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canic soil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7초

제주도 서귀포층의 지하분포상태 (Characteristics of Subsurface Distributions of the Seoguipo Formation in Cheju Island)

  • 고기원;윤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7년도 추계 국제학술심포지움 논문집
    • /
    • pp.97-142
    • /
    • 1997
  • The Seoguipo Formation occurs only in a small exposure along the coast of the Seoguipo City, but in the subsurface, underlies tile western part of the Bugcheon-Pyoseon Line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ile island. The Bugcheon-Pyoseon Line is presumed to be a facies boundary that reflects tile distribution of hyaloclastites resulted from submarine volcanic activity. The Seoguipo Formation is distributed in the subsurface along the part which is lower than 400m in average altitude, and occurs at El. -5.76∼-46.63m in tile southern area, El. -41.89∼-57.97m in the western area, El. -13.15∼-50.59m in the northern area. Therefore, the southern area was uplifted after the deposition of the Seoguipo Formation. In the subsurface, the vertical depth of the volcanic rocks of the Cheju Volcanic Edifice is El. -40.6m in the southern area, El. -111.3m in the western area, El. -81.5m in the northern area and El. -134.7m in the eastern area. The unconsolidated U Formation, which is, overlying the basement and about 70∼250m thickness underlies the whole isla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ile groundwater level and the depth of the subsurface distribution of the Seoguipo Formation. Consequently, it is conformed that the subsurface distribution of the Seoguipo Formation plays important role for control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rvoir of tile groundwater in Cheju Island.

  • PDF

Using SG Arrays for Hydrology in Comparison with GRACE Satellite Data, with Extension to Seismic and Volcanic Hazards

  • Crossley David;Hinderer Jacques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49
    • /
    • 2005
  • We first review some history of the Global Geodynamics Project (GGP), particularly in the progress of ground-satellite gravity comparisons. The GGP Satellite Project has involved the measurement of ground-based superconducting gravimeters (SGs) in Europe for several years and we make quantitative comparisons with the latest satellite GRACE data and hydrological models. The primary goal is to recover information about seasonal hydrology cycles, and we find a good correlation at the microgal level between the data and modeling. One interesting feature of the data is low soil moisture resulting from the European heat wave in 2003. An issue with the ground-based stations is the possibility of mass variations in the soil above a station, and particularly for underground stations these have to be modeled precisely. Based on this work with a regional array, we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future SG arrays to measure co-seismic deformation and silent-slip events. Finally we consider gravity surveys in volcanic areas, and predict the accuracy in modeling subsurface density variations over time periods from months to years.

Lysimeter를 이용한 시비비료의 화산회토 토양중 이동에 관한 연구 (Moved of Applied Fertilizers through Volcanic Ash Soils in a Lysimeter Experiment)

  • 강봉균;조남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3호
    • /
    • pp.3-12
    • /
    • 2001
  • 본 시험은 제주지역 화산회토에서 pressure-vacuum soil water sampler를 이용하여 시비 양분의 토양깊이별 이동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lysimeter(single chamber : model SW-071)를 각각 20, 40, 60, 80, 100, 120cm의 깊이에 매설한 후 전작물로는 옥수수, 후작물로는 감자를 재배하면서 강우시 침투수를 채수하여 pH및 양, 음이온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시비량은 질소-인산-가리를 옥수수는 36-30-30kg씩, 감자는 28-22-24kg씩 각각 파종전에 시용하였다. 채취한 침투수중 Cl, $NO_3$-N, $Ca^{+2}$, $K^{+}$의 평균농도는 시비 1개월 후에 20~40cm 깊이에서 급격하게 높아진 후 농도가 점차 낮아지면서 심토층으로의 하향 이동이 계속되어 5개월 후에는 시험 전 토양과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 심토층(120cm)에서의 $NO_3$-N은 시비 1~l.5개월 후 그 농도가 가장 높았고, 다른 양이온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용탈수의 PH와 $NO_3$-N은 부의 상관을 보였고, $NO_3$-N과 양이온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여 $NO_3$-N이 표토에서 심토층으로 하향이동시 $Ca^{+2}$, $K^{+}$, $Mg^{+2}$ 등의 양이온도 동반용탈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제주 화산회토양에 석회 및 인산시용이 목초의 무인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me and Phosphate Application on Mineral Content of Pasture Species in Volcanic Ash Soil of Cheju Island)

  • 고서봉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8-144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me(0, 300 kg/lOa) and phosphate application( 0, 20, 40, 80 kg/lOa) on mineral contents in herbage when 5 pasture species(orchardgrass, tall fescue, perennial ryegrass, redtop and ladino clover) were grown in pot of black(B) and very dark brown (VDB) volcanic ash soil of Cheju island, respectively. P content of orchardgrass and perennial ryegrass were higher in VDB than in B (P<0.01), but other grass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soil types. Also, Ca and Mg contents of ladino clover were higher in VDB than in B, but other grass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soil types. P and K contents were not affected by lime but Ca and Mg contents were increased by lime application in most of the pasture species. P, Ca, Mg and Na contents of all pasture spesies were increased by phosphate application(P< 0.Ol)except for Ca content of tall fescue. K and Fe content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phosphate application but Zn content was not changed by phosphate application.

