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wel duration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6초

음성 떨림 측정을 위한 AVTI(Acoustic Voice Tremor index)의 개발과 검증 (Acoustic Voice Tremor index in the measurement of voice trem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 김근효;이연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91-9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음성 떨림의 음향학적 측정을 위해서 AVTI(Acoustic Voice Tremor index)를 개발하고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상 성인 71명, 음성 떨림 환자 41명이 참여하였으며, 모음/아 /를 5초 이상 녹음하였다. 모음 안정구간 3초를 편집하여 Praat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음성 떨림 관련 18개의 변수 측정값을 확인하였다. 이 변수들과 청지각적 평가 전반적 중증도(overall severity, OS)를 이용하여 선형 회귀분석을 돌려 AVTI를 구성하였다. 선형 회귀분석 결과, 18개 중 4개의 변수가 유의미하게 확인되고 회귀식이 구성되었다. 내부/외부 타당도 조사에서도 평균 0.8 이상의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AVTI는 OS와 0.841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AVTI를 통해서 음성 떨림을 예측할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더욱 많은 음성샘플과 보완된 Praat script를 추가 분석해 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양성 부분 간질 환아에서 간질 발생 위치에 따른 음성언어 분석 (Acoustic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pileptic focus in benign partial epilepsy with centrotemporal spikes patients)

  • 김정태;최상훈;김선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9호
    • /
    • pp.896-900
    • /
    • 2007
  • 목 적 : 정량적인 분석으로 양성 로란딕 간질환자의 간질파 발생위치에 따른 음성 언어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항경련제를 사용한 적이 없고, 임상 증상과 검사 소견으로 양성 로란딕 간질 증후군에 합당한 초진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음성 언어 분석을 하였다. 음성언어평가는 Computerized Speech Lab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간질파 위치가 좌뇌인 환자군에서 치환에 의한 조음 오류가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환자군의 VOT는 정상아동($46.7{\pm}10.2ms$)과 비교해 훨씬 길게 나타났으며 특히 간질파 발생위치가 좌뇌인 환자군에서($74.3{\pm}36.6ms$) 더욱 길게 나타났다. 억양형태를 비교분석한 결과, 간질파 발생위치가 우뇌인 환자군에서 간질파 발생위치가 좌뇌인 환자군 보다 억양변화가 적어 운율 변동 폭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숫자세기의 자발화 길이측정에서 간질파 발생위치가 좌뇌인 환자군이 간질파 발생위치가 우뇌인 환자군 보다 길게 측정되었다. 결 론 : 양성 경과를 보이는 양성 로란딕 간질 환자에서도 조음오류 및 유창성 등 음성 언어적 문제점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양성 로란딕 간질환자의 진단과 치료 과정 중 언어음성학적인 평가를 포함시킬 것을 추천하고자 한다.

운동성 조음장애에서 폐쇄자음 발성의 음향학적 특성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top Consonant Production in the Motor Speech Disorders)

  • 홍희경;김문준;윤진;박희택;홍기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3-42
    • /
    • 2012
  • Background and Objectives : Dysarthria refers to speech disorder that causes difficulties in speech communication due to paralysis, muscle weakening, and incoordination of speech muscle mechanism caused by damaged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Pitch, strength and speed are influenced by dysarthria during detonation due to difficulties in muscle control. As evaluation items, alternate motion rate and diadochokinesis have been commonly used, and articulation is also an important evaluation i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coustic characteristics on sound production of dysarthria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Research subjects have been selected as 20 dysarthria patients and 20 subjects for control group, and voice sample was composed of bilabial, alveolar sound, and velar sound in diadochokinetic rate, while consonant articulation test was composed of bilabial plosive, alveolar plosive, velar plosive. Analysis items were composed of 1) speaking rate, energy, articulation time of diadochokinesis, 2) voice onset time (VOT), total duration (TD), vowel duration (VD), hold of plosives. Results and Conclusions : The number of diadochokinetic rate of dysarthria was smaller than control group. Both control group and dysarthria group was highly presented in the order of /t/>/p/>/k/. Minimum energy range per cycle during diadochokinetic rate of dysarthria group was smaller than control group, and present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 /k/, /ptk/. Maximum energy range was larger than control group, and present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 /ptk/. Articulation time, gap, total articulation time during diadochokinetic rate of dysarthria group was longer than control group and present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rticulation time was presented in both control group and dysarthria group in the order of /k/>/t/>/p/, while Gap was presented in the order of /p/>/t/>/k/ for control group and /p/>/k/>/t/ for dysarthria group. VOT, TD, VD regarding plosives of dysarthria group were longer than control group. Hold showed large deviation compared to control group that had appeared due to declined larynx and articulation organ motility.

