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components

검색결과 901건 처리시간 0.033초

조리에 따른 한국산 짚신나물(Agrimonia Japonica)의 휘발성 풍미 성분의 변화 (Changes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Agrimonia Japonica by cooking)

  • 이혜정;이경희;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2-125
    • /
    • 1995
  • 짚신나물의 생시료와 가열시료의 휘발성 풍미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dynamic head space 방법으로 정유 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생시료에서는 탄화수소류 16종, 알콜류가 7종, 에스터류가 4종, 알데히드와 케톤이 각각 1종씩 그리고 벤젠 화합물이 7종 확인되었다. 가열된 시료에서는 탄화수소류만이 6종이 확인되었다.

  • PDF

전자코 시스템에 의한 향미의 방향미 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He Flavour Components in Aromatic Rices using Electronic Nose System)

  • 문형인;이재학;이동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72-677
    • /
    • 1996
  •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미품종에 대한 방향성 성분함량비율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용기별로는 polar compound계열과 aldehydes compounds계열이 apolar compounds 계열과 sulphur compounds, aminated com-pounds계열에 비해 약 3배정도 높은 함량 비율을 보였다. 2. 백미와 취반상태에 있어서 방향성 성분 함량변화는 대부분 0.02에서 0.1수준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찰성을 가진 밀양 14006의 경우는 취반 상태에서 방향성 성분의 함량이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향기와 amylose함량 관계에서는 Japonica와 Indica계열 모두 아밀로스함량이 높을수록 방향성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Headspace 진행 후 센서에 감지되는 시간대는 대부분의 품종에서 30~35초에서 가장 많은 향기성분의 양을 검출할 수 있었으나, 이리 41003의 경우는 방향성성분의 검출이 30초대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 PDF

구기자(Lycium chinensis Miller)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Lycium chinensis Miller)

  • 박원종;복진영;백순옥;한상빈;주현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
    • /
    • 1997
  • 건조 구기자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SDE 방법으로 정유성분을 추출한 다음 GC 및 GC-MS로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54종으로써 알코올류 12종, 에스테르류 12종, 알데히드류 7종, 산류 6종, 탄화수소류 5종, 케톤류 8종, 푸란류 1종 및 피라진류 3종이었다. 그 중 에스테르류의 상대적 면적비가 가장 높았다. 건조 구기자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hexadecanoic acid의 에틸에스테르, 1-octadecanone, tetrapyrazine, 2-furancarboxaldehyde, ethyl linoleate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Aroma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Fermented with the Same Meju

  • Seo, Jae-Soon;Chang, Ho-Geun;Ji, Won-Dae;Lee, Eun-Ju;MYEONG-RAK-CHOI;HAENG-JA-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78-285
    • /
    • 1996
  • We identified volatil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which had been manufactured with the same traditional Meju with a view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All of the volatile components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SDE) apparatus. To obt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whole volatile components were separated into fractions. The volatile components of the whole and of each fraction were identified by GC-mass and Kovat's retention index. Sixty two and eighty six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respectively. Many aroma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differ from those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It was confirmed that many aroma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of Japanese fermented soy sauce (Shoyu) and soybean paste (Miso).

  • PDF

냉이의 식용부위별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Edible Portions of Capsella bursa-pastoris)

  • 이미순;최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22-826
    • /
    • 1996
  • 냉이의 식용부위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SDE방법으로 정유성분을 추출한 다음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전초에서는 탄화수소류 12종, 알데히드류 2종, 케톤류 2종, 알코올류 5종, 에스테르류 1종, 유기산류 10종 및 기타 2종이 확인되었고, 잎에서는 탄화수소류 11종, 알데히드류 5종, 케톤류 4종, 알코올류 5종, 에스테르류 1종 및 기타 2종, 뿌리에서는 탄화수소류 5종, 알데히드류 1종, 케톤류 2종, 알코올류 6종, 에스테르류 2종, 유기산류 1종 및 기타 7종이 확인되었다. 전초에서 다량 함유된 유기산류는 잎 부위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뿌리 부위보다 잎 부위에 케톤류 및 알코올류가 더욱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잎 및 뿌리에서는 지방취 및 약한 왁스냄새를 부여하는 성분들이 확인된 반면 전초에서는 신선하고 단내음을 발하는 성분들이 확인되었고 착향료로서 이용되는 성분들의 함량도 풍부하여 냉이를 조리 및 가공에 이용할 경우 전초를 사용하는 것이 향기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메꽃의 식용부위별 휘발성 풍미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Edible Portions of Calystegia japonica $(T_{HUNB})\;C_{HOIS}$.)

