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the Global Citizenship of Participants in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 해외자원봉사활동 참여학생의 세계시민의식 변화

  • Song, Byung-Chul (Crossbio Lab) ;
  • Kim, Min-Kyung (Dept. of Health and Medical Administration, Dongju College) ;
  • Oh, Chang-Seok (Dept. of Healthcare Management, Youngsan University) ;
  • Shin, Soo-Jin (Dep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n, Jin-A (Dept. of Prevention Medicine and Public health,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Soo-Jeong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Dongseo University)
  • 송병철 (크로스바이오연구소(주)) ;
  • 김민경 (동주대학교 보건의료행정과) ;
  • 오창석 (영산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신수진 (서울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
  • 한진아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수정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22.01.11
  • Accepted : 2022.02.25
  • Published : 2022.02.28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on changes in global citizenship.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one-group pre-posttest design. The study's subjects wer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37th World Friends Korea Youth Volunteer Corps in 2018. Among them, 158 students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tool for measuring global citizenship was comprised of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willingness to practi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to p<.05. Results : Among the study's participants, there were 123 females (77.85 %). By grade, there were the most juniors, with 68 (43.04 %). There were 53 (33.55 %) seniors, 28 (18.35 %) sophomores, and eight freshmen (5.06 %). Among all participants, 52.53 % had experience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63.92 % had experience in activitie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Because of analyzing the changes in global citizenship before and after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skill" increased the most, from 3.51±.65 points to 4.34±.56 points (p< .001). Due to analyzing changes in global citizenship before and after overseas volunteerism,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freshm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with 1.17± 1.23 (p=.011) and 1.41±1.22 (p=.008), respectively. Participants with global citizenship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change in attitude (p=.018). Conclusion :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university brought a positive change to global citizenship. Providing opportunitie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activiti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future will maximize the effects of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to improve global citizenship.

Keywords

Ⅰ. 서 론

세계시민교육은 2012년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글로벌 교육 우선 구상(global education first initiatives; GEFI)’ 의 세 번째 우선순위로 세계시민 육성을 제안하고 (UN, 2012), 2015년 유엔 총회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의 하나로 세계시민 의식 함양의 필요성을 강조함에 따라 국제사회의 교육목표로 부상하였다(UN, 2021). 이와 더불어 글로벌 시민사회로 시민의 역할과 책무를 규정하고 사회구성원들이 이를 갖출 수 있는 세계시민교육은 필수적이다(So 등, 2018). 세계시민교육이란 세계시민성을 함양한 세계시민을 길러내기 위한 교육으로 ‘보다 정의롭고 평화로우며 관용적이고 포용적이며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드는 데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지식, 기술, 가치와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교육’으로 정의된다(UNESCO, 2014). 이는 사람들이 본질적으로 자신과는 다른 견해를 갖고 있다는 관점에서 시작하여 문화적 배경이 다른 이웃을 이해하고 존중함과 동시에 국경을 초월하여 세계 공통의 관심사인 인간애의 실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Lee, 2017; Sung, 2010). 세계시민교육을 통해 세계시민 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데, 세계시민의식(global citizenship)은 세계시민으로서 책임감을 기반으로 한 공동의 문제해결과 변화를 위한 실천을 강조한다(Hett, 1993; Reysen & Katzarska-Miller, 2013). 이는 세계화된 사회에서 인류의 번영을 도모하고, 기본권을 향상시키며, 믿음과 실천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다(Dower & Jone, 2002). 최근 세계화 시대에 국가 간 협력이 강조되면서 미래 사회의 주역인 대학생들에게 세계시민의식 함양은 교육의 중요한 측면이 되었고(Kim, 2015), 이에 대학은 이를 반영하여 대학교육의 현장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Chae 등, 2015). 대학 뿐 아니라 정부, 월드비전, 굿네이버스, 한국기아대책기구, 지구촌나눔운동 등 비정부기구 등에서도 다양한 세계시민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외교부 산하의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ODA 교육원에서는 온라인연수인 ‘KOICA와 함께 하는 세계시민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2009년부터 대학 및 대학원에 국제개발협력과 관련된 교과목을 개설하고 세계시민교육을 포함한 국제 개발 협력의 이해증진을 위한 지원을 이어오고 있다 (ODAKOREA, 2021). 뿐만 아니라 정부가 추진하는 해외봉사단 파견 사업인 ‘월드프렌즈 청년봉사단’을 통해서 1997년 131명의 대학생 파견을 시작으로 21년간 10, 459 명의 대학생을 파견해 교육 및 노력봉사, 문화교류, 보건 및 생활체육 등 다양한 주제의 프로그램을 통한 세계시민 의식 고취를 지원하고 있다(Korean university council for social service, 2019).