  • PDF

궁형성대와 성대폴립 간의 음성 비교 (A Comparison of Acoustic Parameters between Vocal Fold Bowing and Vocal Fold Polyp)

  • 강영애;윤여훈;윤규철;성철재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0-46
    • /
    • 2011
  • Background and Objectives : Vocal fold bowing is an organic voice disorder that is associated with an abnormal structure of the vocal folds whereas vocal fold polyp is a functional voice disorder caused by an abnormal use of the vocal folds. Both types of vocal folds share a common property in that they make one's voice breathy or str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voice from two types of vocal folds and to offer information of clinical importance. Materials and Method: Vocal fold bowing and vocal fold polyp groups consisted of 7 male subjects, respectively. All subjects recorded /a/ in the state of measuring MPT (maximum phonation time), repeating 3 times, by a voice recorder (48 kHz sampling rate; 24 bit quantization). They answered the questions of K-VHI. Time domain parameters (such as perturbation parameters including HNR, Jitter, etc.) were calculated for the whole duration of /a/ and those of the frequency domain were measured in initial 40 ms and stable 40 ms of /a/, respectively. Mann-Whitney V-test was used for the time domain parameters and K-VHI survey,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applied to the frequency domain parameters (H1, H2, H1-H2). Results: For K-VHI survey and the time domain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wing and polyp group. For frequency domain analysis, H1 and H2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 between two groups. Vocal fold bowing group has longer duration and lower intensity than that of vocal fold polyp group in the 'aspirated interval', which could be observable prior to ordinary vowel oscillation. Conclusion: Both groups seem to show breathy voice. This could be referred on the basis of the value of H1-H2. The K-VHI survey says that subjects with vocal fold bowing feel more uncomfortable than subjects with vocal fold polyp.

  • PDF

노화에 따른 음질과 구어 유창성의 음향학적 특성 변화 (Change in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ice quality and speech fluency with aging)

  • 박희준;박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45-51
    • /
    • 2023
  •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음성 문제는 사회적, 정서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나아가 고립감과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화로 인한 음향학적 특성 변화를 음질과 구어 유창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년층 남성 20명과 청년층 남성 20명이 산출한 연장발성과 구절 읽기 과제를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음질 분석 변수로 기본주파수(F0), 주기 변동률(jitter), 진폭 변동률(shimmer), 켑스트럼 정점(cepstral peak prominence, CPP) 값을 분석하였으며 구어 유창성 분석 변수로는 평균 음절 길이(average syllable duration, ASD), 조음 속도(articulation rate, AR), 구어 속도(SR)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음질 측정에서 노년층의 경우 F0가 높게 나타났으며 jitter, shimmer, CPP의 결과값을 통해 음질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어 유창성 분석 결과, 노년층은 ASD, AR, SR의 결과값을 통해 느리게 발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질과 구어유창성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shimmer와 CPP 값과 각각 ASD와 SR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화에 따른 음성과 구어 유창성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훈련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 약모음 /ə/ 교수에 있어서 명시적 Form-Focused Instruction의 효과 연구 (The Effectiveness of Explicit Form-Focused Instruction in Teaching the Schwa /ə/)

  • 이윤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01-113
    • /
    • 2020
  • 본 연구는 명시적 형태 중심 교수법(FFI)이 영어 약모음 /ə/을 교실 상황에서 EFL 학생에게 교수하는 데 있어 얼마나 효과적인지 조사하였다. 25명의 고등학교 여학생이 13명은 실험집단에 12명은 통제집단으로 나뉘어 참여하였다. 또한, 미국인 여성 한 명도 비교 기준점을 위한 음성자료를 제공하였다. 실험집단 참여자는 한 달 반 동안 연구자의 발음과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해주는 인터넷 프로그램의 발음을 따라 하고, 개인별로 피드백을 받았다. 처치 전, 후 참여자들은 14개의 2음절 이상 다음절 실험단어와 그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읽었으며 읽은 문장은 음성자료로 녹음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대응 표본 t 검증과 비모수 Wilcoxon signed-rank 검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험군 참여자들은 사전 실험보다 사후 실험에서 영어 약모음을 약 40% 짧게 조음하였다. 하지만 모음 조음 공간에서 혀의 위치를 나타내는 F1/F2 formant에서 실험 참여자의 F1/F2 formant 분포형태는 이 연구의 기준점인 539 Hz (F1) × 1797 Hz (F2)와 상이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반복적인 따라 하기와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명시적인 형태 중심 교수법(FFI)이 영어 발음 교수에 일부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