  • PDF

토양개량제시용에 따른 화산회토양 감자 연작지 더뎅이병 억제 효과 (Effect of Applying Soil Amendments on Potato Scab Prevention in Volcanic Ash Soil with Continuous Cropping System)

  • 좌재호;문두경;고상욱;손다니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19-730
    • /
    • 2014
  • 화산회토양 감자 연작지 토양 pH 수준별로 고토석회, 유황, 황산칼륨, 패화석, 규산질비료, 석회질소, 유안비료를 이용하여 감자 더뎅이병 발생을 경감시키고 토양건전성을 유지하는데 적절한 대체농자재를 선발하고자 수행하였다. 토양 pH가 낮은 황산칼륨 처리구(24 kg/10a)에서는 더뎅이병 발병률이 84.4%, 발병도가 28.4%로 가장 낮았다. 방제효과는 12.3%, 상품율은 93.2%로 다른 처리구와 비교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석회질소 처리구(60kg/10a)가 발병도 38.3%로 낮았고 방제효과 23.8%, 상품율 66.3%로 높았다. 토양 pH가 높은 시험구 중 더뎅이병 발병률은 석회질소 처리구(60 kg/10a)가 38.3%로 가장 낮았고 유안 처리구(48 kg/10a)는 62.6%로 높았다. 더뎅이병 방제효과는 석회질소 처리구(60 kg/10a)에서 23.8%로 유황 처리구의 6.1% 보다 4배 이상, 상품률은 6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감자더뎅이병 병원균 Streptomyces acidiscabies과 Streptomyces scabiei를 석회질소 2.5, 5 g/L, 10 g/L에 접종시 생장량은 다른 토양개량제 보다 상대적으로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감자 파종 전에 토양 pH가 5 이하이면 황산칼륨을, 6 이상이면 석회질소를 시비하면 더뎅이병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화산회토에 있어서 몇가지 두과작물의 근류착생 및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제주) (Studies on the Nodulation ana its Effects on the Growth of Several Pulse Crops in the Volcanic Soil)

  • 박양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7-280
    • /
    • 1976
  • 제주도 화산회토 신개간지에 있어서 숙전화를 촉진시키는 한가지 방법으로서 적응력이 강하고 잡초의 재생을 억제하는 능력이 강한 두과작물을 선택하고자 알팔파, 화이트클로버, 채두, 완두, 대두 및 차풀 등의 6개 두과작물을 공시하여 이들의 근류착생 정도를 조사하고 이중 근류착생이 가장 양호하였던 차풀의 잡초와의 경합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착생된 근류의 무게는 차풀에서 가장 무거웠고 다음은 완두, 대두, 화이트클로버, 채두 및 알팔파의 순이었다. (알팔파는 관찰 불가) 2. 자연초지에 차풀을 파종할 경우 그 건물중은 4년차까지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띠는 3년차 부터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제주도 지방의 신개간지에서는 지력증진을 위해서 차풀을 재식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추론되었다.

  • PDF

백두산 화산재 피해 시나리오에 따른 강원도 지역 농작물의 경제적 피해 추정 (Estimation of Economic Losses on the Agricultural Sector in Gangwon Province, Korea, Based on the Baekdusan Volcanic Ash Damage Scenario)

  • 이윤정;김수도;천준석;우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5-523
    • /
    • 2013
  • 백두산 화산 폭발 시 남한 지역은 동해안을 중심으로 화산재에 의한 피해가 예상된다. 적은 양의 화산재라고 할지라도 농작물의 피해나 토양의 산성화를 유발하는 등 농업 분야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화산재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추정하고 구글 지도를 통해 시각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화산재에 대한 피해 예측모델이 필요하다. 화산재 위험은 농작물의 종류와 화산재 두께에 따라 다르므로 피해 예측 모델의 취약도 함수는 화산재 두께와 농작물의 손상률 간의 관계를 나타내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RiskScape에서 정의한 화산재 두께에 따른 농작물별 손상률을 이용하여 취약도 함수를 정의하였다. 이 취약도 함수를 농작물 생산량과 가격 정보에 적용하여 화산재 두께에 따른 농작물 피해액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화산재의 피해가 예측되는 강원도 지역을 대상으로 화산재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2010년 강원도 농업 총 생산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 화산재가 약 4 mm 정도 쌓이게 되면 농작물 피해액은 약 6,351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원도 총 농업생산액의 약 50%에 해당한다. 이 논문에서는 화산재에 의한 농작물의 1차적인 피해만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화산재는 토양 오염이나 시설물과 같은 농가의 자산에 잠재적인 위험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농업 분야 전체에 대한 총 피해 규모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2차적인 피해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제주 서부지역 비화산회토양에서 수확한 남도마늘의 기능성 성분 함량 및 토양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s between Soil Environment and Bioactive Constituents of Namdo Garlic Harvested in the Non-volcanic Ash Soil Distributed Western Jeju)

