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ice of the customer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9초

감성인식과 핵심어인식 기술을 이용한 고객센터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utomatic Monitoring System for the Contact Center Using Emotion Recognition and Keyword Spotting Method)

  • 윤원중;김태홍;박규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7-11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고객의 불만관리 및 상담원의 상담품질 관리를 위한 고객센터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평상/화남의 2가지 감성에 대한 음성 감성인식 기술과 핵심어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상담내역에 대한 보다 정확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욕설, 성희롱 등의 언어폭력을 일삼는 고객에 대한 전문상담 및 관리가 가능하다. 서로 다른 환경에서 구축된 이종 음성 DB를 이용하여 불특정 고객들의 질의 음성에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고객센터 상담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소비자트렌드 변화에 따른 VOC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VOC system in compliance with the shift in customer trend)

  • 이수열;김영이
    • 유통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89-11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충성고객에서부터 불만고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객의 소리(VOC)를 통하여 유통업체들이 서비스마케팅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적절한 VOC시스템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유통업체로 국한하였으며, 여러 VOC 채널 중에서 인터넷 게시판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유통업체 5개사(社)의 홈페이지 상에 민원을 제기하고 나서 처리되는 과정을 사례로써 조사하였다. 그리고 고객만족도 조사는 유통업체 A사(社)의 ○○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신속하고 성실한 답변은 기업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전환시켰다. 둘째, 연령대와 성별로 VOC채널에 대한 선호도를 달리하였다. 30대 이하와 40대 이상 각기 다른 채널을 도구로 감성을 자극해야 하며 남자에 비해 여자는 대다수 전화로 하는 즉각적이면서도 자신의 스토리를 들어주길 원하는 스타일이었다. 셋째,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따라 쌍방향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VOC시스템을 위해 감성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접목할 수 있는 VOC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인 현장위주, 고객위주의 실천과제를 도출해 보았다.

  • PDF

TOSS: Telecom Operations Support Systems for Broadband Services

  • Chen, Yuan-Kai;Hsu, Chang-Ping;Hu, Chung-Hua;Lin, Rong-Syh;Lin, Yi-Bing;Lyu, Jian-Zhi;Wu, Wudy;Young, Hey-Chyi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1호
    • /
    • pp.1-20
    • /
    • 2010
  • Due to the convergence of voice, data, and video, today's telecom operators are facing the complexity of service and network management to offer differentiated value-added services that meet customer expectations. Without the operations support of well-developed Business Support System/Operations Support System (BSS/OSS), it is difficult to timely and effectively provide competitive services upon customer request. In this paper, a suite of NGOSS-based Telecom OSS (TOSS) is developed for the support of fulfillment and assurance operations of telecom services and IT services. Four OSS groups, TOSS-P (intelligent service provisioning), TOSS-N (integrated large-scale network management), TOSS-T (trouble handling and resolution), and TOSS-Q (end-to-end service quality management), are organized and integrated following the standard telecom operation processes (i.e., eTOM). We use IPTV and IP-VPN operation scenarios to show how these OSS groups co-work to support daily business operations with the benefits of cost reduction and revenue acceleration.

QFD 및 Stage-gate 모델을 활용한 국방분야 개발단계 품질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quality control by application of QFD and Stage-gate in defense system)

  • 장봉기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79-290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doption of QFD and Stage-gate in order to analyze the quality of korea defense system. Methods: Drawing change data of initial production phase in korea defense system were anlayzed and a practical method was propos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Off line Quality Control should be introduced in development phase. Specially, in case of defense system, the best method is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and Stage-gate process. At first, QFD 1 step defines product planning from VOC(Voice Of Customer), QFD 2 step specifies part planning from product planning, QFD 3 step defines process planning from part planning, QFD 4 step defines production planning from previous process planning. Secondly, Stage-gate process is adopted. This study is proposed 5 stage-gate in case of korea defense development. Gate 1 is located after SFR(System Function Review), Gate 2 is located after PDR(Preliminary Design Review), Gate 3 is located after CDR(Critical Design Review), Gate 4 is located after TRR(Test Readiness Review) and Gate 5 is located before specification documentation submission. Conclusion: Off line QC(Quality Control) in development phase is necessary prior to on line QC(Quality Control) in p roduction phase. For the purpose of off line quality control,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and Stage-gate process can be adopted.

6-시그마 기법을 이용한 자기공명영상 검사 실적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Examination by Using the 6-Sigma Application)

  • 성열훈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3-249
    • /
    • 2011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mprove of performance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examination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It was performed DMAIC (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and Control). In the stage of definition, The fifth kinds of CTQ (critical to quality) by the kindness, the waiting time, the examination explanation, the waiting time and the waiting environment were selected by voice of customer. In the stage of measurement, the performed examinations and the reservation waiting time were measured each 1.77 and 1.69 sigma. In the stage of analysis, the potential key causes were determined the limited working hours and the difference of examination time of various entries. In the stage of improvement, MRI were performed with the operating system of 24 hours examination and the optimization of the difference of examination time by among of 30 minutes, 40 minutes, 50 minutes. Finally, the number of examinations and reserved waiting days were measured by each 3.17 and 1.71 sigma in the control stage.

