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ters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2초

내용 은닉서명과 VIOT를 적용한 전자선거 프로토콜 (Election Protocol using Verifiable Interactive Oblivious Transfer and Blind Signature)

  • 김상춘;이용주;이상호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92-400
    • /
    • 2000
  • 이 논문에서는 전자선거 프로토콜 중에서 무기명 비밀투표 방식에서 요구되는 안전요구사항을 만족시킬수 있도록 RSA 공개키 암호 시스템과 내용 은닉서명 기법을 이용한 VIO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투표자의 프라이버시를 제공하고 투표자나 선거위원의 부정행위를 탐지할 수 있는 송수신 부인봉쇄 기능을 갖는 새로운 전자선거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ODA of China-Japan-Korea to Cambodia

  • Ky, Sereyvath;Lee, Cheon-Woo;Stauvermann, Peter J.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16권4호
    • /
    • pp.333-361
    • /
    • 2012
  • Development assist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Cambodia. The top bilateral donors, China, Japan, and Korea provide ODA to Cambodia in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is study tries to pull out some implications for Cambodia as recipient and for donors in order to achieve the development of Cambodia's economy-effectively by using the ODA. As a viewpoint, ODA structure emphasizes the intention of donors, either for their self-interest and benefit or for achieving MDGs. China's ODA to Cambodia seems to distort the ODA allocation by other donors with unconditional loans or loans with conditionality focusing only on infrastructure. Cambodia benefits from the better infrastructure, but it has to pay the price set by China, even for concessional loans. The driving interests of Japan and Korea are more influenced by their national policy goals and the expected perceptions of their voters. The aid projects should at least catch the attention of national media or win obvious and unbiased support from the suffering people in the recipient countries.

  • PDF

Rethinking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Feminism and Big Data

  • CHUNG, Sae Won;PARK, Han 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7권4호
    • /
    • pp.52-61
    • /
    • 2021
  • The 2020 US Presidential Election was a highly-anticipated moment for our global society. During the election period, the most intriguing issue was who would be the winner-Trump or Biden? Among the possible main themes of the 2020 election, from the COVID-19 pandemic to racism, this study focused on feminism ('women') as a main component of Biden's victory. To explore the character of Biden's supporters, this paper focused on internet spaces as a source of public opinion. To guide the data analysis, this study employed four indices from empirical studies on Big Data analytics: issue salience, attention diversity, emotional mentioning, and semantic cohesion.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the representative keyword 'women' appeared more prevalently within content related to Biden than Trump, and the keyword pairs indicated that female voters were the main reason for Trump's failure but the root cause of Biden's vic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role of the internet as a forum for public opinion and a fountain of political knowledge, which requires more rigorous investigation by researchers.

Electoralism, Ritual Process, and Voter Rationalities in Southeast Asia

  • Aguilar, Filomeno V.Jr.
    • 수완나부미
    • /
    • 제10권1호
    • /
    • pp.149-174
    • /
    • 2018
  • Southeast Asians participate in elections eagerly, a fact indexed by the high electoral participation rates across a range of political conditions in the region. What gives elections in Southeast Asia such high legitimacy? Using data from Indonesia and the Philippines, this article emphasizes the need to understand peoples' rationalities, which are informed by meanings generated by prevailing cultural practices. From this perspective, electoralism can be understood as a cultural phenomenon that conforms to the structure of a ritual. Despite the democratic deficit in many electoral exercises, elections share the attractiveness and fun of traditional community festivities. Voters participate in elections as a testament to membership in a community. Although they do not always transform the existing social arrangements, elections embed contradictory impulses in the same way that cockfights do. A procedure of formal democracy authored elsewhere, electoralism has been localized in Southeast Asia and invested with indigenous significance.

  • PDF

Still Aquamarine: China Factor and the 2020 Election Revisited

  • Kai-Ping Huang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77-106
    • /
    • 2023
  • The DPP's victory over the KMT in Taiwan's 2020 elections has been interpreted as a triumph for anti-China sentiment. However, the rise of political outsiders and their influence on voting behavior in this election were overlooked and underestimated. In this article, we examined different sources of data and found that supporters of these political outsiders mentioned sovereignty and cross-Strait issues less than the incumbent Tsai Ing-wen. However, when faced with the choice between Tsai and challenger Han Kuo-yu, voters who were concerned about governance chose Tsai, contributing to her winning a record number of votes. This article suggests that economic and governance issues had a considerable role in the election's result and will probably be the main focus of the 2024 presidential election. With the potential for a conflict in the Taiwan Strait increasing, anti-China sentiment is unlikely to be the deciding factor this time around.

