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solid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29초

Headspace법에 의한 솔향의 분석 (Comparisons of Volatile Compounds Extracted from Pinus densiflora by Headspace Analysis)

  • 이미정;정은주;이신조;조지은;이양봉;조현종;윤정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6-31
    • /
    • 2002
  • Pinus densiflora(2엽송) 1년생을 채취하여 가지, 잎, 새순 부분으로 구분하고, 시료병에 넣어 밀봉한 뒤, solide phase microextraction (SPME)과 dynamic headspace analysis(DHA)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SPME와 DHA의 결과를 terpenes의 구성 성분에 따라 monoterpenes과 sesquiterpenes, oxygenated terpenes으로 나누어 조성비를 살펴보면, monoterpenes의 조성은 잎의 경우 각각 66.7%와 14.3%, 새순은 90.6%와 0.7%, 가지에서는 90.6%와 1.2%로 나타났다. Sesquiterpenes의 함량은 SPMe의 결과에서만, 잎이 25.8%, 가지 4.4%, 새순 1.5%로 나타났다.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terpenes의 함량은 새순 부위가 4.7%, 79.0%로 나타났으며, 가지 부위는 3.7%와 70.4%, 잎에서 1.0%와 50.7%를 각각 차지하였다. SPME의 결과는 이전의 용매추출을 통한 결과와 다소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DHA의 결과는 10$0^{\circ}C$이상의 고비점 화합물들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5$0^{\circ}C$이하의 저비점 화합물이 15개 분리되었다.

Essential Oil Analysis of Illicium anistum L. Extracts

  • Min, Hee-Jeong;Kim, Chan-Soo;Hyun, Hwa-Ja;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682-688
    • /
    • 2017
  • Fresh japanese anise (Illicium anisatum L.) tree leaves were collected and ground after drying. The essential oils of the leav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using headspace (HS) and solid phase-microextra (SPME) methods. Volatile components of the leaves were identified 21 and 65 components in HS and SPME, respectively. The main components of the essential oils obtained by HS method were eucalyptol (36.7%), (+)-sabinene (15.61%), ${\delta}$-3-carene (6.87%), ${\alpha}$-pinene (6.07%), ${\gamma}$-terpinen (5.72%), ${\alpha}$-limonene (5.26%), ${\beta}$-myrcene (4.13%), ${\alpha}$-terpinene (4.04%) and ${\beta}$-pinene (3.73%). The other components were less than 3.5%. SPME method also showed that eucalyptol (17.88%) was main. The other were 5-allyl-1-methoxy-2 (13.29%), caryophyllene (6.09%), (+)-sabinene (5.60%), ${\alpha}$-ocimene (4.89%) and ${\beta}$-myrcene (3.73%), and the rest were less amounts than 3.5%. This work indicated that many more volatile components were isolated, comparing to the previous literature data and that SPME method was much more effective than HS method in the analysis of the volatile components.

담양군 죽초액의 휘발성성분 분석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pyroligneous liquor of bamboo sprout produced in damyang-gun)

  • 이은실;장혜진;이송진;하재호
    • 분석과학
    • /
    • 제26권5호
    • /
    • pp.299-306
    • /
    • 2013
  • 죽초액은 대나무 숯 제조시 발생하는 강한 산성을 가진 부산물로 80-90%의 수분과 200 종 이상의 유기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토양 질 개선, 식물 생육 조절,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항균효과 등 피부관련 질환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양군에서 제조한 죽초액 휘발성성분을 direct analysis (DA)법, head 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법, stir bar sorptive extraction (SBSE)법을 이용하여 GC/MS로 분리하고 동정하였다. 위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103 종의 화합물을 검출하였으며, HS-SPME와 SBSE방법에서 페놀류 화합물의 선택적 분석이 가능하였다. 죽초액의 주요한 화합물은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로 알려진 cresol, guaiacol, p-ethyl guaiacol, syringol이 분석되었다.

