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tammogram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31초

Redox Equilibrium of Antimony by Square Wave Voltammetry Method in CRT Display Glass Melts

  • Jung, Hyun-Su;Kim, Ki-Dong;Kim, Hyo-Kwang;Kim, Young-Ho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5
    • /
    • 2007
  • Fining and homogenization of melts during batch melt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redox reaction of polyvalent element M (M: Sb, As etc), $M^{(x+n)+}+n/2O^{2-}{\rightarrow}M^{x+}+n/4O_2$. In this study, square wave voltammetry (SWV)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dox behavior of an antimony ion in cathode ray tube (CRT) glass melts. According to results, well-separated two peaks are shown at low temperature while only one peak is shown at high temperature in voltammograms, which reveals that redox reaction of antimony consist of two steps: $Sb^{5+}/Sb^{3+}\;and\;Sb^{3+}/Sb^0$,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Based on the peak potential shown in the voltammogram, the thermodynamic data and the redox ratio for two redox couple were determined.

Electrical Recognition of Label-Free Oligonucleotides upon Streptavidin-Modified Electrode Surfaces

  • Park, Jong-Wan;Jung, Ho-Sub;Lee, Hea-Yeon;Kawai, Tomoji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6호
    • /
    • pp.505-509
    • /
    • 2005
  •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direct label-free electrochemical detection system, we hav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e electrochemical signatures of each step in the preparation procedure, from a bare gold electrode to the hybridization of label-free complementary DNA, for the streptavidin-modified electrode. For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e obtained the following pertinent data; cyclic voltammogram measurement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a and square wave voltammogram measurements, in $Fe(CN)_6^{3-}/Fe(CN)_6^{4-}$ solution (which was utilized as the electron transfer redox mediator). The oligonucleotide molecules on the streptavidin-modified electrodes exhibited intrinsic redox activity in the ferrocyanide-mediated electrochemical measurements. Furthermore, the investigation of electrochemical electron transfer,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oligonucleotide molecules, was also undertaken. This work demonstrates that direct label-free oligonucleotide electrical recognition, based on biofunctional streptavidin-modified gold electrodes, c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biosensor protocol for the expansion of rapid, cost-effective detection systems.

중방식 도료의 내식성에 미치는 첨가제의 영향 (The Effect of Additive to Corrosion Resistance of Heavy Anti-Corrosive Paint)

  • 문경만;이명훈;김현명;이인원;전호환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6년 창립20주년기념 정기학술대회 및 국제워크샵
    • /
    • pp.173-176
    • /
    • 2006
  • There are many kinds of protection methods for marine structures by using and environmental condition. Coating protection method, one of these methods is being widely adopted to both all ground and marine structures. In this study, by adding some additives such as Zn powder(Zn), carbon black(CB) to epoxy anti-corrosive paint, the effect to promote corrosion resistance was investigated with electrochemical method. Corrosion potentials with additives shifted to negative direction than no additive. However passivity current density increased than no additive except for Zn(20)+CB(10), especially, additive of Zn(20)+CB(10) showed the smallest passivity current density. Polarization resistance of Zn(20)+CB(10) by both cyclic voltammogram and impedance measurement was the largest value than other additives. And also surface phenomenon by adding Zn(20)+CB(10) was observed a good add condition not showing bubbling than other additives.

  • PDF

중방식 도료의 내식성에 관한 전기 화학적 평가(II) (An Electrochemical Evaluation 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Heavy Anticorrosive Paint(II))

  • 성호진;김진경;이명훈;김기준;문경만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5년도 전기학술대회논문집
    • /
    • pp.382-387
    • /
    • 2005
  • An electrochemical evaluation on the corrosion resistance for heavy anticorrosive paint was carried out for 5 kinds of heavy anticorrosive paints such as High solid epoxy(HE), Solvent epoxy(SE), Tar epoxy(TE), Phenol epoxy(PE), and Ceramic epoxy(CE) as parameters of DFT(Dry Film Thickness, 25${\mu}m$50${\mu}m$, solution condition(Flow of Nonflow). Corrosion current density of HE(DFT 50${\mu}m$ in case of flow condition was larger than that of nonflow condition. However, their values of the other anticorrosive paints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nonflow condition. The values of AC impedance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DFT regardless of kinds of anticorrosive paints. And the polarization resistance of cyclic voltammogram showed a good tendency to correspond with well the values of AC impedance measurement. HE and CE had a relatively good corrosion resistance than other heavy anticorrosive paint.

