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terpen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8초

팽화처리에 의한 홍미삼의 휘발성 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 Contents in a Red Ginseng Tail Root by Puffing)

  • 한찬규;최상윤;김성수;심건섭;신동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311-314
    • /
    • 2008
  • 팽화처리가 홍미삼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동정된 63 종의 화합물 중 팽화처리 후에는 59 종이 검출되었으며 terpene 계 화합물 및 furan계 화합물은 팽화처리에 의하여 대부분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alcohol계, aldehyde계 및 acid계 화합물은 대부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terpine계 화합물이 분석된 전체 휘발성 성분 함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을 나타내는 잡초(雜草)중의 휘발성(揮發性) Terpene류(類)의 동정(同定) (An Identification of Volatile Terpenes in Allelopathic Weeds)

  • 전재철;한강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9-153
    • /
    • 1989
  •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을 나타내는 4종(種)의 잡초(雜草) 중에 존재(存在)하는 휘발성(揮發性) terpene 물질(物質)을 GC 및 GC-MS로 동정(同定)하였다. 쑥에서는 26종(種)의 휘발성(揮發性) terpene 류(類)를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는데 이들은 monoterpene 16종(種)과 sesquiterpene 10종(種)이었다. 또한 토끼풀에서는 4종(種), 쇠비름과 냉이에서 각(各) 3종(種)이 확인(確認)되었다. 동정(同定)된 terpene 중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을 나타내는 물질(物質)로는 쑥에서 ${\alpha}$-phellandrene, 1,8-cineole, limonene, ${\beta}$-pinene, borneol, selinene 및 caryophyllene, 토끼풀에서 ${\alpha}$-pinene과 ${\beta}$-caryophyllene, 그리고 냉이에서 ${\alpha}$-pinene 등이었고, 쇠비름 중에는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을 나타내는 휘발성(揮發性) terpene 류(類)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PME에 의한 꽃향유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Elsholtzia splendens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9-82
    • /
    • 2003
  • Volatile compounds in Elsholtzia splendens were extracted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Two kinds of SPME fiber, carboxen/polydimethylsiloxane (CAR/PDMS) and polydimethylsiloxane (PDMS) were used to determine the selectivity of the fibers to the different flavor compounds present in the Elsholtzia splendens.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unds was based on the linear retention indices (RI) and the comparison of their mass spectra with those of on-computer library. Thirty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volatile compounds extracted by CAR/PDMS fiber, including 1 aldehyde, 5 alcohols, 3 hydrocarbons, 17 terpene hydrocarbons, 3 ketones and 1 miscellaneous. And 5 alcohols, 3 hydrocarbons, 18 terpene hydrocarbons, 3 ketones and 2 miscellaneouses were identified in PDMS fib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electivity of PDMS fiber was similar to that of CAR/PDMS fiber in Elsholtzia splendens.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naginataketone and elsholtziaketone in Elsholtzia splendens.

더덕뿌리중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 (Benth. et Hook.))

  • 박준영;김영회;김근수;곽재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338-343
    • /
    • 1989
  • 더덕뿌리의 향기성분을 분석코저 SDE법에 의해 휘발성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에 의해 성분을 확인한 결과 terpene 및 terpene alcohol류 16종, hydrocarbon류 13종, alcohol류 5종, aldehyde 및 ketone류 6종, acid류 6종, ester류 2종 및 기타 2종 등 총 50개 성분이 확인되었다. 그중 n-hexanal(7.3%), trans-2-hexenal (24.9%), n-hexanol(19.8%), cis-3-hexen-1-ol (5.6%) 및 trans-2-hexen-1-ol(29.4%)이 전체 성분의 85.0%를 차지하였으며, 관능평가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5종의 $C_6$ 화합물들이 더덕의 특징적인 향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금귤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Kumquat(Fortunella margarita))

  • 곽재진;김도연;이근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23-427
    • /
    • 1992
  • 감귤의 향기성분을 분석코져 SDE법에 의해 휘발성 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에 의해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10개 성분이며 이 중 limonene이 전체 휘발성성분의 96.5%를 차지하였고 분리된 휘발성성분의 향기특성 역시 limonene에 의해 발현되는 향기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외 ${\beta}-pinene$(1.93%), ${\alpha}-terpineol$(0.42%) 등이 확인되었다. limonene을 제외한 미량성분을 확인하기 위해서 n-pentane과 diethyl ether 100 ml를 각각 용출시켜 휘발성 정유성분을 세분하였다. 이중 diethyl ether 분획에서 alcohol류 9종, terpene 및 terpene alcohol류 22종, aldehyde 및 ketone류 7종, ester류 7종과 기타 1종의 46개 성분이 확인되었다. 그중 양적인 면(peak area%)에서 ${\alpha}-terpineol$(31.98%), ${\beta}-terpineol$(7.37%), geranyl acetate(9.69%) 및 p-menthadien-9-ol(4.12%) 등이 diethyl ether 분획의 주류를 이루었다.

