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ter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7초

EC-ELGAMAL 준동형 암호화기반 전자투표 (EC-ELGAMAL Homomorphic Cryptography based E-voting System)

  • 서화정;김호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909-916
    • /
    • 2013
  • 디지털로 처리되는 전자투표의 실현은 사회전반에 걸쳐 유권자 투표참여의 확대, 신속한 개표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정치적, 사회적 그리고 기술적 혁명을 가지고 오게 될 기술이다. 하지만 기술도입에 있어 안전한 보안투표 기술이 제공되지 않고는 실용화에 큰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EC-ELGAMAL 준동형 암호화기반 전자투표 프로토콜을 통해 중간과정에서 복호화 과정없이 투표정보를 종합하여 중앙 서버에 보내게 되고 이를 중앙 서버에서 개표가 가능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사용자는 중앙서버에서 제공해 주는 pseudo 아이디를 통해 익명성을 보장받음과 동시에 자신의 투표권이 반영되었음을 Bloom Filter기술을 통해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더불어 속성기반 정보를 투표자 정보와 결부시켜 투표자의 익명성을 보장받음과 동시에 서버에서는 투표자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Effect of Forced Exposure to Crosscutting Information: What Is the Effect of Broadcast News Shows That Deliver Opposing Opinions?

  • Sangik Han;Sungjoong Kim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304-326
    • /
    • 2023
  • News shows often deliver crosscutting information to their audiences by inviting commentators from rival political parties. If these news shows foster the formation of informed and balanced views of the audience, mass media could provide countermeasures against political polarization. To test the effect of such news shows,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two variants of a simulated radio talk show. In the partisan scenario, the two guest commentators' affiliations suggested their ideological orientation. In the non-partisan scenario, the commentators had neutral affiliations. We divided participants into two ideology groups, liberals and conservative, and compared each group's evaluation of the commentators in the two scenarios. Two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ideology of the commentators on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the commentators' arguments depending on their own ideological inclinations. The analyses results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anticipated partisan attitudes towards the commentators' arguments. It was only the liberal respondents wh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attitudes toward commentators' arguments in each of the two scenarios. The findings suggest that such broadcast shows do not automatically trigger partisan message processing and may help the audience to develop informed and balanced opinions. While the current study failed to find conclusive evidence to support the hypotheses, it also found that the perceived ideology of the information source may trigger partisan attitudes for certain types of issues. Future studies with different experiment design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issue further.

The Biometric based Mobile ID and Its Application to Electronic Voting

  • Yun, Sung-Hyun;Lim, Heui-Seo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1호
    • /
    • pp.166-183
    • /
    • 2013
  • It requires a lot of costs and manpower to manage an election. The electronic voting scheme can make the election system economic and trustful. The widespread use of smart phones causes mobile voting to be a major issue. The smart phone can be used as a mobile voting platform since it can carry out many services in addition to basic telephone service. To make mobile voting practical and trustful, we analyzed two subjects of study. Firstly, the way to make a biometric based mobile ID, which has legal binding forces. In mobile voting, user identification is accomplished on line since the voter should be able to vote wherever they go. The digital ID conducts a similar role to the need for a resident card. The user's identity is bound to the resident card legally. To bind the user's identity to the smart phone, we use USIM. Biometric recognition is also needed to authenticate the user, since the user cannot prove him or her on line face-to-face. The proposed mobile ID can be reissued by means of introducing a random secret value. Secondly, the mobile voting scheme is proposed where candidates can accept election results without doubt. The goal of an election is to select a leader among two or more candidates. Existing electronic voting schemes mainly focus on the study of ballot verification accomplished by voters. These approaches are not safe against collusion attacks where candidates and the election administration center are able to collude to fabricate election results. Therefore, a new type of voting and counting method is needed where candidates can directly take part in voting and counting stages. The biometric based multi-signature scheme is used to make the undeniable multi-signed ballot. The ballot cannot be verified without the help of all candidates. If candidates accept election results without a doubt, the fairness of the election is satisfied.

