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cano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5초

지진·화산 연구에 대한 위성영상 활용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ry to Research on Earthquake and Volcano)

  • 이원진;박순천;김상완;이덕기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4호
    • /
    • pp.1469-1478
    • /
    • 2018
  • 지진과 화산은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재해로서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효과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위성 자료가 많아지면서 효율적 지진 화산 모니터링을 위한 위성영상 기반의 연구가 많이 발전하고 있다. 위성영상의 종류는 크게 광학, 열적외선, 영상레이더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위성영상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우선 각 종류별 장점과 단점을 정리하였다. 또한 국내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된 위성 영상을 활용한 지진과 화산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지진과 화산 재해 대응을 위한 위성 영상의 종류별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국의 활화산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Active Volcano Monitoring Program of China)

  • 윤성효;장철우
    • 암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5-10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중국 내에 분포하는 활화산, 중국의 활화산 모니터링 개요, 중국 화산관측소의 모니터링 장비 현황, 장백산화산관측소 및 중국의 백두산 화산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계획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주도의 화산동굴 (Volcanic Caves in Jeju)

  • 최지석
    • 동굴
    • /
    • 제84호
    • /
    • pp.43-45
    • /
    • 2008
  • Jeju Island is formed by lava flow streams with the Mt. Halla in the center. The Mt. Halla‘s crater or other parasitic volcano produced lava flows creating lava plateau in this area. There are one thousand volcano caves in the world, and 50% of them are located in the west coast of United States. There are 186 volcano caves in Italy, 100 in Mt. Fuji, Japan, and 70 in Jeju Island. Jeju Island‘s east-west axis four sides are world-renown volcano zones with basalt strata that feature low viscosity and fluidity.

InSAR Studies of Alaska Volcanoes

  • Lu Zhong;Wicks Chuck;Dzurisin Dan;Power Joh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72
    • /
    • 2005
  •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InSAR) is a remote sensing technique capable of measuring ground surface deformation with sub-centimeter precision and spatial resolution in tens-of­meters over a large region. This paper describes basics of InSAR and highlights our studies of Alaskan volcanoes with InSAR images acquired from European ERS-l and ERS-2, Canadian Radarsat-l, and Japanese JERS-l satellites.

Monitoring Mount Sinabung in Indonesia Using Multi-Temporal InSAR

  • Lee, Chang-Wook;Lu, Zhong;Kim, Jin Woo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7-46
    • /
    • 2017
  • Sinabung volcano in Indonesia was formed due to the subduction between the Eurasian and Indo-Australian plates along the Pacific Ring of Fire. After being dormant for about 400 years, Sinabung volcano erupted on the 29th of August, 2010 and most recently on the 1st of November, 2016. We measured the deformation of Sinabung volcano using Advanced Land Observing Satellite/Phased Array type L-band Synthetic Aperture Radar(ALOS/PALSAR)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InSAR) images acquired from February 2007 to January 2011. Based on multi-temporal InSAR processing, we mapped the ground surface deformation before, during, and after the 2010 eruption with time-series InSAR technique. During the 3 years before the 2010 eruption, the volcano inflated at an average rate of ~1.7 cm/yr with a markedly higher rate of 6.6 cm/yr during the 6 months prior to the 2010 eruption. The inflation was constrained to the top of the volcano. From the 2010 eruption to January 2011,the volcano subsided by approximately 3 cm (~6 cm/yr). We interpreted that the inflation was due to magma accumulation in a shallow reservoir beneath Sinabung. The deflation was attributed to magma withdrawal from the shallow reservoir during the eruption as well as thermo-elastic compaction of erupted material. This result demonstrates once again the utility of InSAR for volcano monitoring.

독도 화산의 분출윤회와 화산형태 (Eruption Cycles and Volcanic Form of the Dokdo Volcano, Korea)

  • 황상구;전영권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6호
    • /
    • pp.527-536
    • /
    • 2003
  • 독도 화산은 크게 8개 암석단위로 구분되며 이 암석단위와 그 층서는 독도가 해수면 위에서 적어도 3차례 분출윤회를 거치면서 성층화산을 형성하였음을 나타낸다. 각 분출윤회는 분출 환경에 따라 몇 단계의 분출양식이 바뀌면서 진행되었으며 벌카니언 분출이 가장 지배적이었음을 보여준다. 독도의 원래 화산형태는 지질구조와 공간적인 암상변화로부터 복원해본다면 작은 성층화산이고 북동부에 작은 칼데라를 가진다. 해수면 위의 독도는 이 성층화산의 외륜 남서부 잔류체라는 것을 지시하고 화구가 북동부 수백m의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해수면 아래에서 독도 화산은 수심 약 90∼175m까지 아주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넓고 평탄한 부분이 직경 약 11km가량 형성되어 있다. 그 아래 수심 200∼2,000m까지는 상대적으로 급경사를 이루며 기저부 폭이 약 25∼30km를 이룬다. 따라서 해수면 아래의 독도 화산은 마치 거대한 순상화산을 닮은 평정해산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독도 화산은 해수면 아래 해저까지 전체를 고려한다면 거대한 평정해산 위에 작은 성층화산을 갖는 복식화산을 나타낸다.

