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canic ash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34초

제주도(濟州道)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壤)의 미생물상(微生物相)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Identification and Enumeration of Soil Microorganisms in Mineral and Volcanic Ash Soil of the Jeju Island)

  • 이상규;서장선;문재현;송창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5-140
    • /
    • 1988
  • 제주도전토양(濟州道田土壤)의 미생물(徵生物)의 종류(種類)와 분포(分布)가 토양(土壤)의 종류(種類) 및 작물재배방법(作物栽培方法)에 따라서 어떻게 상이(相異)한가를 알고저 실내시험(室內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세균수(細菌數)는 비화산회토양(非火山灰土壤)의 윤작재배지토양(輪作栽培地土壤)에서 많고 방사상균(放射狀菌)과 사상균(絲狀菌)은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壤)의 단재배지토양(單栽培地土壤)에서 많은 결과(結果)를 보였다. 따라서 세균(細菌)에 대한 사상균(絲狀菌)의 비율(比率)은 비화산회토양(非火山灰土壤)의 윤작재배지토양(輪作栽培地土壤)에서 현저(顯著)히 적었다. 2. 세균(細菌)의 분리동정결과(分離同定結果) 세균(細菌)의 종류(種類)는 대부분(大部分)이 단간(短稈)의 Gram 음성균(陰性菌)이 주종(主種)을 이루었으며 전체(全體) 세균(細菌) 중(中) Rhizobium spp와 Flavobacterium spp. 가 차지하는 비율(比率)이 가장 높았다. 3. 사상균(絲狀菌)의 종류(種類)는 주로 Aspergillus spp. Fusarium spp. 및 Penicillium spp가 가장 많았으며 특(特)히 비화산회토양(非火山灰土壤)의 윤작재배지(輪作栽培地)에서 현저(顯著)하였다. 4. 제주도전토양(濟州道田土壤)의 미생물수(徵生物數)와 종류(種類)는 육지(陸地)의 경제작물재배토양(經濟作物栽培土壤)의 미생물수(徵生物數)에 비하여 세균(細菌)은 10~100배정도(倍程度) 그리고 사상균수(絲狀菌數)는 2배정도(倍程度) 적었다. 그리고 세균(細菌)과 사상균(絲狀菌)의 종류(種類)가 현저(顯著)히 단순(單純)하였다.

  • PDF

천성산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연구(1) (Petrlolgy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Cheonsungsan Area, Korea.)

  • 김진섭;선종규
    • 암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8-120
    • /
    • 1996
  • 본역의 산성화산암류는 원효산응회암과 천성산응회암으로 구분되며 원효산응회암은 주로 라필라응회암, 유리질응회암이며 하부에는 용결구조가 현저하지 않고 상부의 층은 용결구조가 현저한 용결응회암이다. 천성산 응회암은 주로 결정질라필리응회암, 우리질응회암이며 하부에는 장석의 반정이 현저한 암색의 비용결응회암이며 상부의 담색의 응회암은 용결응회암이다. 주원소 산화물은 $SiO_2$에 대한 투영해 보면 거의 대부분 연속적인 변화 경향을 보이므로 본역이 화산암의 생성은 분별결정작용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본역의 화산암류의 주성분, 미량 원소 함량 조성 및 Ba/La비, La/Th 비 등은 조산대에서의 화산호의 판별비와 일치하며, 이중에서도 high-K suite에 속한다. Zr-Th-Nb 지구조 판별도에서 본역의 화산암류들은 지판이 침강 섭입하는 지판 경계부(destructive plate margin)에서 생성된 마그마로부터 유래한 화산암류의 조구적 위치 영역에 도시가 된다. 본역의 화산암류를 형성한 마그마는 맨틀에서 기원하여 해구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거리의 대륙 연안부에서, 섭입 침강하는 해양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 PDF

가축분 퇴비 시용에 따른 밭 토양의 EC 및 질산태질소 함량 변화 (Changes of Electrical Conductivity and Nitrate Nitrogen in Soil Applied with Livestock Manure)