소프트웨어 결함허용 기법에 의한 열차제어시스템 신뢰도 분석 (Reliability Analysis for Train Control System by Software Fault Tolerance Techniques)

  • 서석철;이종우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1043-1048
    • /
    • 2009
  • 열차제어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발전에 의해 PES가 사용되고 있다. PES는 현재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고, 하드웨어, 펌웨어,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PES의 실행이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PES는 많은 응용분야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많은 안전 필수 기능들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행되고 있다. 보통 PES는 매우 복잡하여 결함의 근원을 발견하기 쉽지 않다. 그래서 소프트웨어 결함허용 기법을 이용한 신뢰도 해석이 필요하다. 현재 소프트웨어 결함허용 기법에는 복구블록, 분산 복구 블록, N-버전 프로그래밍, N 자기검사 프로그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결함허용 기법 중에 복구 블록과 N-버전 프로그래밍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열차제어시스템의 신뢰도를 시간 변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결함 발생률, 수용테스트 결함발생률, 보터의 결함발생률은 고정시켰다. 그래서 시간과 신뢰도 사이의 관계를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서 제시하였다. 같은 수의 대체블록이 있는 경우에 신뢰도 분석결과 복구 블록의 신뢰도는 N-버전 프로그래밍의 신뢰도보다 높게 해석되었다.

선호와 정치제도를 중심으로 한 사회정책 발달이론의 모색 (Explaining the Development of Social Policy: Social Policy Preferences and Political Institution)

  • 홍경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35-59
    • /
    • 2009
  • 이 연구는 사회성원들의 사회정책 선호와 그러한 선호 표출의 제도적 장치인 정치제도에 따라 사회정책이 결정됨을 이론모형으로 제시하려 했다. 우선, 직접 민주주의 정치체제에서는 중위투표자의 사회정책 선호가 집합적 선택의 결과가 된다. 따라서 사회성원들의 사회정책 선호가 사회정책의 결정을 설명하는 핵심적 변수이다. 하지만 현실에서 사회정책의 결정은 직접 민주주의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정책에 대한 집합적 선택의 기제인 정치제도를 선거경쟁의 제도화 여부와 선거규칙의 특성에 따라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그를 통해 사회성원들의 선호가 동일하다고 할지라도 사회정책에 대한 집합적 선택의 기제인 정치제도에 따라 집합적으로 결정되는 사회정책의 수준은 상이하다는 점을 보이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이 글에서 제시한 이론모형은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복지체제들이 사회성원들의 선호를 제약하는 제도적 조건들, 그에 따라 나타나는 사회성원들의 사회정책 선호, 그리고 사회성원들의 사회정책 선호를 집합적으로 모으는 정치제도의 차이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 PDF

정치제도가 사회정책의 발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Patterns of Political Institutions and Social Policy Developments)

  • 홍경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3호
    • /
    • pp.141-162
    • /
    • 2010
  • 이 연구는 사회정책의 결과는 사회성원들의 사회정책 선호를 집합적인 의사결정으로 전환하는 기제, 즉 정치제도의 차이와 관련된다는 이론모형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위특성을 가진 사회성원이 사회정책을 선호한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선호를 집합적으로 모으는 제도적 장치가 어떻게 작동하느냐에 따라 사회정책의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분석결과 사회정책에 대한 직능제약 선호만 놓고 보면 일본과 한국은 조정시장경제로 분류되는 다른 국가들 못지않다. 하지만 일본과 한국은 조정시장경제나 자유시장경제로 분류되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민주주의 정치제도의 발전정도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으며, 노동인구를 표적집단으로 하는 사회정책 프로그램의 발전 정도 또한 낮다. 이러한 비교양상은 사회성원들의 선호를 집합적 의사 결정의 바탕으로 삼는 민주주의 정치제도의 낙후성이 사회성원들의 사회정책 선호와 실제 사회정책 발전 사이의 괴리라는 현상과 관련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편 민주주의 정치제도가 어느 정도 발전해 있는 국가들 사이에서는 사회정책에 대한 사회성원들의 직능제약 선호의 차이 뿐 아니라, 선거규칙이라는 정치제도의 측면에서도 차이가 발견된다. 결국 16개 국가들의 종합적 양상은 사회성원들의 사회정책 선호와 그것을 집합적으로 모으는 정치제도, 그리고 실제 사회정책 발전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 PDF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대학생의 선거 참여 인식 연구 - K대 학생의 예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participation in elections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 - 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 최현석;권윤지;하정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2호
    • /
    • pp.379-390
    • /
    • 2013
  • 선거 참여에 관한 K대 학생들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선거 참여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감소시켜 건전한 정치참여를 유도하고 효과적으로 투표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K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선거에 대한 이미지, 관심, 참여 의지 사이의 관계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선거에 대한 이미지와 선거에 대한 관심 모두 선거 참여 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거 참여 여부를 조절변수로 한 분석에서는 선거에 참여한 사람들의 경우, 참여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선거에 대한 이미지가 선거 참여 의지 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거에 대한 관심의 선거 참여 의지 정도에는 선거 참여 여부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 총선 출구조사의 총조사오차 분석 (A Total Survey Error Analysis of the Exit Polling for General Election 2008 in Korea)

