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unteerism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2초

공공도서관의 자원봉사 활용실태 및 관리모델 연구 (A Model to Utilize the Volunteer Service in Public Libraries)

  • 설문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33-258
    • /
    • 2002
  • 자원봉사의 활용은 도서관 서비스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중요한 전략으로서, 활용 영역을 적극 개발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자원봉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적극 활용하기 위한 관리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미국과 일본의 도서관 자원봉사 추세를 조사하였고 전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원봉사활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단계별 자원봉사 관리 모델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공공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세부 관리 지침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의 기부현황과 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특히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Suggestions to Activate Philanthropy including Gifts, Donations and Volunteerism for the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오동근;김인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7-227
    • /
    • 2003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부의 구체적인 내용들을 이론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검토하고, 대구광역시의 8개공공도서관(분관제외)을 중심으로 물질적 기부와 시간적 기부(자원봉사)로 나누어 그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대구지역 공공도서관의 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부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manual)들이 문서화되어야 하며, 다양한 기부방법 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기부자의 지속적인 참여를 위해 개인과 단체에 대한 관리, 모집, 교육 및 훈련, 보상의 기준설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도서관장과 직원들의 기부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노력이 필요하다.

과학적 태도 요소 선정 및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Scientific Attitudes in School, Home and Social Situations and Selection of Scientific Attitude Elements)

  • 송영욱;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5-38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 연구의 과학적 태도 요소를 고찰하여 중요한 과학적 태도 요소를 선정하고, 학교 실험실 상황 및 사회, 가정 상황에서 과학적 태도를 묻는 문항을 개발하여, 중학생들의 학교, 가정, 사회 상황에 과학적 태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국내 외 연구의 과학적 태도 요소를 조사하여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과학적 태도 요소로 개방성, 객관성, 계속성, 비판성, 신중성, 자진성, 정직성, 준비성, 협동성, 호기심을 선정하였다.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 개발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예비문항 제작 단계', '판단 단계', '타당도 검토 단계'로 진행하였고 선정한 과학적 태도 요소와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는 8학년이 7학년, 9학년에 비해 유의하게 낮고, 상황별 과학적 태도는 사회, 가정, 학교 상황으로 높고, 성별로 상황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기반 조직을 이용한 지역사회역량의 측정과 건강증진 기획 -서울시 S구를 중심으로- (The Measurement of Community Capacity Using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Network and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lans)

  • 정민수;길진표;조병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5-48
    • /
    • 2009
  • Objectives: The community network is a foundation laid by the local community which has been formed historically and geographically to develop itself. This paper as a Korean way of healthy network survey for the community capacity building is an exploratory research to grasp the character of Korean society and then to organize an resident-governing partnership for that. Methods: Research objectives are CBOs(Community-Based Organizations) in S-district of Seoul. This region is a new town, however the solidarity and volunteerism of this resident is lively. The survey tool is Cho's CBOs Evaluation Questionnaire which was originated to measure the community capacity. The period of survey is from the January 2009 to the March 2009 and the study organizations which were collected by snowball sampling were 80. Results: The result shows two main networks: one is the civil society and craft union cluster, the other is welfare organization cluster. Groups of high centrality were organizations whose members are mainly women and craft organizations which were organized before 1990's. The group of high betweenness was the Association of Women's Organizations(0.188). Bi-components were six and they could be divided by organization's aim. In terms of the determinants of the participation to the health center enterprise, only the number of link(B=-0.60, p<0.04)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that when organization variables are controlled a tendency appears: the more the voluntary associations network, the less participation in the health enterprise. Conclusion: CBHOs(Community-Based Health Organizations) enhances residents' spontaneity and cohesion to increase the capability of the local community. If the surveyed healthy network, together the community health project, are used for various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the existing CBOs including CBHOs will be reorganized and furthered newly. For this it will be needed to construct an effective partnership of healthy network by restructuring the existing networks of voluntary associations.