  • PDF

저장조건에 따른 당귀의 정유성분 변화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by the Storage Conditions)

  • 최성희;김혜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13-518
    • /
    • 2000
  • 당귀의 정유물을 Nickerson 동시 중류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정유량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저장 60일째의 각 시료의 휘발성 성분을 GC 및 GC-MS법으로 분석, 동정하였다. 당귀의 정유함량을 비교한 결과 저장 10일째는 저온저장$(1{\sim}5^{\circ}C)$과 상온저장한 당귀는 저장직전에 분석한 당귀의 정유량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20일 이후에는 저온저장한 당귀 시료의 정유량이 상온저장한 당귀의 정유량보다 함량이 많았다. 상온저장한 시료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유량의 중가가 완만하다가 60일에는 정유량이 증가하였다. 저온 저장한 시료는 저장기간 20일째는 정유량의 현저한 중가추세를 보였으나 60일까지는 유지 혹은 완만한 중가추세를 보였다. 당귀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당귀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극성 컬럼에서는 ${\beta}-elem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 eudesmol 등의 terpene alcohol류, (-)-trans-myrtanyl acetate ester 등이 둥정되었다. 비극성 컬럼에서는 camph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 ${\alpha}-eudesmol$ 둥의 terpene alcohol류, butylidene phthalide 등이 동정되었다. 특히 eudesmol류는 상온저장에서 전체 정유량의 45%, 저온저장에서 48%를 차지했다. 당귀의 휘발성 성분으로 극성과 비극성 컬럼에서 함량이 많은 eudesmol과 terpene alcohol류 등은 독특하고 상쾌한 당귀의 향에 기여하리라고 생각된다. 저장 방법 면에서 상온저장한 시료와 저온 저장한 시료를 비교해보면 당귀의 대부분의 향기성분의 함량은 저온저장한 시료에서 많았다. 그리고 eudesmol은 전체적으로 상온저장 시료와 저온저장 시료 양쪽에서 많았으나 저온저장한 시료 쪽의 함량이 더 많았다.

  • PDF

SPME에 의한 소엽의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9-74
    • /
    • 2003
  • 우리나라의 고유한 향신료로 활용되고 있는 소엽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에 적합한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 fiber를 선정하기 위하여 carboxen/polydimethylsiloxane(CAR/PDMS)과 polydimethylsiloxane(PDMS)의 2종류 fiber를 이용하여 향을 추출한 후 GC/MS로 분석하였다. CAR/PDMS fber에 소엽의 향을 흡착시켜 분석한 결과, 39종의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PDMS fiber를 이용하였을 때는 20가지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특히 PDMS fiber를 사용하였을 때 CAR/PDMS fber를 이용하였을 때 보다 perillaldehyde (40.50%), limonene (27.32%), E,E-,${\alpha}-famesene$ (10.22%) 및 ${\beta}-caryophyllene$ (8.02%)의 소엽의 주요 향기성분이 선택적으로 많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방향성 식용식물인 소엽의 향기를 SPME법으로 추출할 때는 PDMS fiber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Headspace법에 의한 솔향의 분석 (Comparisons of Volatile Compounds Extracted from Pinus densiflora by Headspace Analysis)

  • 이미정;정은주;이신조;조지은;이양봉;조현종;윤정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6-31
    • /
    • 2002
  • Pinus densiflora(2엽송) 1년생을 채취하여 가지, 잎, 새순 부분으로 구분하고, 시료병에 넣어 밀봉한 뒤, solide phase microextraction (SPME)과 dynamic headspace analysis(DHA)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SPME와 DHA의 결과를 terpenes의 구성 성분에 따라 monoterpenes과 sesquiterpenes, oxygenated terpenes으로 나누어 조성비를 살펴보면, monoterpenes의 조성은 잎의 경우 각각 66.7%와 14.3%, 새순은 90.6%와 0.7%, 가지에서는 90.6%와 1.2%로 나타났다. Sesquiterpenes의 함량은 SPMe의 결과에서만, 잎이 25.8%, 가지 4.4%, 새순 1.5%로 나타났다.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terpenes의 함량은 새순 부위가 4.7%, 79.0%로 나타났으며, 가지 부위는 3.7%와 70.4%, 잎에서 1.0%와 50.7%를 각각 차지하였다. SPME의 결과는 이전의 용매추출을 통한 결과와 다소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DHA의 결과는 10$0^{\circ}C$이상의 고비점 화합물들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5$0^{\circ}C$이하의 저비점 화합물이 15개 분리되었다.

미분쇄 및 배전처리가 숙성카레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amping and Roasting Treatments on Change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Aged Curry Powder)

  • 박완규;윤종훈;김진호;정승현;손세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26-429
    • /
    • 1993
  • 미분쇄와 배전처리가 숙성카레분의 향기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각을 6개월간 숙성시킨 후 GC 및 GC-MS를 사용하여 향기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숙성카레분의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은 terpene계 탄화수소, terpene계 alcohle 화합물, 방향족 ether 화합물로서 숙성전과 커다란 차이는 없었으나 미 분쇄시간 15분까지는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peak의 면적이 증가하다가 20분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배전처리의 경우는 $70^{\circ}C$까지는 peak의 면적이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70^{\circ}C$에서 20분간 배전처리 한 후 숙성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옥수수 수염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Cornsilk(Zea mays L.))

  • 이재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5-379
    • /
    • 1999
  • Volatile components of Cornsilk(Zea mays L.) were isolated by purge and trap headspace method and were analyzed by GC and GC/MSD. A total of 44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he cornsilk volatile coponents including 9 alcohols 7 aldehydes and ketones 14 terpenes and terpene alcohols 3 pyrazines 5 hydrocarbons and 6 miscellaneous components. The major components were 2-propanol(8.08%) pen-tanol(1.82%) hexanol(2.86%) hexanal(3.68%) heptanal(7.40%) nonanal(7.93%) decanal (2.04%) $\alpha$-copaene(2.20%) limonene(1.68%) $\alpha$-selinene(1.03%) $\beta$-selinene(1.0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