분석방법에 따른 시판 게향료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Crab-like Flavorants by Analyzing Methods)

  • 차용준;조우진;정은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243-1249
    • /
    • 2006
  • 시판 수입 게향료 4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PME법과 LLCE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동정된 86개의 휘발성 화합물 중 71개가 positive하게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함황화합물류 (13종), 알데히드류(3종), 케톤류(2종), 에스테르류(26종), 알콜류(5종), 방향족화합물류(3종), 테르펜류(8종), 산류(2종) 및 기타화합물류(9종)로 구성되었다. 인조 게향의 분석 및 동정에 있어서는 SPME법이 LLCE법에 비해 검출 감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산류를 포함한 휘발성이 낮은 화합물들은 LLCE법에서만 검출되었다 제품 A-D의 특성에 따라 화합물의 조성에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인조 게향에서는 함황 및 함질소화합물류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depropyl disulfide, e(methylthio)propyl acetate, 3-(methylthio)propanal, 3-(methylthio)propanol, 2-methyl-3-(methylthio)pyrazine, 2-methyl-5-(methylthio)pyrazine)와 에스테르류 (styrallyl acetate, ethyl acetate, isoamyl acetate, benzyl acetate, ethyl pentanoate, butyl pentanoate, isoamyl pentanoate, furfuryl acetate) 등이 대표적인 물질로 추정되었다.

쇠고기 엑기스 분말 휘발성 성분의 최적 추출방법에 관한 연구 (Optimum Extraction Methods of Volatile Compounds in Beef Extract Powder)

  • 김훈;조우진;정은정;안준석;임치원;유영재;김광호;차용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2-419
    • /
    • 2004
  • 쇠고기 엑기스 분말로부터 방사선 조사 휘발성 화합물의 검출에 의한 새로운 검지방법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S-PD 법, S-CD 법, P&T 법 및 LLCE 법 등 4종의 방법을 대상으로 휘발성 화합물의 추출을 위한 최적의 방법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쇠고기 엑기스 분말로부터 탄화수소류, 알데히드류, 케톤류, 알콜류, 함황화합물류, 함질소화합물류, 방향족화합물류, 테르펜류, 푸란류 및 기타 화합물류로 구성된 106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S-PD법에 의해 62종의 화합물이 검출됨으로써 가장 많은 화합물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P&T 법(43종), LLCE 법(38종) 및 S-CD 법(30종) 순이었다. S-PD 법은 RI 1200 이상의 휘발성이 약하며 분자량이 높은 화합물에 대한 검출능이 높았고, P&T 법은 RI 1200 이하의 화합물의 검출능이 높은 경향을 나타냄으로서, 위 두 방법은 상호보완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S-CD법에 의해 검출된 화합물은 3종을 제외하고 S-PD 법에 의해서도 검출 가능하였으며, LLCE 법의 경우는 5종의 화합물을 제외하고 S-PD 법과 P&T법을 병용할 경우 모두 검출 가능한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비극성 fiber(PDMS/DVB)를 사용한 SPME 법과 P&T 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쇠고기 엑기스 분말의 휘발성 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으로 선정되었다.

The hydrocarbon concentration distribution in the contaminated site using geospatial analysis

  • Lee, Ju-Young;Yang, Jung-Seok;Choi, Jae-Young;Krishinamurshy, Ganeshi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09-910
    • /
    • 2007
  •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exposure is governed by the source distance and dispersion of the pollutant into air and groundwa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suggested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concentration distributions. The study design was organized into different methods to simulate industry site. The distribution models generally showed a fair agreement with measured data. For graphical representation of concentration of volatile hydrocarbon, it has to obtain a continuous representation of the contamination of the site. Therefore, the used interpolative methods examined for this project are the IDW(inverse Distance Weighting) and kriging method. In the results, in summary, all two different methods can be used to quantify exposures at a particular source area, and thus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making risk-based decisions. All the calculations can be performed using Excel's built-in functions, and the capabilities of geospatial analysis allow the results to be displayed visually. However, anyone who uses these methods should understand all of the assumptions and limitation.

  • PDF

Effects of Staphylococcus carnosu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cuk (Turkish Dry-Fermented Sausage) During Ripening

  • Kaban, Guzin;Kaya, Mukerrem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150-156
    • /
    • 2009
  • In this study, Staphylococcus carnosus isolated from traditional sucuk (Turkish dry-fermented sausage) was used in combination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as a lactic culture in sucuk production. Sucuk produced with only L. plantarum was evaluated as a control group.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volatile profile characteristics of sucuk samples were investigated during ripening. In both sausages with S. carnosus and control group, pH value decreased to below 5.0 at the $3^{rd}$ day. In all samples, Aw value decreased as the ripening time progressed. Sausages with S. carnosus showed the higher nonprotein nitrogen (NPN) value than control group. However, the highest mean value fo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was observed in control group. Enterobacteriaceae dropped to undetectable levels at the $3^{rd}$ day in both groups. S. carnosus increased approximately 1 log unit within the first 3 days of the fermentation. In the presence of S. carnosus,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only a few volatile compounds.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attributes and volatile compounds of polish dry-cured loin