후보자 이미지 형성에 관한 미디어의 차별적 효과와 미디어 이용, 대인커뮤니케이션, 투표참여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Differential Media Effects on Candidates' Image and Correlations Among Media Us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Voting Participation)

  • 김진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2권
    • /
    • pp.113-14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이용과 선거캠페인의 이용이 투표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1) 지역미디어이용과 주의 깊은 선거캠페인 이용이 대인커뮤니케이션과 투표참여에 영향을 끼쳤는가 2) 주의 깊은 선거캠페인에서 형성된 후보자 이미지가 투표에 영향을 미쳤는가, 또, 정당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지방선거에서 정당요인과 이미지요인이 투표에 어떤 영향을 가지는가 그리고 3) 각기 다른 매체들은 후보자 이미지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어떤 차별적 역할을 하는가를 검토해보았다. 연구 결과, 주의 깊은 정치캠페인 이용과 지역신문 이용은 대인커뮤니케이션의 증가를 가져왔고, 또 대인커뮤니케이션을 많이 하면 할수록, 투표참여가 높았음이 경로분석에서 드러났다. 즉, 정치참여에서 대인커뮤니케이션은 미디어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보완적 관계임이 확인되었다. 또, 투표참여의 중요한 세 변인인 이슈, 이미지, 정당 가운데, 이미지와 정당요인이 후보자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한 결과, 정당지지와 후보 결정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발견했지만, 후보자 이미지가 후보결정이나 투표참여로는 연결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미지 요인과 정당 요인 중 후보결정에는 정당 요인이 더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또, 유권자들은 자신이 이미 선호하고 있는 정당지지성향에 따라, 상대정당 후보보다 자신의 지지정당 후보의 이미지를 모든 요인에서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어, 인지균형이론의 적용을 보여주었다. 후보자 이미지에 대한 미디어의 차별적 효과는 부분적으로 증명이 되었다. 즉, 후보자의 이미지 중, 능력 요인은 TV 토론회, 인터넷 홈페이지, 홍보책자를 각각 주의 깊게 이용한 실험집단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성연구의 차별적으로 기여하는 점은 기존의 연구는 기업의 명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문항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비해서 실제 국내에서 명성을 축적한 기업을 대상으로 명성측정을 개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각 기업의 명성을 계량화하고 명성을 구성하는 차원이 실제 명성에 어떻게 기여했는지에 대해서 파악했다는 점이다. 이는 실무적으로 보았을 때 홍보담당자가 자신의 기업홍보활동이 기업명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 경쟁기업의 홍보활동에 비해서 얼마만큼 효율적이었는지에 대한 평가기준을 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어에 대한 차별성 내지 특수성에 기인하는 동기들에 비해 전체적으로 강하다. 또한 기존 이론과 연구들에서 유의미한 이동전화 이용의 요인으로 제기된 사회심리적 특성들은 조사대상인 청소년들에 있어서도 큰 차이 없이 일반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그 중에서도 "혁신성"과 "타인지향성"이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X>62mL, 부분반응군 330${\pm}$136mL, 무반응군 140${\pm}$43mL, 야간 다뇨는 각각 59.3$\%$(16/27), 40.7$\%$(11/27), 0$\%$(0/27)로 야간 요량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치료 효과가 좋았다(P<0.05). 일회 최대 요량은 완전반응군 236${\pm}$42 mL, 부분반응군 209${\pm}$56 mL, 무반응군 107${\pm}$36mL로 최대 요량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치료 효과가 좋았다 (p<0.05). 연령, 성별, 일일 수분 섭취량, 다음, 일일 요량과 다뇨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야간 수분

  • PDF

Effects of Political Campaign Materials on Party and Non-Party Voting Supporters

  • Idid, Syed Arabi;Souket, Rizwanah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권4호
    • /
    • pp.307-344
    • /
    • 2014
  • Political parties would normally claim that their campaign and communication materials have effects on voters, be it on their supporters or their opponents during election campaigns. However, such effects are assumed effects by the parties unless voters are themselves assessed about the effects of such materials on themselves. The supporters of the parties are likely to regard such campaign materials as congenial to them but this may not be so with the opposition supporters who would regard such materials as negative. Taking the third-person effect to analyze effects on the audience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posited that opposition members would regard the materials as negative and thus would claim that they would not have any effect on them but they would likely say that such campaign materials would have effects on own party supporters. Davison (1983) posited that individuals will perceive that negative mediated messages would have their greatest impact not "on me" or "you" but on "them,"- the third person. Research suggests that people judge others to be more influenced than they are by media, advertising, libelous messages, media violence, pornography, and television drama. The theory referred to as the Third-person effect developed on the postulation that audience members would not admit that media had any direct effect on them, but would instead believe that the media influenced others, the third person (Tewksbury, Moy, & Weis, 2004; Price, Tewksbury, & Huang, 1998). On the other hand, while people would discount the effects of negative or biased messages on themselves, they would, under the notion of the First Person Effect, readily admit to being influenced by such messages. This study was based on studying the effects of political literature on party and opposition party supporters taking the messages to be positive to one group and biased and partisan to another group. The study focuses on the assumed effects of political literature on own party and opposition party supporters. It traces the degree of influence of Malaysia's largest political party, Barisan Nasional (BN) political communication literature on its own supporters and on non-BN party supporters. While the third-person effect assumes a null or minimal effect on one's self and some or strong effect on others, the question that arises are on welcoming favorable media effects on oneself and assuming unfavorable effects on others.