  • 황기성;호교순;김형득;최주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7-201
    • /
    • 2002
  • 본 연구는 가축분 퇴비시용에 따른 토양중 양분행동 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직경 30 cm 높이 1 m의 PVC pot에 화산회 토양과 비화산회 토양을 충진하고 표토 20 cm 깊이로 우분 부숙퇴비, 돈분 부숙퇴비 및 계분 부숙퇴비를 0, 50, 100, 150 ton/ha 해당량을 시용한 후 210일차에 토양을 분석하여 가축분 퇴비 처리에 따른 토양의 EC와 질산태질소 함량 및 유효인산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축분 부숙퇴비의 시용은 토양중 EC를 증가 시켰는데 계분 부숙퇴비는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2. 가축분 퇴비의 시용에 따른 질산태질소의 함량 증가량은 계분 부숙퇴비는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한 반면 우분 부숙퇴비 및 돈분 부숙퇴비는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3. 유효인산의 함량변화는 화산회 토양의 경우 가축분 퇴비의 시용량이 증가하여도 인산 함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비화산회 밭 토양의 경우는 가축분 퇴비의 시용으로 인산함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계분 부숙퇴비는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화산재 기반 지오폴리머의 최적배합 도출 및 강도 특성 (Evaluation of Optimum Mix Proportion and Strength of Volcanic Ash based Geopolymer)

  • 남창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720-72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기반 지오폴리머의 최적배합을 도출하기 위하여 유동성, 응결 및 압축강도를 분석하였다. 알칼리 활성화제로 $Na2SiO_3$와 NaOH를 사용하였고, NaOH는 2, 4, 6, 8M을 사용하였으며, A/B 비는 0.25, 0.3, 0.35, 0.4, 0.45, 화산재와 고로슬래그의 결합재 비는 7:3, 6:4, 5:5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상기의 실험 결과, NaOH의 몰농도가 증가할수록 유동성은 떨어지고, 응결시간은 짧아졌으며, 압축강도는 증가하여 NaOH의 최적 몰농도는 4M인 것으로 나타났다. A/B 비의 변화에 따른 특성도 검토하였는데 A/B 비가 증가할수록 응결시간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압축강도 발현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응결시간의 확보와 압축강도 발현에 유리한 A/B 비는 0.35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산재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응결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강도발현에는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결과를 종합했을 때, 6:4의 결합재비를 사용하는 것이 응결과 압축강도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화산재 기반 지오폴리머는 NaOH 4M을 사용하고, A/B 비는 0.35, 결합재 비는 6:4를 사용하는 것이 유동성, 응결시간 확보 및 압축강도 발현에 적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 니시노시마 화산 분화에 의한 한반도 남부 대기질 영향 분석 (Understanding Impact of the Volcanic Eruption of Nishinoshima, Japan on Air Quality in the South Korean Peninsula)

  • 장철우;윤성효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96-209
    • /
    • 2023
  • 2020년 6월부터 8월까지 일본 도쿄 남쪽 940 km 해상에 위치한 니시노시마 화산이 분화하였다. 2020년 7월 말 발생한 분화로 인한 화산재와 화산가스 일부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확산 수치모의 프로그램인 Ash3D를 이용하여 현지시각 2020년 7월 28일 0시에 화산폭발지수 3의 분화가 발생한 것으로 설정하고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화산재가 니시노시마 인근에서 동풍을 타고 7월 30일 새벽 오키나와에 도달한 이후 남풍을 타고 북상하여 8월 1일 제주도에 상륙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듯이 이동하면서 8월 2일에는 남부지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측정된 PM10 미세먼지농도는 제주도 고산기상관측소에서 8월 1일부터, 부산 구덕산기상관측소에서는 8월 2일부터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니시노시마 화산 분화가 제주도 및 남부지방의 미세먼지 수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Prediction of Dispersal Directions and Ranges of Volcanic Ashes from the Possible Eruption of Mt. Baekdu