  • 이미순;최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9-364
    • /
    • 1994
  • 야생식용식물인 메꽃의 식용부위에 따른 휘발성 풍미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SDE방법으로 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잎에서는 탄화수소류 21종, 알데히드류 1종, 케톤류 4종, 알콜류 7종, 에스테르류 4종, 유기산류 1종 및 기타 1종이 확인되었다. 줄기에서는 탄화수소류 16종, 알데히드류 2종, 케톤류 3종 및 알콜류 5종이 확인되었으며, 뿌리에서는 탄화수소류 26종, 알데히드류 2종, 케톤류 5종, 알콜류 13종, 에스테르류 1종, 유기산류 1종 및 기타 4종이 확인되었다. 잎과 중기에서보다 뿌리에서 확인된 휘발성 풍미성분의 종류가 더 다양하였고 잎과 줄기는 탄화수소류가 다량 함유된 반면 뿌리에는 신선한 풀내음과 달콤한 향을 부여하는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알콜류가 다른 부위보다 수(數)적으로나 양(量)적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담배 Mainstream Smoke중 Semi-volatile 화합물 연구 (Study of the Semi-volatile Components in Cigarette Mainstream Smoke)

  • 김정열;신창호;김종열;김영호;이근회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5-123
    • /
    • 1998
  • The semi-volatile fraction of cigarette mainstream smoke contains the most important aroma and taste that enhance smoke flavor. The components in mainstream smoke were analysed for commercially available cigarettes. To compare the semi-volatile components delivered from mainstream smoke of domestic cigarette with imported cigarette, we analyzed three types of filter cigarettes such as cellulose acetate mono filter, carbon dual filter and slim filter cigarette. Mainstream smoke was collected with a combination of Cambridge filter pad and liquid trap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acetone cooled by dry ice-methanol. We have identified 43 components from mainstream smoke by GC and GC/MS and found that benzene, toluene, 4-hydroxy-4-methyl-2-pentanone, 5-methyl-2-furaldehyde, acetic acids nicotine and triacetin were the main peaks in mainstream smoke. Also we have compared the relative amounts of semi-volatile compounds delivered from the domestic and imported cigarettes with three different filter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lative amounts of limonene, acetic acid, 5-methyl-Lfuraldehyde delivered from the imported cigarette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of the domestic one's.

  • PDF

한국산 밤꿀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hestnut Honey Produced in Korea)

  • 강귀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84-88
    • /
    • 1998
  • 밤꿀과 밤꽃 향기성분의 연관성을 조사코자 밤꿀은 용매추출과 수증기 증류법을 병행하여, 그리고 밤꽃은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GC-MS에 의해 확인 비교하였다. 밤꽃으로 부터 14종의 방향족 화합물, 13종의 탄화수소류, 7 종의 지방산류, 4종의 테르펜류, 12종의 함산소 탄화수소류, 7종의 기타 성분 등 64종의 성분이 확인되었고, 밤꿀로 부터는 7종의 방향족화합물, 16종의 탄화수소류, 12종의 지방산류, 1종의 테르펜류, 2종의 함산소 탄화수소류, 3종의 기타 성분 등 41종이 확인되었다. 밤꽃 향기의 주요성분으로는 전체 향기의 49.02%를 차지하고 있는 2-phenyl ethyl alcohol, 1-phenyl ethyl alcohol, benzyl alcohol 등이 주를 이루었고 밤꿀 향기의 특징적인 성분으로는 2-phenyl ethyl alcohol, benzyl alcohol, 1-phenyl ethyl alcohol, 1-(2-aminophenyl) ethanone 등이었다.

  • PD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cent, Colored, and Common Rice Cultivars in Korea

  • Kim, Chang-Yung;Lee, Jong-Chul;Kim, Young-Hoi;Pyon, Jong-Yeong;Lee, Sun-Gy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81-185
    • /
    • 1999
  • To compare the composition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hree different cultivars of rice, Hyangnambyeo (aromatic cultivar), Heugjinjubyeo (pigmented cultivar) and Dongjinbyeo (normal cultivar),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brown rice were isolated by Likens-Nickerson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pparatus. The flavor concentrates obtained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 total of 65 components, including 14 aliphatic aldehydes and ketones, 7 aliphatic alcohols, 8 aromatic alcohols, 13 hydrocarbons, 9 esters, 7 aliphatic acids, and 7 miscellaneous components were identified. The aliphatic aldehydes, which are known as contributors to the overall flavor of cooked rice, were present in larger amounts in Hyangnambyeo than in Heugjinjubyeo and Dongjinbyeo, while the difference in quantity of these components between Heugjinjubyeo and Dongjinbyeo was not remarkable. Hyangnambyeo and Heugjinjubeyo contained 562 ng and 259 ng of 2-acetyl-1-pyrroline per gram of brown rice based on dry weight, respectively, which is a key compound contributing to the popcorn-like aroma in aromatic rice. Dongjinbeyo contained about 6 ng.

  • PDF

Analysis of Volatile Oil Components and Identification of Chemotypes in Jaso (Perilla frutescens) Collected in Korea

  • Ohk, Hyun-Chung;Chae, Young-Am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7-101
    • /
    • 2004
  • Volatile oil components were analysed in Perilla frutescens accessions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in South Korea and identified chemotypes based on the major volatile oil components. Major components out of 30 compounds identified were limonene, perillaldehyde, perillaketone, isoegomaketone, beta-caryophyllene, beta-farnesene, myristicin, and dillapiole. P. frotescens collec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chemotypes : PA type (57.7% limonene and 19.8% perillaldehyde), PK type (89.8% perillaketone), ST type (82.4% sesquiterpene, as 54.5% beta-caryophyllene and 27.9% beta-farnesene) and PP type (40.3% phenylpropenes as 13.6% myristicin and 26.7% dillapiole) and 37.8% sesquiterpenes. The majorities of P. frutescens collections in this study belong to PA type (41.9%) and PK type(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