지방분권제도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분석: 재정자치 및 국회의원경선제도 (A Political Economic Analysis of Decentralization: Fiscal Autonomy and Primary System)

  • 김재훈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1권1호
    • /
    • pp.27-69
    • /
    • 2009
  • 본 연구는 지방교부세제도에서는 어떤 자치단체장이라도 지방교부금의 상한까지 사용하려 하고 재원이 다른 용도로 사용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측면에서 지방세를 통한 지방재원 조달의 경우보다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이론적으로 보이고 있다. 특히, 지방교부세제도의 경우에는 지방정부의 재정한계를 감소시키더라도 이러한 재정낭비의 가능성은 감소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보다 효율적인 지방자치를 위해서는 국세의 지방세로의 전환을 통하여 지방재원이 지역주민으로부터 나오는 지방세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더 나아가 현행 지방교부세제도와 지방세 및 국세 체계를 개편하여 지방에서 사용하는 재원은 기본적으로 지방이 부담한다는 원칙을 확립할 필요성이 있다. 다시 말하면, 자치단체의 권한과 책무를 엄격하게 규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재정권한 또한 부여되었을 때에만 재정의 낭비적 요소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상향식 공천제도인 경선제도를 통하여 지역정치인으로서 능력이 검증된 인물들이 중앙정치로 나아갈 수 있는 경로를 열어주고, 이를 통하여 현직 지역구의원과의 경쟁을 통하여 현직 지역구의원들의 지역발전을 위한 더 많은 노력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앙정치의 발전뿐만 아니라 지역발전에 보다 효율적인 제도라는 것을 보이고 있다. 다른 한편, 이러한 경선제도는 중앙정치로의 유인제공을 통하여 지방정치인의 지대추구행위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경선제도는 중앙정치에 참여하고자 하는 많은 능력 있는 인물들을 지방정치로 유도함으로써 지방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중앙정치와 지방정치의 선순환적인 구조를 통하여 중앙정치와 지방분권 및 지역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경선제도의 도입이 긴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대통령후보 TV합동토론 형식(Format) 비교 연구: 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최 합동토론회를 중심으로 (Format Study of 2002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Sponsored by Presidential Debate Committee)

  • 송종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2권
    • /
    • pp.107-130
    • /
    • 2003
  • 본 논문은 2002년 대통령후보초청 TV합동토론회에서 채택된 토론형식(Format)을 비교 평가하였다. 현재 대통령선거운동기간중의 후보초청TV토론은 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주관한다. 그러나 토론위원회가 방송사와 후보자들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토론형식을 개발하고 토론회를 준비하는 과정에는 많은 제한이 많다. 이번 대통령선거에서 토론위원회는 후보자간의 1:1 토론과 후보자들이 사전에 질문을 준비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토론위원회는 이를 통해 당선가능성이 있는 유력후보간의 토론을 가능하게 하고 후보자들이 정책토론에 집중하도록 유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후보간의 직접충돌이 허용되는 토론형식은 토론위원회의 기대와 달리 정책 중심의 토론보다는 이미지 중심의 토론이 나타날 가능성이 많은 토론 형식이다. 분석결과 역시 새롭게 도입된 토론형식이 기존토론형식 보다 나은 토론 내용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토론형식에 대한 평가작업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토론형식에 대한 평가는 다음 대통령선거를 준비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 PDF

한국 정당의 이슈 소유권(issue ownership)과 유권자 투표행태: 20대 총선을 중심으로 (Perceptions of Issue Ownership and Party Choice: A Case of the Korean Legislative Election, 2016)

  • 최효노
    • 의정연구
    • /
    • 제24권1호
    • /
    • pp.171-202
    • /
    • 2018
  • 이슈 소유권(issue ownership)은 특정 이슈나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정당의 능력에 대한 평판이다. 특정 이슈에 대해 다른 정당보다 최상의 해결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정당이 해당 이슈를 소유하고 있다고 말한다. 기존연구에 의하면 유권자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슈의 소유권자로 인식되는 정당에 투표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 이슈 중요성(salience)은 이슈 소유권 투표(issue ownership voting)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슈 소유권 투표의 또 다른 조건으로 이슈 소유권을 주장하는 정당의 행태에 따라 이슈 소유권에 대한 인식이 투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2016년에 실시된 20대 총선 당시 더불어민주당은 경제정당으로서의 면모를 강조하고 새누리당과는 다른 성장 전략을 제시하면서 새누리당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 이슈 소유권을 뺏어 오려고 했다. 연구결과, 19대 총선과 비교해 민주당이 경제 이슈 소유권자라는 인식이 정당 지지자 및 이탈자, 무당파 집단에서 모두 증가하면서 민주당의 선거 전략은 유권자에게 어필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민주당이 경제 이슈 소유권자라는 인식은 경제 이슈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권자가 민주당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새누리당이 경제 이슈 소유권자라는 인식이나 국민의당이 경제 이슈 소유권자라는 인식은 경제 이슈를 중시하는 유권자의 해당 정당 투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슈 중요성 이외에 정당의 행태가 이슈 소유권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이라는 것을 밝힘으로써 이슈 소유권 이론에 기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