최근 연구에 의하면 대학생들의 국제개발협력과 세계시민 교육에 참여 의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Kim 등, 2021a), 요구를 반영한 충분한 세계시민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지적하며 다각적인 교육이 제공되기를 원하고 있었다(Kim 등, 2021a; Kim 등, 2021b). 세계시민 의식 관련 연구에서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 관련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 지식, 스킬, 실천 의지, 의식수준 등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Choi, 2017; Kim 등, 2021; Lee & Ryu, 2020; Ryu 등, 2019; So 등, 2018). 또한, 새마을국제개발학 관련 전공자가 기타전공자에 비해 세계시민의식이 높았음이 보고되었다 (Lee 등, 2020). 세계시민의식은 해외자원봉사를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다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나(Kang & Hong, 2015; Kim, 2015; Son, 2016; Kim 등, 2010),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대학생용 세계시민의식 척도를 사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개발된 세계시민 의식 척도는 지식, 스킬, 태도, 실천의지 측면에서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을 평가하는데 사용되고 있다(Ko 등, 2019; Yoon, 2017).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 세계시민의식 평가도구를 사용해 해외자원봉사활동 참여 전후 세계 시민의식의 변화를 파악하여 향후 해외자원봉사활동 지원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이 연구는 월드프렌즈 청년봉사단을 통해 해외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세계시민의식 하위영역인 지식, 스킬, 태도, 실천 의지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로 수행된 유사 실험연구이다.

2. 연구대상

2018년 37기 월드프렌즈 청년봉사단에 참여한 대학생 196명 전수를 연구대상자에 포함하였다. 사전 설문조사에는 모든 연구대상자가 참여하였으나 사후 설문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158명이었고, 사전-사후 설문조사 모두 참여한 158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분석하였다.

3. 조사도구 및 자료수집

이 연구에 사용된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 측정 도구는 지식, 스킬, 태도, 실천의지인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Yoon, 2017). 지식(7문항)은 국가사회를 넘어서 더 넓은 세계가 있다는 것을 알고 세계의 상호 의존적 체제를 이해하는 것으로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인지적 역량이며(Cogan & Ray, 2014; Song, 2014), 사회정의, 다문화, 지속가능발전 등에 대한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으로 포함하는 개념이다(Yoon, 2017). 스킬(8 문항)은 지구촌 이슈에 관하여 비판적이며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인적인 역량인 분석적 스킬과 지구촌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다른 구성원들과 원만히 의사소통하며 네트워킹 할 수 있는 역량인 사회적 스킬을 포함한다(Yoon, 2017). 태도(7 문항)는 다른 삶의 방식과 문화적 다양성, 인권, 평등, 평화, 지속가능성 등에 대한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에 헌신하는 태도를 측정한다(Cogan & Ray, 2014; Yoon, 2017). 실천의지(9문항)는 타인에 대한 연민을 바탕으로 한 공감적 실천과 세계와 지역 체제에 대한 공의적 실천을 포함하는 것으로(Yoon, 2017), 지식, 스킬, 태도의 세 요소를 기반으로 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이며 책임감 있게 지역적, 국가적, 세계적 수준에서 실천하고 행동하는 것을 측정한다(UNESCO, 2014; UNESCO, 2015). 모든 항목은 리커트 5점 척도로 ‘매우 그렇지 않다’에 1점, ‘매우 그렇다’에 5점을 부여해 점수가 높을수록 세계시민 의식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세계시민의식 도구의 신뢰도는 Yoon의 연구(Yoon, 2017)에서 chronbach’s α 값이 .896이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지식 요인 .845, 스킬 요인 .852, 태도 요인 .833, 실천의지 요인 .850이었다. 이 연구에서 해외자원봉사활동 참여 전 도구의 요인별 신뢰도(chronbach’s α)는 세계시민의식 .968, 지식 요인 .928, 스킬 요인 .929, 태도 요인 .946, 실천의지 요인 .938 이었다. 해외자원봉사활동 참여 후 도구의 요인별 신뢰도(chronbach’s α)는 세계시민의식 .964, 지식 요인 .920, 스킬 요인 .929, 태도 요인 .925, 실천의지 요인 .915로 매우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설문조사 참여 전에 연구목적에 대한 설명과 함께 연구대상자가 원할 경우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철회할 수 있으며, 설문조사 참여 후에도 연구 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한 후 자발적인 참여 의사가 있는 경우 서면동의를 얻었다. 사전-사후 설문조사에 모두 참여한 158 명을 분석대상자에 포함하였다. 연구의 방법 및 모든 절차는 연구자가 속한 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얻은 후 수행되었다(1041493-A-2018-016).