  • Gorska, Ewa;Nowicka, Katarzyna;Jaworska, Danuta;Przybylski, Wieslaw;Tambor, Krzyszto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5호
    • /
    • pp.720-727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work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sensory descriptors and volatile flavour compound composition of Polish traditional dry-cured loin. Methods: The volatile compounds were investigated by using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For sensory assessment, the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method was used. Results: A total of 50 volatile compounds were found and assigned to 17 chemical families. Most of the detected volatile compounds derived from smoking, lipid oxidative reactions and seasoning (46.8%, 21.7%, and 18.9%, respectively). The dominant compounds were: aromatic hydrocarbon (toluene); alkanes (hexane, heptane, and 2,2,4-trimethylpentane); aldehyde (hexanal); alcohol (2-furanmethanol); ketone (3-hydroxy-2-butanone); phenol (guaiacol); and terpenes (eucalyptol, cymene, ${\gamma}-terpinen$, and limonen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some compounds derived from smok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ensity of cured meat odour and flavour and negatively with the intensity of dried meat odour and flavour, while terpenes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odour and flavour of added spices. Conclusion: The analysed dry-cured loins were characterized by specific and unique sensory profile. Odour and flavour of studied loins was mainly determined by volatile compounds originating from smoking, seasoning and lipid oxidation. Obtained results suggest that smoking process is a crucial stage during Polish traditional dry-cured loins production.

된장 가열조리 시 생성되는 향기성분 변화 (Thermal Changes of Aroma Components in Soybean Pastes (Doenjang))

  • 이승주;안봄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71-2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공장산 된장과 전통 된장 제품을 이용하여 가열조건(상온, $50^{\circ}C$, $100^{\circ}C$)을 달리한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HS-SPME법에 의해 추출한 후, GC-MSD를 이용하여 분석동정하였고 이들 성분의 정량분석도 실시하였다. 정성된 화합물은 총51개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고 동정된 성분을 화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18 esters, 3 alcohols, 6 acids, 8 pyrazines, 5 volatile phenols, 1 ketones, 6 aldehydes와 4개의 기타성분이 동정되었다. 에스터 성분과 산 성분이 동정된 화합물 중 두 개 시료에서 모두 가장 높은 농도를 차지하였다. 전통된장 시료는 가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 피라진류의 증가가 두드러졌고, 공장산 제품의 경우 에스터, 알데히드류 및 maltol과 acetyl pyrrole과 같은 일부 마이얄반응 부산물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관능검사 및 GC-Olfactometry 분석을 통한 전통 및 공장산 제품의 관능특성과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간의 상관관계분석이 필요하리라 판단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관능특성의 맞춤형 제품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Solid Phase Microextraction 및 Purge & Trap을 이용한 생물시료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GC/MS 분석비교 (Comparison Solid Phase Microextraction with Purge & Trap on the GC/MS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Biota Samples)

  • 안윤경;서종복;홍종기
    • 분석과학
    • /
    • 제14권5호
    • /
    • pp.392-399
    • /
    • 2001
  • 생물시료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n-butylbenzene과 1,2-dibromo-3-chloropropane (DBCP)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선택이온검색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시료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100{\mu}m$ polydimethyl siloxane (PDMS) fiber를 사용하여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 (SPME) 및 purge & trap 방법에 의해 추출 및 비교하였다. SPME에 의한 회수율은 n-butylbenzene의 경우 85.8%, DBCP의 경우 92.4%로 나타났고 검출한계는 각각 $0.15{\mu}g/kg$, $0.05{\mu}g/kg$로 나타났다. 반면, purge & trap의 경우 회수율은 n-butylbenzene의 경우 115.2%, DBCP의 경우는 80.9%로 나타났고 검출한계는 각각 $0.04{\mu}g/kg$$0.70{\mu}g/kg$로 나타나 두 방법에 있어 국내에서 규제하는 검출한계측면에서 큰 차이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