  • Lee, Seung-Yeon;Suh, Gil-Yong;Park, Soo-Yeon;Kim, Yeon-Su;Nam, Jong-Hyun;Yu, Seung-Hyun;Park, Ji-Hoon;Kim, Sang-Jik;Kim, Yong-Sun;Park, Sun-Yong;Yun, Ja-Young;Jang, Yu-Jin;Min, Se-Won;Noh, So-Jung;Kim, Sung-Chul;Lee, Kyo-Suk;Chung, Doug-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6-27
    • /
    • 2018
  • To predict the influence of volcano eruption on agriculture in South Korea we evaluated the dispersal ranges of the volcanic ashes toward the South Korea based on the possibilities of volcano eruption in Mt. Baekdu. The possibilities of volcano eruption in Mt. Baekdu have been still being intensified by the signals including magmatic unrest of the volcano and the frequency of volcanic earthquakes swarm,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vertical uplift around the Mt. Baekdu, the temperature rises of hot springs, high ratios of $N_2/O_2$ and $_3He/_4He$ in volcanic gases. The dispersal direction and ranges and the predicted amount of volcanic ash can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Volcanic Explosivity Index (VEI) and the trend of seasonal wind. The prediction of volcanic ash dispersion by the model showed that the ash cloud extended to Ulleung Island and Japan within 9 hours and 24 hours by the northwestern monsoon wind in winter while the ash cloud extended to northern side by the south-east monsoon wind during June and September. However, the ash cloud may extent to Seoul and southwest coast within 9 hours and 15 hours by northern wind in winter, leading to severe ash deposits over the whole area of South Korea, 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ash deposits generally decreases exponentially with increasing distance from a volcano. In case of VEI 7, the ash deposits of Daejeon and Gangneung are $1.31{\times}10^4g\;m^{-2}$ and $1.80{\times}10^5g\;m^{-2}$, respectively. In addition, ash particles may compact close together after they fall to the ground, resulting in increase of the bulk density that can alter the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detrimental to agricultural practices and crop growth.

GOCI 위성영상과 HYSPLIT 모델을 이용한 화산재 확산경로 예측 - 2013년 9월 17일 분화된 사쿠라지마 화산을 중심으로 - (Predicting the extent of the volcanic ash dispersion using GOCI image and HYSPLIT model - A case study of the 17 Sep, 2013 eruption in SAKURAJIMA volcano -)

  • 이슬기;류근혁;황의홍;최종국;이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3-314
    • /
    • 2014
  • 일본 가고시마에 위치하고 있는 사쿠라지마 화산은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화산 중 하나이다. 2013년 8월 18일 사쿠라지마 화산은 최근 들어 가장 큰 규모의 분화를 하였고, 분화에 의해 발생한 화산재는 일본뿐만 아니라 국내 유입에 대한 우려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쿠라지마 화산분출물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화산재 확산 경로를 예측하기 위하여 HYSPLIT 확산모델과 UM 기상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일은 화산재 유입이 예상되는 규모로 분화한 2013년 9월 17일이다. 또한 천리안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화산재를 탐지하였고, 모의실험 결과와 비교를 통해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HYSPLIT 모델기반의 화산재 확산 예측 경로와 GOCI 위성 영상에서 탐지한 화산재 분포지역과 63.52%가 일치하는 것을 보였다.

제주도 화산회토양의 배추와 양배추에 대한 질소의 시비추천식 설정 (Recommendation of Optimum Amount of Fertilizer Nitrogen Based on Soil Organic Matter for Chinese Cabbage and Cabbage in Volcanic Ash Soils of Cheju Island)

  • 송요성;곽한강;연병열;이춘수;윤정희;문두영;이신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5-111
    • /
    • 2002
  • 현재 채소류에 대한 질소시비량 추천식은 육지부토양에서 시험한결과를 이용하여 설정된 것으로 이를 화산회토양에서도 활용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검토하기위하여 제주도 토양을 중심으로 1999년에는 pot와 2000년에는 포장에서 몇개의 질소시비량수준을 두고 배추를 재배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ot와 포장시험에서 배추의 질소 최고시비량은 $294{\sim}331kg\;ha^{-1}$이었고 토양의 유기물함량과 최고시비량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화산회토양에 알맞는 새로 질소시 비량 추천식을 설정하였다. 2. 배추의 질소시비량시험을 통한 화산회토의 실제 질소시비적량은 기존의 추천식을 이용한 시비량과는 큰차이를 보였고 개선된 질소시비 추천식으로부터 산출된 질소 시비량과는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3. 수화기 T-N 함량 및 질소흡수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많았으나 질소이용 율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4. 화산회토양에서 재배하는 양배추 대한 토양유기물함량에 따른 질소 시비량은 배추대비 질소흡수량을 흡수량비교 계수로 하고 이를 이용하여 양배추의 새로운 질소시비 추천식을 도출하였다.