  • 김주성;라종환;현해남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5-131
    • /
    • 2015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ingredient analysis of harvested garlic bulb and soil analysis of four garlic-cultivated regions in Jeju, being one of the major areas of Namdo garlic production. Soil pH and electric conductivity were 7.02 and 1.03 dS/m, respectively. Soil organic matter was 4.31%. The mineral elements (potassium, calcium, magnesium, sodium, iron, manganese, copper and zinc) of Namdo garlic cultivated soil were analyzed by ICP, and calcium was the most highly contained mineral with $14.67cmol_+/kg$ and in the decreasing order of magnesium ($2.25cmol_+/kg$), potassium ($1.51cmol_+/kg$). Soluble solid and total acidity were 7.60 oBrix and 0.49%, respectively. The mineral contents of garlic bulb were in order of potassium (12,728 ppm) > sulfur (7,778 ppm) > phosphorus (4,916 ppm) > magnesium (691 ppm) > calcium (359 ppm).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 and reducing sugar were 71.14 mg GAE/100 g, 17.64 mg QE/100 g and 26.53 mg GE/g, respectively. Alliin and allicin were 8.78 mg/g and 2.10 mg/g, respectively.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mineral contents of soil and garlic bulb are analyzed. Macronutrients of soil is correlated with macronutrients of garlic (positive) and micronutrients of garlic (negative) contents.

밭유형(類型)에 따른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the Management groups of Upland Soils in Korea)

  • 임상규;허봉구;정석재;현근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7-71
    • /
    • 1997
  • 농경지의 정밀토양조사(精密土壤調査) 결과를 이용하여 토양유형(土壤類型), 지형(地形) 및 층위별(層位別)로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점토함량(粘土含量)을 유형별로 보면 A층에는 사질밭과 보통밭에서 낮았고 중점(重粘)밭에서 가장 높았으며 B층에서는 화산회밭이 높았다. 토층간에는 화산회밭을 제외하고는 B층이 A층보다 낮았다. 2.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다른 유형의 밭에 비하여 화산회밭과 고원(高原)밭에서 현저히 높았다. 3. 양이온치환용량은 사질밭, 보통밭과 미숙(未熟)밭에서 낮았으며 고원밭의 A층도 $13.2cmol^+/kg$으로 높은 편이었고 화산회밭은 가장 높았다. 4. 보통(普通)밭 B층의 물리 화학적 특성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양이온치환용량은 유효수분(有效水分), 점토, 미사 및 유기물함량과 정(正)의 상관(相關)관계를 보였다.

  • PDF

Soil buffer capacities from the differrent host rocks by the treatment of artificial acid precipitation

  • Min, Ell-Sik;Kim, Myung-Hee;Song, Suck-Hwan
    • 한국동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학회 1999년도 한국생물과학협회 학술발표대회
    • /
    • pp.150.2-150
    • /
    • 1999
  • To investigate the weathering soil buffering capacities of the artificial acidic precipitation, the weathering soils and their leachate solutions were sampled from the host rocks(granite;GR, rhyolite;RH, gabbro;GA, basalt;BA, two serpentinite;SE1, SE2 and limestone;LI) and analyzed for pH and chemical properties. 1n the soil pH of the GR and RH ,the acidic rocks, were 5.02 and 5.95, respectively. And the GA and BA, basic rocks, were 6.52 and 7.57. The SE1 and SE2 were 8.90 and 8.89. While the LI was 7.84. These results means the typical soil pH properties by host rocks. After the artificial acidic precipitation input 5OOml, the average changes of soil leachate solutions treated by pH levels(pH 5.0, 4.0 and 3.0), were pH 5.73, 5.00 and 4.40. in GR soil, and pH 6.19, 5.99 and 5.57 in RH. GA were pH 6.31, 6.04 and 5.86, BA were pH 7.05, 6.85 and 6.56 and SE1 were pH 8.31, 8.26 and 7.71. SE2 were pH 8.29, 8.24 and 7.96. LI were pH 7.55, 7.46 and 6.79. The soil leachate pHs from volcanic rocks were higher than those from the plutonic rocks and GR soils showed greater response than other soils. With increasing 100ml input-solution, the soil leachate pHs were mainly decreased. Cation concentrations, CEC, EC and total nitrogen concentrations of RH and BA soils, the volcanic rocks, were higher than those of GR and GA soil, the plutonic rocks. On the contrary, Al concentrations of the GR and GA soils were higher than those of RH and BA soils, partly because of high quartz content in GR and Al content in the biotite and plagioclase in G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