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rlolgy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Cheonsungsan Area, Korea.

천성산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연구(1)

  • Published : 1996.06.01

Abstract

This study reports petrography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that are distributed in the vicinity of the Cheonsungsan area, Yangsan-Gun, Gyeongsangnam-Do.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composed of andesitic rocks, Wonhyosan tuff, Cheonsungsan tuff in ascending order. Sedimentary rock is the basement in the study area cofered with volcanic rocks. These volcanic rocks are Wonhyosan tuff and Cheonsungsan tuff that represented the early phase of the Bulgugsa igneous activity. Wonhyosan tuff are classified into dacite tuff and dacite welded tuff based on the rock texture and their mineral composition. They are covered with Cheonsungsan tuff. Dacite tuff composed of lithic lapilli ash-flow tuff and vitric ash-flow tuff. Most dacite welded tuff are lapilli ash-flow tuff. Cheonsungsan tuff overlying the Wonhyosan tuff consists of rhyolite tuff and rhyolite welded tuff. Rhyolite tuff are lithic crystal ash-flow tuff and crystal vitric ash-flow tuff with somewhat accidental fragments of andesitic and sedimentary rocks. Rhyolite welded tuff is distinguishe from rhyolite tuff by is typical eelded fabrics and its rock color. According to petrochemical data, the volcanic rocks in study area belong to high-K orogenic suties. On the discriminant diagrams such as La/Yb versus Th/Yb, these rocks falls into the discriminant fields for the normal continental margin arc.

본역의 산성화산암류는 원효산응회암과 천성산응회암으로 구분되며 원효산응회암은 주로 라필라응회암, 유리질응회암이며 하부에는 용결구조가 현저하지 않고 상부의 층은 용결구조가 현저한 용결응회암이다. 천성산 응회암은 주로 결정질라필리응회암, 우리질응회암이며 하부에는 장석의 반정이 현저한 암색의 비용결응회암이며 상부의 담색의 응회암은 용결응회암이다. 주원소 산화물은 $SiO_2$에 대한 투영해 보면 거의 대부분 연속적인 변화 경향을 보이므로 본역이 화산암의 생성은 분별결정작용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본역의 화산암류의 주성분, 미량 원소 함량 조성 및 Ba/La비, La/Th 비 등은 조산대에서의 화산호의 판별비와 일치하며, 이중에서도 high-K suite에 속한다. Zr-Th-Nb 지구조 판별도에서 본역의 화산암류들은 지판이 침강 섭입하는 지판 경계부(destructive plate margin)에서 생성된 마그마로부터 유래한 화산암류의 조구적 위치 영역에 도시가 된다. 본역의 화산암류를 형성한 마그마는 맨틀에서 기원하여 해구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거리의 대륙 연안부에서, 섭입 침강하는 해양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북부 유천분지내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의 암석학적 연구 김상욱
  2. 이상만 교수 송수기념 논문집 경상분지에서의 후기 백악기 화성활동에 관한 연구 김상욱
  3. 지질학회지 v.16 경상분지 동남부 일원에 분포하는 빅악기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김진섭
  4. 지질학회지 v.4 경상분지 내에서의 백악기 화성활동에 관한 연구(Ⅰ) 원종관
  5. 한국지질도(1:50,000) 양산도폭 및 설명서 이민성;강필종
  6. 지질학회지 v.25 남한의 백악기 제 3기 화성활동과 지구조적 의의 이상만(외)
  7. 광산지질 v.9 부산지역의 불국사화성암류의 암석학적 연구 차문성
  8.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v.34 부산시 일원의 백악기 화산활동, 특히 장산 칼데라 잔존구조에 관하여 차문성;윤성효
  9.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논문집 v.8 양산군 대운산 함몰체 차문성(외)
  10. 경북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유천소분지 중앙부의 백악기 화산암류에 대한 화산학적 및 암석학적 연구 황상구
  11. 지질학회지 v.30 밀양-양산지역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연구(2): 암석 성인 황상구;김상욱
  12. 부산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경남, 양산군, 원효산지역의 산성 화성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황수진
  13. 조선지질도 제1집(밀양, 유천도폭) 山成不二魔
  14. J. Geol. Soc. London v.141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anitoids in contrasting arc and comments on magma sources Brown, G.C.(et al.)
  15. Orogenic andesites and plate tectonics Gill, J.B.
  16. Can. Jour. Earth Sci. v.8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Irvine, T.N.;baragar, W.R.A.
  17. Dr. Sci. thesis, Geol. Institute, Univ. Tokyo Petrology, mineralogy and isotopic study of the shallowdepth emplaced granitic rocks, southern part of the kyoungsang basin, Korea. - Origin of micrographic granite - Lee, J.I.
  18. Australian Jour. Earth Sci. v.31 A proposal by the IUGS Subcommission on the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for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 silica(TAS) diagram Le Maitre R.W.
  19. J. Petrol. v.25 Trace element discrimination diagrams for the tectonic interpretation of granitic rocks Pearce, J.A.(et al.)
  20. Earth Planet. Sci. Lett. v.44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id-ocean ridge basalts Sun, S.-S.(et al.)
  21. Chemical. Geol. v.20 Geochemical discrimination of different magma series and their differentiation products using immobile element Winchester, J.A.;Floyd, P.A.
  22. Earth planet. Sci. Letters. v.50 The application of a Th-Hf-Ta diagram to problems of tectonomagmatic classification and to establishing the nature of crustal contamination of basaltic lavas of the British Tertiary volcnic province Wood, 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