  • 김영원;곽은선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1권3호
    • /
    • pp.33-5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2008년 18대 총선의 출구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출구조사의 정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총조사오차 개념을 새로 정의하고, 출구조사에서 발생하는 총조사오차가 투표소 추출오차와 투표자 선정 및 응답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사오차 중 어떤 것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지 분석했다. 또한 선거구별 무응답률이 총조사오차와 실사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투표율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출구조사 표본의 대표성을 검증했다. 분석 결과 선거구 내 표본 투표소 추출 관련 오차보다는 표본투표소 내에서 투표자 선택 및 응답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응답률과 실사오차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특정한 지지성향을 갖는 사람들의 응답 거절로 인해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오차가 커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아울러 선관위와 출구조사 자료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성/연령대별 구성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rength Map of Presidential Candidates 2019 in Indonesia Based on a NodeXL Analysis of Big Data from Twitter

  • Suratnoaji, Catur;Arianto, Irwan Dwi;Sumardjijati, Sumardjijati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31-38
    • /
    • 2018
  • Leading up to the 2019 presidential election in Indonesia, campaigns have emerged through social media, particularly Twitter, using various hashtags, such as #2019GantiPresiden (2019 Change President) and #TetapJokowi (Always Jokowi).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presidential candidates' power map in forming opinions and influencing voter behavior by analyzing Twitter from August 6, 2018 to September 15, 2018, just before the beginning of the official campaign period, by searching for the keyword "pemilihan presiden RI Tahun 2019" (RI presidential election in 2019). According to our NodeXL's analysis, there were 1,650 active Twitter users talking about the 2019 presidential election. The 1,650 Twitter users have formed a communication network of 46,750 relationships formed from messages in the form of tweets, comments, and retweets. Our analysis found that those mentioning "pilihan presiden 2019" form large communication networks around four clusters: one for each of the two candidates (Jokowi and Prabowo) and two for opinion leaders who are undecided about the election (Gus Mus and Mas Piyu). GusMus is a religious leader, as an official of the PBNU Rais Syuriah (an Islamic organization) and has a large following both on and off Twitter. "MasPiyu" is an unidentified Twitter user; he only has a large following on Twitter, but does not have support offline.

Analysis of Fake News in the 2017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 Go, Seon-gyu;Lee, Mi-ran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05-12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1) who created and distributed fake news, 2) the distribution channels of fake news, 3) who fake news has targeted, and 4) the effects on voting and the impact of fake news on Korean politics. In South Korea, fake news was mainly created by candidates or election campaigns. The reason is that in the wake of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uen Hye, all the political parties in Korea used fake news as a means of mobilizing supporters for each of their candidates or parties to gain an advantage in situations involving political divisions and confrontations between the pro-impeachment, progressive young generation and anti-impeachment, conservative senior generation. Voters' media usage patterns were polarized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SNS) media and television. Fake news was mostly received through these two media outlets. According to the spreading structure of fake news in Korea, the younger generation generally uses SNS posts intended for unspecified individuals, and the older generation uses closed SNS like KakaoTalk or Naver's BAND. In the end, it is typically characteristic of the older generation to spread fake news through existing offline human networks. In the 2017 presidential election, fake news has been confirmed to have the effect of mobilizing supporters for each political party.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an increase in voter turnout was confirmed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those in their 60s or older. Evidently, fake news influenced the election of Moon Jae-In. The influence of fake news is expected to grow further as ideological polarization and consequent political polarization continues to intensify i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