4. 해외자원봉사활동 내용

2018년 37기 월드프렌즈 청년봉사단의 원활한 해외 자원봉사활동을 위해 사전교육이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교육내용으로 봉사단 기본 소양(60분), 국제개발협력 및 ODA의 이해(90분), 성인지 교육(50분), 프로그램 기획 및 구성(90분), 현지어 교육(180분)이 포함되었다. 현지 봉사활동은 총 7개국 8개 팀이 2주 동안 라오스, 모로코,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케냐, 키르기스스탄, 탄자니아에 파견되었다. 파견팀별 다양한 주제로 봉사활동을 실시하였으며 교육봉사, 노력봉사, 문화교류가 포함되었다. 파견 기간은 팀별로 상이하며 2018년 12월 30일부터 2019 년 1월 28일까지였다.

5.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p<.05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계시민의식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고, 해외자원봉사 참여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세계시민의식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세계시민의식 변화량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별은 여학생이 123명(77.85 %)으로 남학생 35명(22.15 %)에 비해 많이 분포하였다. 학년은 ‘3학년’이 68명(43.04 %)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4학년’ 53명(33.55 %), ‘2 학년’ 29명(18.35 %), ‘1학년’ 8명(5.06 %) 순이었다. 전공계열은 ‘인문사회계열’ 64명(40.76 %), ‘의약, 보건계열’ 43명(27.39 %), ‘공학계열’ 24명(15.29 %), ‘예체능 계열 및 기타’ 16명(10.19 %), ‘교육(사범)계열’ 10명(6.37 %)순이었다. 해외 거주, 연수, 여행과 같이 해외 체류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자는 116명(74.36 %) 이었다. 연구대상자 중 83명(52.53 %)은 인권, 평화, NGO, 다문화, 지구 환경문제를 다루는 세계시민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NGO, 동아리, 시민활동, 봉사활동 등 세계시민 관련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자는 101명 (63.92 %) 이었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DHTHB4_2022_v10n1_157_t0001.png 이미지

1)Education dealing with human rights, peace, NGOs, multiculturalism, and global environmental issues

2)NGOs, clubs, civic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etc

2. 해외자원봉사활동 전후 세계시민의식 변화

연구대상자의 해외자원봉사활동 전후 세계 시민의식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영역인 지식, 태도, 스킬, 실천의지에서 세계시민의식 점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스킬’은 3.51±.65점에서 4.34±.56점으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p<.001)(Table 2).

Table 2. Changes in global citizenship before and after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DHTHB4_2022_v10n1_157_t0002.png 이미지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해외자원봉사활동 전 세계시민 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성별, 학년, 전공계열, 해외체류경험, 세계시민교육 경험, 세계시민교육 관련 활동 참여에 따른 해외 자원봉사활동 전 ‘지식’과 ‘스킬’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해외 체류 경험이 있는 경우, 세계시민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세계시민교육관련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경우 ‘지식’, ‘스킬’, ‘태도’, ‘실천의지’ 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다만, 세계시민의식 하위영역 중 ‘태도’와 ‘실천의지’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라 해외 자원봉사활동 전 점수에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태도’(p=.048) 및 ‘실천의지’(p=.049) 점수가 다소 높았다. 또한, 전공계열의 경우 교육(사범)계열이 타계열에 비해 ‘태도’ 점수가 높았다(p=.031).

Table 3. Global citizenship before participating in overseas volunteer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HTHB4_2022_v10n1_157_t0003.png 이미지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해외자원봉사활동 후 세계시민 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세계시민의식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성별과 학년의 점수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전공계열의 경우 해외자원봉사활동 전과 마찬가지로 교육(사범)계열이 타계열에 비해 ‘태도’ 점수가 4.94±.07 점으로 가장 높았다(p<.001). 해외자원봉사활동 전에는 세계시민 교육을 받은 경험 유무가 세계시민의식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해외 자원봉사활동 후에는 세계시민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 모든 하위영역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세계시민교육 관련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세계시민교육 관련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해외 자원봉사활동 후 세계시민의식 모든 하위영역 점수가 높았으며, ‘태도’ 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able 4).