  • PDF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에서 산소극을 위한 백금-크롬-니켈 합금촉매의 전극특성 (Electrode Performance of Pt-Cr-Ni Alloy Catalysts for Oxygen Electrode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 심중표;이홍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12호
    • /
    • pp.831-837
    • /
    • 2000
  •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에서 촉매의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백금과 전이금속인 chromium, nickel과의 합금을 제조하였다. XRD를 이용하여 합금의 구조가 $33^{\circ}$에서 superlattice line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face centered cubic 구조를 가진 ordered alloy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합금의 입자 크기는 증가하였으며, 결정 격자 상수는 감소하였다. 전지성능테스트, cyclic voltammogram 등을 통하여 mass activity, specific activity, Tafel slope, 개회로 전압을 측정한 결과, 합금촉매의 활성이 순수한 백금촉매보다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Quantitative estimation of reversibility of the discharge process undergone by nickel hydroxide film cathodically deposited on pure nickel as a positive supercapacitor electrode using cyclic voltammetry and potential drop method

  • Pyun Su-Il;Moon Sung-Mo
    • 전기화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13
    • /
    • 1998
  • This work presents the way how to evaluate the degree of reversibility of the discharging process undergone by the nickel hydroxide film cathodically deposited on pure nickel as a positive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 using the combined cyclic voltammetry and potential drop method, supplemented by galvanostatic discharge and open-circuit potential transient methods. The time interval necessary just to establish the current reversal of anodic to cathodic direction from the moment just after applying the potential inversion of anodic to cathodic direction, was obtained on cyclic voltammogram. The cathodic charge density passed upon dropping the applied potential, was calculated on potentiostatic current density-time curve. Both the time interval and the cathodic charge density in magnitude can be regarded as being measures of the degree of reversibility of the discharging process undergone by the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supercapacitor, i.e. , the longer the time interval is, the lower is the degree of reversibility and the greater the cathodic charge density is, the higher is the degree of reversibility. From the applied potential dependences of the time interval and cathodic charge density, discharge at $0.42 V_{SCE}$ was determined to be the most reversible.

효소 고정화 방법에 따른 콜레스테롤 센서의 감도 특성 (The senstivity characteristics of cholesterol sensor by immobilization methods of the enzyme)

  • 송민정;윤동화;진준형;민남기;홍석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935-1937
    • /
    • 2003
  • 최근 콜레스테롤 센서는 전극 상에 효소를 고정화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센서의 집적도를 높이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극 상의 효소고정화 방식으로 entrapment, cross liking, covalently binding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효소 고정화 방식-전도성 고분자인 P3MT를 사용하여 entrap시키는 방법과 silanization을 이용한 covalent bonding 시키는 방법-에 따른 전기화학 센서의 감도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한 고정화 방법은 cyclic voltammograms으로 scan rate 10 mA/s, potential 0.5-1.3V의 조건하에서 P3MT를 Polymerization하고, 효소 고정화를 위해 chromoampermeter로 potential 0.6V에서 900초 동안 수행하였다. silanization을 이용한 covalent bonding 시키는 방법은 nitric acid로 Pt 전극표면을 산화시키고, APTER로 silanization 공정을 시행하였다. 효소 고정화를 위해 전해질로는 0.1M Phosphate buffer solution을 사용하여 cyclic voltammograms으로 scan rate 50 mA/s 전위 0.0-0.7V의 조건 하에서 수행하였다. 이 결과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고정화 방법에서의 senstivity가 0.89 ${\mu}A/mM{\cdot}cm^2$이고, silanization을 이용한 효소 고정화 방법에서는 1.51 ${\mu}A/mM{\cdot}cm^2$였다. 이처럼 후자의 방법에서 더 좋은 감도 특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silanization을 이용한 고정화 방법이 센서 제작 방식으로 더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 PDF