성별에 따른 고령자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the Elder's Life Satisfaction by Gender)

  • 유소현;박창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44-252
    • /
    • 2018
  • 본 연구는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성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통계청 2013년 사회조사 자료에 포함된 60세 이상 고령자 9,456명(남성고령자 4,113명, 여성고령자 5,343명)이었다. 순서형 로짓 회귀분석을 한 결과 남녀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이 다른 경우도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연령은 남성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육수준은 남성 고령자와 여성 고령자 공히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아주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셋째, 배우자가 있으면 남성의 생활만족도에만 통계적으로 아주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가구소득이 남성 고령자와 여성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소비생활만족도는 남녀 고령자 모두의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아주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남녀 고령자 모두 자기 집이 있는 경우가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아주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노후준비 역시 남녀 고령자 모두의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아주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3가지 유형의 사회적지지 모두가 남녀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아홉째, 자녀와 동거는 남녀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공히 부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열째, 자원봉사활동은 남성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열한째, 사회단체참여는 남녀 고령자 모두의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공히 아주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대학생 해외자원봉사활동 참여학생의 세계시민의식 변화 (Changes in the Global Citizenship of Participants in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 송병철;김민경;오창석;신수진;한진아;김수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7-168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on changes in global citizenship.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one-group pre-posttest design. The study's subjects wer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37th World Friends Korea Youth Volunteer Corps in 2018. Among them, 158 students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tool for measuring global citizenship was comprised of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willingness to practi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to p<.05. Results : Among the study's participants, there were 123 females (77.85 %). By grade, there were the most juniors, with 68 (43.04 %). There were 53 (33.55 %) seniors, 28 (18.35 %) sophomores, and eight freshmen (5.06 %). Among all participants, 52.53 % had experience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63.92 % had experience in activitie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Because of analyzing the changes in global citizenship before and after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skill" increased the most, from 3.51±.65 points to 4.34±.56 points (p< .001). Due to analyzing changes in global citizenship before and after overseas volunteerism,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freshm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with 1.17± 1.23 (p=.011) and 1.41±1.22 (p=.008), respectively. Participants with global citizenship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change in attitude (p=.018). Conclusion :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university brought a positive change to global citizenship. Providing opportunitie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activiti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future will maximize the effects of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to improve global citizenship.

한국형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Developing a Scale for Measuring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Korea Corporation: Focusing on the Consumers' Awareness)

  • 박종철;김경진;이한준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27-52
    • /
    • 2010
  • 그동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척도개발이 국·내외적으로 일부 연구자들에서 수행되어져 왔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측정하고 있는 구성개념(측정항목)들에 대한 이론적 배경의 결핍과 기업의 네 가지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이 과연 서로 이질적인 차원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관련된 지난 30년간 발표된 정량적 분석에 의하면, 대부분의 연구들이 측정항목과 방법론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CSR)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오래 지속되고 있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차원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어떻게 바라보는지, 혹은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해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척도가 서구사회 위주로 개발되어 국내에서 인용되다보니, 국내 특성에 맞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이해관계들을 대상을 집단면접(FGI)을 실시하여 국내 상황에 맞는 척도를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새로운 척도가 기존 척도에 비하여 더 높은 예측력을 지니는지를 간접적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새롭게 개발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척도는 다음과 같다. 우선, 경제적 책임은 '제품의 품질개선 노력', '고객의 불평처리에 대한 체계구축', '이윤창출을 통한 국가 경제발전 이바지', '고용창출 노력', 법률적 책임으로는 '법적기준 준수', '직원들의 복지추구와 고용 관련법 준수', '명시된 계약적 책임이행', '기업경영 관련법 준수', '소비자보호법 준수', 윤리적 책임으로는 '윤리강령 지침마련', '과장광고나 허위광고', '투명경영', '사업파트너와의 공정한 거래', 자선적 책임으로는 '지역사회와의 협력사업', '스포츠 및 문화활동 지원', '지역사회 봉사', '사회환원' 등이다. 연구결과는 국내 기업들에게 경제적 책임활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지시키고 있으며, 특히 국내 기업들에게 자사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