Table 4. Global citizenship after participating in overseas volunteer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HTHB4_2022_v10n1_157_t0004.png 이미지

Table 5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해외자원봉사활동 전후 세계 시민의식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해외 자원봉사활동 전 ‘태도’와 ‘실천의지’에 있어 성별의 차이가 있었던 것에 반해 성별에 따른 해외자원봉사활동 전후 점수변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해외자원봉사활동 전 세계 시민의식 모든 하위영역에서 학년의 차이가 없었으나, 해외자원봉사활동 전후 점수 변화에 있어서 1학년에서 ‘지식’과 ‘태도’에서 각각 1.17±1.23점(p=.011)과 1.41±1.22점(p=.008)이 증가되어 다른 학년에 비해 큰 차이를 보였다. 해외자원봉사활동 전 교육(사범)계열이 타계열에 비해 ‘태도’ 점수가 높았으나, 해외 자원봉사활동 전후 점수변화에 있어서는 전공계열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없어졌다. 또한, 세계시민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태도’(p=.018) 점수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Table 5. Comparison of changes in global citizenship before and after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HTHB4_2022_v10n1_157_t0005.png 이미지

Ⅳ. 고 찰

이 연구는 대학생의 해외자원봉사활동 전후 세계시민 의식의 하위영역별 변화량을 파악함으로써 해외 자원봉사활동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를 통해 단기 해외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학생 158명을 대상으로 해외 자원봉사활동 전후 세계시민의식 변화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 전체에서 해외자원봉사활동 전후 세계시민 의식 하위영역인 지식, 스킬, 태도, 실천의지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국내에서는 해외자원봉사활동과 세계시민 의식에 대한 선행연구가 충분하기 않기에 국제 개발 협력 및 세계시민의식 교과목 수업과 세계 시민의식의 변화와 함께 살펴볼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Kim, 2015). 세계시민의식 관련 교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대학생이 인지하는 세계시민의식 수준이 교과목수강 전 3.87점에서 수강 후 4.45점으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던 것과(Kim 등, 2021a),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에서 세계시민 의식 점수가 5점 만점 중 평균 3.83점으로 향상되었던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Choi, 2017). 간호학과와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국제개발협력 이해 수업을 운영한 연구에서 세계시민의식이 교육 전 4.09점에서 교육 후 4.36점으로 향상되었던 것과(Ryu 등, 2019), 교양 교과목 수강 후 세계시민의식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과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Kim & Chun, 2017).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해 간호대학생의 세계시민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에서 세계 시민 의식 하위영역별 점수가 태도(4.20점), 지식(4.19점), 실천의지 (3.63점), 스킬(3.54점) 순으로 나타났는데, 암기식 교육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인식-관점적 차원의 한계를 지적하며 행동과 참여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Ko 등, 2019). 이 연구에서는 해외자원봉사활동 후 스킬과 실천 의지 수준이 크게 향상된 점을 볼 때 해외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실질적으로 스킬과 실천의지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며 전반적인 세계시민의식 수준의 향상과 더 불어 교실 안 수업에서의 취약한 영역인 스킬과 실천 의지를 동기화하는 등의 효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와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세계시민의식을향상시키기 위한 해외자원봉사활동이 지식과 태도 영역뿐 아니라 실제적인 스킬과 실천의지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교육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사전 교육부터 해외자원봉사활동의 전체적 과정이 체계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성별과 전공계열에 따라 해외자원봉사활동 전 세계 시민의식 하위영역별 점수에 차이가 있었다. 성별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세계시민의식 하위영역 중태도 및 실천의지가 높았다.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애타와 공감이 높았다는 결과(Choi 등, 2018) 및 여학생들이 양성평등, 타문화출신자에 대한 평등인식 이민자에 대한 평등인식에 대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는 결과와(Park 등, 2016) 동일한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전공계열은 지식, 스킬, 실천의지 하위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태도영역에서 교육(사범)계열이 다른 계열에 비해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최근 연구에서 타전공에 비해 인문학 전공자가 세계시민의식 및 문화 다양성 태도가 높았으며(Kim 등, 2010), 새마을 국제개발학 관련 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세계시민의식이 높았음이 보고되었다(Lee 등, 2020). 이 연구에서 교육(사범)계열의 대상자수가 10명으로 다른 전공계열에 비해 적었으며, 선행연구와의 전공분류의 차이, 세계 시민의 식 측정 도구의 차이로 인해 단순히 결과를 비교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 연구의 대상자는 자발적으로 해외 봉사활동에 참여한 대학생이므로 전공별 세계시민 의식의 하위영역 점수에 차이가 없을 수 있다. 향후 더 많은 연구대상자를 통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세계시민교육 경험, 세계시민교육 관련 활동 경험에 따라 해외자원봉사활동 후의 세계시민의식 하위영역별 점수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세계시민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세계시민의식의 모든 하위영역인 지식, 스킬, 태도, 실천의지 점수가 높았다. 해외방문 경험 자체보다는 자원봉사 및 외국인과 보다 긴밀한 교류 경험을 한 경우 세계시민의식이나 문화다양성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관련해서는 단순한 접촉보다는 긴밀한 상호작용이 중요하다는 기존 논의가 있었고(Kim 등, 2010), 해외자원봉사프로그램 참여(Kim 등, 2010; Seo & Park, 2014; Smith & Laurie, 2011), 해외 체류 경험이 세계시민의식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해외에서 국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많을수록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는 태도가 향상되었으며(Zhai & Scheer, 2002), 해외에서 체류한 기간이 길수록 세계시민의식 수준 향상에 더욱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보고도 있다(Hett, 1993). 