제주도 송악산 단성화산의 암석학적 진화 (Petrologic Evolution of the Songaksan Monogenetic Volcano, Jeju Island, Korea)

  • 황상구;원종관;이문원;윤성효;이인우;김성규
    • 암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3-26
    • /
    • 2001
  • 이 연구는 송악산 화산의 층서에 따라 시료를 채취하여 암석기재, 암석화학적 변화를 추적하여 이 화산의 암석학적 진화를 밝히는 것이다. 송파산 화산은 응회환, 분석구, 용암연, 소분석구로 구성되는 작은 단성복식화산이다. 조성변화는 응회환의 안산암 성분에서 분석구와 용암연의 조면현무암 성분에 이른다. 응회환에서의 안산암은 분출시에 폭발지점에서 석영 등의 외래물질 혼입으로 다소 이탈된 깃이며 이를 고려하면 원래 마그마 조성이 조면현무암에 가까운 조면안산암이다. 따라서 조성변화는 조면안산암에서 조면현무암까지 변하며, 제주도 화산암류에서 널리 인식되는 가상 진화된 조성과 더 원시적인 조성 사이의 연속선에 놓인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이들은 분츨전에 조성이 조면안산암에서 조면현무암으로 누대된 마그마저장소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 조성누대는 알칼리 마그마에서 분별결정작용에 의해 초래된 것이다. 결론적으로 송악산 화산은 조성누대된 마그마저장소의 상단으로부터 출조되고 다음에 계속적으로 아래의 더 원시적인 마그마를 분출하였다.

  • PDF

GNSS를 이용한 동일본대지진 이후 한반도 지각변동 해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rust Deform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Tohoku Earthquake using GNSS Observation)

  • 김희언;황의홍;이하성;이덕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89-696
    • /
    • 2020
  • 한반도 지각은 남동쪽으로 연평균 3cm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고 선행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에 의해 한반도 지각에는 큰 변동이 발생했다. 이후 한반도에서는 지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최근 15년간의 국내 및 국외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동일본대지진 발생시점을 기준으로 한반도 지각변동 추세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전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과학 기술용 소프트웨어 Bernese Software V5.2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한반도는 동일본대지진 발생 전보다 이동 크기는 약 4mm, 이동 방향은 약 10° 차이가 발생했다. 한반도 내부 지각의 왜곡 현상은 동일본대지진 당시 한반도 지각의 동서 팽창 현상이 관측되었는데 최근까지 동일본대지진 이전의 수준으로 완전히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SAR Measurements of Surface Displacements at Augustine Volcano, Alaska, Associated with the 1986 and 2006 Eruption

  • Lee, C.W.;Jung, H.S.;Won, J.S.;Lu, Z.;Kwoun, O.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401-404
    • /
    • 2007
  • Augustine volcano is an active stratovolcano located at the southwest of Anchorage, Alaska. Augustine volcano had experienced seven significantly explosive eruptions in 1812, 1883, 1908, 1935, 1963, 1976, and 1986, and a minor eruption in January 2006. We measured the surface displacements of the volcano by radar interferometry and GPS before and after the eruption in 2006. ERS-1/2, RADARSAT-1 and ENVISAT SAR data were used for the study. Multiple interferograms were stacked to reduce artifacts caused by different atmospheric conditions. Least square (LS) method was used to reduce atmospheric artifacts.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 method was applied for retrieval of time sequential deformations. The observed surface displacements from satellite radar interferometry were compared with GPS data. Satellite radar interferometry helps to understand the surface displacements system of Augustine volcano.

  • PDF

Patterned free-standing diamond field emitters for iarge area field emission display applications

  • Kim, Sung-Hoon
    • Journal of Korean Vacuum Science &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10-15
    • /
    • 1999
  • Using micro-wells on the Mo substrate, we could obtain various tubular-volcano-types of free-standing diamond field emitters by depositing a diamond film detaching the film and turning the film upside down. The 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se structure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size, shape and the number density of the tubular-volcano-type diamond field emitters. The 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especially the current density, were greatly enhanced with increasing the number density of the tubular-volcano-type diamond field emitters on the Mo substrat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reduction of the well size can give better 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by the increase in the number density of the tubular-volcano-type diamond field emitters. Finally, we suggest the feasibility of fabricating a large-area field emission display using our patterned tubular-volcano-type free-standing diamond field emitt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