산지토양(山地土壤)의 특성(特性)과 개량(改良) (Soil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Reclaimable Hillside Land)

  • 류인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47-262
    • /
    • 1979
  • Majority of reclaimable soils in hillside lands in Korea are red yellow soils, with exception in Jeju island, where most of reclaimable hillside lands are composed of volcanic ash soils. Songjeong, Yesan and Samgag series are the major soil series of red yellow soils which are available for the reclamation. When observed in the fields, they are distinguished as reddish brown clay loam, red yellow sand loam and yellowish brown sand loam. They have moderately good physical properties but their chemical properties are generally poor for crop cultivations. The chemical properties of red yellow soils, as compared to long time cultivated (matured) soils, are characterized by very low pH, high in exchangeable Al content and phosphorus fixation capacity. Also extraodinary low available phosphorus and organic matter contents are generally observed. On the other, the chemical properties of volcanic ash soils are characterized by high armophous Fe and Al hydroxides and organic matter contents, which are the causative factors for the extremely high phosphorus fixation capacity of the soils. The phosphorus fixation capacity of volcanic acid soils are as high as 5-10 times of that of red yellow soils. Poor growth of crops on newly reclaimed red yellow soils are mainly caused by very low available P and pH and high exchangeable Al. Relatively high P fixation capacity renders the failure of effective use of applied P when the amount of application is not sufficient. Applications of lime to remove the exchangeable Al and relatively large quantity of P to lower the P fixation capacity and to increase the available P are the major recommendations for the increased crop production on red yellow hillside soils. Generally recommendable amounts of lime and P to meet the aforementioned requirements, are 200-250kg/10a of lime and $30-35kg\;P_2O_5/10a$. Over doses of lime. frequently induces the K, B, arid Zn deficiencies and lowers the uptake of P. In volcanic ash soils, it is difficult to alter the exchangeable Al and the P fixation capacity by liming and P application. This may be due to the peculiarity of volcanic ash soil in chemical properties. Because of this feature, the amelioration of volcanic ash soils is not as easy as in the case of red yellow soils. Application of P as high as $100kg\;P_2O_5/10a$ is needed to bring forth the significant yield response in barley. Combined applications of appropriate levels of P, lime, and organic matter, accompanied by deep plowing, results in around doubling of the yields of various crops on newly reclaimed red yellow soils.

  • PDF

화산회토양에서 Arbuscular Mycorrhizae 에 의한 토마토의 인광석 이용 (Rock Phosphate with Mycorrhizae as P Source for Tomato Plant in Volcanic Ash Soil)

  • 정종배;문두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7-291
    • /
    • 1999
  • Mycorrhizae가 형성된 식물에서 인광석이 인산급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온실 실험을 수행하였다. 멸균된 제주 화산회토에 인광석과 용성인비를 100및 200 mg P/kg 수준으로 처리하고 토마토를 재배하였는데 토마토는 mycorrhizae 접종구와 비접종구를 두고 3개월간 재배한 후 식물생육과 인을 비롯한 무기영양소 흡수를 조사하였다. 용성인비 처리구에 비하여 인광석 처리구에서 생육이 현저히 저해되었는데 이는 인광석처리에 따른 토양중의 유효인산 부족 때문일 것이다. 용성인비와 인광석 200 mg P/kg 처리구에스는 mycorrhizae균의 접종에 따라 건물량이 증가하였다. Mycorrhizae 형성율과 토양중의 포자밀도는 인광석 처리구에서 낮았다. 식물체중의 인 함량은 용성인비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mycorrhizae 처리 효과는 없었다. N, K, Ca, Mg 등의 함량에서도 처리별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제주 화산회토양에서 $100{\sim}200\;mg\;P/kg$ 수준의 인광석 처리로는 mycorrhizae 형성 여부에 상관없이 적정 식물생육을 위한 인 공급이 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