무정형 탄소의 입도분포에 따른 리튬이온이차전지의 탄소부극 특성 (The Effect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Nongraphitic Carbon on the Performance of Negative Carbon Electrode i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김현중;이철태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781-785
    • /
    • 1998
  • 무정형탄소인 petroleum cokes를 대상으로 attrition mill을 이용하여 6~48시간 동안 분쇄한 후 이를 $700^{\circ}C$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후 재료특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쇄에 의한 효과에 의하여 입도분포와 BET 비표면적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내부의 층간거리도 변화시킬 수 있었다. 이들의 재료특성 변화에 의한 cyclic voltammogram과 충 방전 특성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분쇄시간 12~24시간에서 분쇄된 후의 경우가 $6{\sim}8{\mu}m$의 평균입도를 가지며 비교적 큰 층간거리와 표면적을 가질 때 전기화학적 특성이 비교적 우수하였다.

  • PDF

유기용매 전해조를 이용한 리튬이차박막전지용 Sn 음극의 제조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Sn-Anode Fabricated by Organic-Electroplating for Rechargeable Thin-Film Batteries)

  • 김동훈;도칠훈;이정훈;이덕준;하경화;진봉수;김현수;문성인;황영기
    • 전기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84-288
    • /
    • 2008
  • 박막 리튬이차전지의 고용량 음극을 개발하기 위하여, Sn(II) 아세테이트를 포함한 유기전해조 도금법을 이용하여 Sn 박막전극을 제조하였다. $Li^+$$Sn^{2+}$를 포함한 전해조에 대한 순환전위전류시험 결과 3종류의 환원 반응이 나타났으며, $2.0{\sim}2.5\;V$ 영역이 Ni 집전체 표면에 대한 Sn의 석출 반응에 해당한다. 수계전해액에 대한 $Sn^{2+}$의 표준환원전위는 2.91 V vs. $Li^+/Li^{\circ}$ 인데 반해 유기전해조에서는 보다 낮은 전위에서 환원반응이 일어났다. 이는 유기전해질의 고저항과 $Sn^{2+}$의 낮은 농도에 기인한 과전위의 결과로 생각된다. 제조한 전극의 물리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석출한 Sn 전극을 $150^{\circ}C$로 열처리하여 보다 높은 결정성을 얻을 수 있었고, 이를 Sn/Li 전지로 구성하여 전기화학적 실험을 한 결과 0.25 V와 0.75 V에서 각각 합금화-탈합금화 과정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조한 전극의 두께를 전기량을 통하여 계산한 바 $7.35{\mu}m$였으며, 가역용량은 $400{\mu}Ah/cm^2$을 얻었다.

질소, 산소 주게원자 리간드를 가진 몰리브덴 (V) 착물의 전기화학적인 성질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Molydenum (V) Complexes with Multidentate Ligands Containing Nitrogen or / and Oxygen Donor Atom)

  • 오상오;로수균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84-495
    • /
    • 1989
  • 질소, 산소 주게원자를 가진 리간드(EDTA, DTPA, IDA, CyDTA, OX)와 몰리브덴(V) 착물$[Et_4N)_2[MoOCl_5]$을 반응시켜 이량체 몰리브덴(V)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몰리브덴(V) 착물은 원소분석, 적외선 스펙트럼, 양성자 자기 공명 스펙트럼, 전자흡수 스펙트럼에 의해 구조를 밝혔다. 전기화학적인 환원메카니즘을 추정하기 위하여 pH $3.571∼10.725$$CH_3COOH/NaOOCCH_3 Na_2B_4O_7/H_3BO_3,\;NaH_2PO_4/NaOH,\;NaH_2PO_4/Na_2HPO_4, \;NH_3/NH_4Cl$ 완충용액에서 순환전압전류법, 일정전위전기량법,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였다. Mo-EDTA, DTPA, IDA, CyDTA 착물의 순환전압전류그램에서는 pH가 낮을 때(약 6.00 이하) 두개의 환원파가 나타났으며 제 1환원파에 관련된 전자수는 두개이고 제 2환원파에 관련된 전자수도 두개이다. pH가 높을 때(약 8.00 이상)는 한개의 환원파가 나타났으며 관련된 전자수는 네개이었다. Mo-OX, 착물의 순환전압전류그램은 pH가 약 7.2 이하에서만 얻을 수 있었고 한개의 파가 나타났으며 관련된 전자수는 네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