이 연구결과와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세계시민교육을 받고 난 후 해외자원봉사 등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세계 시민의식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넷째, 해외자원봉사활동 전-후의 세계시민의식 변화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해외자원봉사활동 전 또는 후에 세계시민의식 하위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던 성별과 전공의 차이가 없어졌으며, 학년과 세계시민교육 경험이 세계시민 의식 하위영역에서 변화량에 차이가 있었다. 즉, 다른 학년에 비해 1학년에서 세계시민의식 하위영역 중 지식과 태도에서 변화량의 의미 있는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세계시민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에 세계시민 의식 하위항목 중 태도의 변화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해외자원봉사활동은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세계시민 의식 수준 향상 및 다문화수용성과 리더십을 향상시키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해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활동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Kim, 2015; Seo & Park, 2014). 높은 참여 의사에도 불구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세계시민 교육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Kim 등, 2021a; Kim 등, 2021b), 대학생들이 세계시민으로서의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고, 자신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과 활동의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대조군 없이 단일군을 대상으로 해외 자원봉사활동 참여 전과 후의 세계시민의식 변화를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방법론적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시민 의식 함양을 위한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대상자를 확대하고 대조군과 심층 인터뷰를 포함한 혼합연구 설계를 통해 결과를 재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이 연구는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전환되는 시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해외자원봉사활동 참여 전과 후의 세계시민 의식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해외 자원봉사활동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들의 해외자원봉사활동이 세계시민 의식의 하위영역인 지식, 스킬, 태도, 실천의지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옴을 확인하였다. 특히, 스킬과 실천 의지의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특성별로 지식, 스킬, 태도, 실천의지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1학년에서 지식과 태도의 변화량이 가장 컸으며, 세계시민교육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있는 경우 태도의 변화량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향후 초, 중, 고등학교에서 세계시민교육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해외자원봉사활동의 세계시민의식 향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학교 저학년 시기에 체계적인 해외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 향상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Chae JW, Park SK, Kim SL(2015).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of civic education of humanitas college of Kyunghee university. J Democracy and Human Rights, 15(1), 69-103. https://doi.org/10.9708/jksci.2017.22.10.179.
  2. Choi SH(2017). The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6), 3379-3390. https://doi.org/10.37727/jkdas.2017.19.6.3379.
  3. Choi YS, Son EY, Park SR(2018). A study on the global citizenship, career identity and self-identity in college students. J Career Educ Res, 31(2), 131-149. https://doi.org/10.32341/JCER.2018.06.31.2.131.
  4. Cogan J, Ray D(2014). Citizenship for the 21st century: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education. London, Routledge. pp.1-208.
  5. Dower N, Jone W(2002). Global citizenship: A critical introduction. New York, Routledge. pp.146-157.
  6. Hett EJ(1993).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global-mindedness,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an Diego, United States, Doctoral dissertation.
  7. Kang HR, Hong YJ(2015). Effects of international volunteering on global citize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college students. J Civic Youth Stud, 6, 1-39.
  8. Kim HN, Kim YH, Park JS(2021a).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5(3), 195-206. https://doi.org/10.46392/kjge.2021.15.3.195.
  9. Kim JH(2015). Case study on overseas volunteer program for improving global citizenship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H university. J Korea Cultural Industry, 15(3), 65-75.
  10. Kim JH, Park SH, Cho SM(2010). What affects Korean undergraduates global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 cultural diversity?.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17(4), 183-210.
  11. Kim KA, Chun JW(2017). Effectiveness analysis of general education class f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global citizenship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 125-147. https://doi.org/10.24173/jge.2017.12.6.5.
  12. Kim KA, Kim JE, Yun HJ(2021b).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leadership' -Focusing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General Educ, 15(2), 201-217. https://doi.org/10.46392/kjge.2021.15.2.201.
