commodity sensor network 상의 키 설정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key infection의 경우 공격자가 초기 키 설정 시간에 전송되는 키 정보를 감청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 본질적인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key infection의 위험 영역을 효율적으로 줄이는 보안 메커니즘을 제안함으로써 key infection의 보안성 향상을 위한 키 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보안 메커니즘은 key infection의 위험 영역을 줄이기 위해 초기 키 설정 시에 다른 이웃 노드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공유키 쌍(pair-wise key)을 생성한다. 추가적인 키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위험 영역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영역은 기존 key infection의 위험 영역보다 면적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보다 보안이 향상된 키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보안 메커니즘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논리적, 수학적 관점에서 비교 평가한다.

스마트 카드 분실 공격에 안전한 사용자 인증 스킴의 취약점 및 개선방안 (Weaknesses and Improvement of User Authentication Scheme against Smart-Card Loss Attack)

  • 최윤성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95-101
    • /
    • 2016
  • 최근에는 인터넷 및 통신망 기술의 발달과 함께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와 더불어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을 적법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 및 센서에 대한 인증기술에 대한 중요성도 커져가고 있다. 처음으로 Das가 스마트 카드와 패스워드를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인증 스킴을 제안한 이후로, 취약점 분석 및 안전한 인증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Chen 등은 스마트 카드 분실 공격에 안전한 인증 스킴을 제안하였다. Chen 등이 제안한 스킴은 효율적이지만 여전히 완전 순방향 비밀성 미보장, 익명성 미보장, GW에 의한 세션키 노출 문제와 패스워드 검사가 제공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취약점들이 분석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퍼지추출 기술, 타원곡선 암호, 동적 ID 기술 등을 스킴에 적용하여, 보안성이 향상된 사용자 인증 스킴을 제안하고, 제안하는 스킴의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IEEE 802.15.4기반 센서 네트워크에서 슬립거부 공격의 취약성 분석 및 탐지 메커니즘 (Vulnerability Analysis and Detection Mechanism against Denial of Sleep Attacks in Sensor Network based on IEEE 802.15.4)

  • 김아름;김미희;채기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7C권1호
    • /
    • pp.1-14
    • /
    • 2010
  • IEEE 802.15.4 표준기술[1]은 센서 네트워크에서 저전력을 위한 기술로 LR-WPANs(Low Rate-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의 물리 계층과 MAC계층을 규정한다. 이 표준은 무선 센서, 가상 선(Virtual Wire)과 같은 제한된 출력과 성능으로 간단한 단거리 무선 통신을 필요로 하는 폭넓은 응용에 활용되고 있지만 보안 측면의 연구는 현재 미비한 상태로 다양한 공격에 대한 취약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802.15.4 MAC계층의 슬립거부(Denial of Sleep) 공격에 대한 취약성을 분석하고 이를 탐지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분석 결과, 슈퍼프레임 구간 변경, CW(Contention Window)값 변경, 채널스캔 및 PAN 연합과정 등에서 슬립거부 공격의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었고, 이 과정 중 일부에서는 표준에서 정의한 인증과 암호화 기능이 적용되어도 공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분석된 취약점 중에 채널스캔 및 PAN 연합과정에서 Beacon/Association Request 메시지 위조를 통한 슬립거부 공격의 탐지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메커니즘은 메시지 요청 간격, 요청 노드 ID, 신호 세기 등을 모니터링하여 공격을 식별하여 탐지한다. QualNet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공격의 영향 및 제안된 탐지 메커니즘의 탐지 가능성과 성능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 분석 (Analysis of Security Technology for Internet of things)

  • 이호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3-48
    • /
    • 2017
  • 현대 사회는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제4차 산업혁명이 가져오는 지능정보사회에 다가가고 있다. 우리 주변의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등은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빅데이터가 산출되고 서로 정보를 송 수신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단말기 분실 및 물리적 파괴, 무선신호 교란 정보유출, 데이터 위 변조, 서비스 거부 등 기존의 통신환경에서 생성되는 위협들은 정보보안의 3대 요소인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침해하여 사물인터넷의 보안을 위협할 수 있다. 이런 위협에 대비하여 사물인터넷에 대한 보안과 정보유출 등의 정보보호 기술을 강화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의 구성과 활용 분야를 알아보고 각기 다른 구성요소에서 나타나는 보안 취약점이 발생할 때 대응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보안기술을 센서와 디바이스, 네트워크와 서버, 플랫폼과 앱의 3가지 구성으로 나누어 안전성 확보를 위한 보안 기술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