  13. Ko JH, Kang MJ, Kim HJ(2019). The convergent influenc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empathy and global citizenship in nursing students. J Converg Inform Technol, 9(9), 108-116.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9.108.
  14. Korean University Council for Social Service(2019). The 37th world friends youth volunteer group activity report. Korean University Council for Social Service. pp.1-179.
  15. Lee KJ, Ryu SY(2020).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ltural subjects for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by us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Focused on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urse of I univers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9), 1-23.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19.1.
  16. Lee SJ(2017).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0), 433-443. https://doi.org/10.35873/ajmahs.2017.7.10.040.
  17. Lee SA, Yi HU, Choi OC(2020). A study on global citizenship and saemaul spirit among college students: Differences in major, college year, and characteristics of overseas experiences and volunteering experiences.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Studies, 34(3), 187-208. https://doi.org/10.18398/kjlgas.2020.34.3.187.
  18. Park HB, Yoo NY, Jang SJ, Yu HY(2016).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adolescent's global citizenship. Korean Comparative Education Society, 26(4), 31-53. https://doi.org/10.20306/kces.2016.26.4.31.
  19. Reysen S, Katzarska-Miller I(2013). A model of global citizenship: antecedents and outcomes. Int J Psychol, 48(5), 858-870. https://doi.org/10.1080/00207594.2012.701749.
  20. Ryu YM, Sim SJ, Park SY(2019). Convergence research on the effect of awareness enhancing educa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n global citizenship, career ident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operative 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Internet of Things Society, 5(2), 47-54. https://doi.org/10.20465/KIOTS.2019.5.2.047.
  21. Seo HL, Park JR(2014). A preliminary study of effectiveness of an overseas volunteer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 J Youth Studies, 21(2), 139-168.
  22. Smith MB, Laurie N(2011). International volunteering and development: Global citizenship and neoliberal professionalisation today.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6(4), 545-559. https://doi.org/10.1111/j.1475-5661.2011.00436.x.
  23. Song MK(2014). A study on global citizenship for youths. Korean J Youth Studies, 21(12), 483-512.
  24. So SS, Cho ES, Hong SH(2018). The effect of development awareness program of KOICA in universities on global citizenship.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Review, 10(2), 191-217. https://doi.org/10.32580/idcr.2018.10.2.191.
  25. Son S(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and social capital among overseas volunteers-with focus on WFK voluntary service programs.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26. Sung Y(2010). A theoretical discussion on universal core elements and Korean distinctivenes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J Korean Educ, 37(2), 109-130. https://doi.org/10.22804/jke.2010.37.2.005.
  27. Yoon S(2017). Developing a global citizenship indicator for university student.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28. Zhai L, Scheer SD(2002).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experience on agriculture student personal development. J International Agricultural and Extension Education, 9(3), 23-29. https://doi.org/10.5191/jiaee.2020.27439.
  29. ODAKORE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2021. Available at https://www.odakorea.go.kr/ODAPage_2018/category03/L02_S01.jsp/ Accessed September 10, 2021.
  30. UN. Global Education First Initiative, 2012. Available at https://sustainabledevelopment.un.org/partnership/?p=9696/ Accessed December 20, 2021.
  31.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2021. Available at http://www.un.org/sustainabledevelopment/education/ Accessed August 15, 2021.
  32.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paring learners for the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Paris, France, 2014. Available at https://en.unesco.org/news/globalcitizenship-education-preparing-learners-challenges-twenty-first-century-0/Accessed September 10, 2021.
  33.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Paris, France, 2015. Available at https://en.unesco.org/news/global-citizenship-education-topics-and-learning-objectives/ Accessed September 10,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