익명성 보호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배송추적 방지 모델 (Delivery Tracing Protect Model Based Smart Contract for Guaranteed Anonymity)

  • 김영찬;김영수;임광혁
    • 산업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15-20
    • /
    • 2018
  • 인터넷 쇼핑의 증가와 함께 운송장에 적힌 배송정보를 악용한 범죄가 보이스피싱을 통한 물품 가로채기, 상해, 성범죄에 이르기까지 갈수록 고도화 세분화 되고 있다. 따라서 고객의 배송정보에 대한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다수 운송업자 상호간에 제품의 배송 구간에 대한 경로 정보를 비밀로 유지하는 배송추적 방지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인터넷 쇼핑의 대금결제와 개인정보의 연계 분리는 블록체인기반 암호화폐의 익명성 기술을 사용하여 보호하고 운송정보에 포함되는 배송정보를 암호화해서 익명성을 보호하는 배송추적 방지 모델 제안한다. 우리의 제안 모델은 고객의 배송정보에 대한 익명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기업에게 고객의 배송정보를 제외한 제품판매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서 블록체인 기반 인터넷 쇼핑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오피니언 마이닝을 위한 VOC 데이타의 신뢰성 분석 (Reliability Analysis of VOC Data for Opinion Mining)

  • 김동원;유성진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4호
    • /
    • pp.217-245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소셜 미디어에서 추출된 7개의 감성 도메인이 기업의 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실험을 위한 데이터로서 적합한 지에 대해 신뢰성을 확인하고, 실제 고객감성이 자동차 시장점유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총 3단계 구성으로서, 단계 1은 감성사전 구축 단계로서 미국 내 26개의 자동차 제조 회사의 고객의 소리 (VOC: Voice of Customer) 총 45,447개를 자동차 커뮤니티로부터 crawling하여 POS 정보 추출 후 감성사전을 구축하였고, 7개의 감성도메인을 만들었다. 단계 2는 신뢰성분석의 단계로서 자기상관관계분석과 주성분 분석 (PCA)을 통해 데이터의 실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단계 3에서는 PCA를 근거로 2개의 선형회귀분석 모델을 구축하였고 GM, FCA, VOLKSWAGEN 등 3개의 기업을 선정, 2013년부터 2015년까지 7개 감성영역의 자동차 시장점유율에 대한 영향을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자기상관관계분석에 의해서 감성 데이터에 자기상관성과 시계열적 패턴이 관찰되었다. PCA 결과, 감성영역이 부정성, 긍정성, 중립성을 주성분으로 연결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VOC 감성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 2개 Model의 선형회귀분석 결과, 기업마다 시장점유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감성들이 존재하며 Model 1과, 2의 감성영향력이 차이가 있고 중립성의 영향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데이터 상에 나타난 정보를 가진 감성이 과거 값에 기초하여 자동차 시장에서 변화를 수반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리가 시장 데이터의 가용성을 적용하려고 할 때, 자동차 시장 관련 정보나 감성의 자기상관성을 잘 활용할 수 있다면, 감정 분석에 대한 연구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시장에서의 비지니스 성과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DGPS 와 무선통신을 이용한 AVL-GIS 시스템개발 (Development of AVL-GIS System Using IDGP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 안충현;양종윤;최종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209-221
    • /
    • 1999
  • 자바언어로 구현된 GIS 공간정보분서엔진, GPS, 휴대전화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연계하여 AVL-GIS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프로토 타입으로서 긴급 상황 관제 센터로 가정한 통합안전관리시스템(경찰, 119 , 소방서)제 적용, 구현하였다. 이동차량이 정확한 위치의 추적을 위하여 IDGPS(Inverted Differential GPS)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GIS 분석기능과 도로 데이터 및 이와 관련된 공간정보를 갖고 있는 중앙 관제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위치정보 및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기존의 AVL용 시스템보다 GIS 분석기능이 강화되어 있으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물류정보, 재난 및 안전관리, 버스나 택시와 같은 차량관리와 전자상거래에서 인터넷을 통한 화물의 위치 확인등과 같은 응용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 PDF

모바일 보안을 위한 모바일 폰 영상의 손 생체 정보 인식 시스템 (Hand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Mobile Phone Image for Mobile Security)

  • 홍경호;정은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319-326
    • /
    • 2014
  • 모바일 보안의 증가에 따라, 지식에 근거한 사용자 이름, 패스워드 방식의 개인 인증에 대한 실패를 경험한 사용자들은 개인 식별과 인증에서 손 형상, 지문 인식, 목소리와 같은 생체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더욱 선호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모바일 보안을 위해 개인 식별과 인증에서 생체 인증을 사용하는 것은 인터넷 상에서 고객과 판매자들 모두에게 신뢰성을 준다. 본 연구는 개인 식별과 인증을 위해 iphone4와 galaxy s2의 모바일 폰 영상으로부터 손형상, 손 바닥 특징, 손가락 길이와 너비 등의 손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본 연구의 손 생체 정보인식 시스템은 영상 획득, 전처리, 잡음 제거, 표준 특징패턴 추출, 개별 특징패턴 추출 그리고 손 생체 정보 인식의 6가지 단계로 구성한다. 실험에서 사용한 입력 데이터는 50명의 실험자의 손 형상 영상과 손 바닥 영상으로 구성한 250장의 데이터에 대한 평균 인식률은 93.5%이다.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관객 행동 기반 감정예측모형 (The Audience Behavior-based Emotion Prediction Model for Personalized Service)

  • 유은정;안현철;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2호
    • /
    • pp.73-85
    • /
    • 2013
  • 정보기술의 비약적 발전에 힘입어, 오늘날 기업들은 지금까지 축적한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고객에게 소구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고객이 처한 상태나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고객에게 서비스가 전달되는 이른바 진실의 순간에 해당 고객의 감정 상태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면, 기업은 더 양질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사람의 얼굴과 행동을 이용하여 사람의 감정을 판단하고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얼굴 표정을 통해 사람의 감정을 판단하는 연구는 좀 더 미세하고 확실한 변화를 통해 정확하게 감정을 판단할 수 있지만, 장비와 환경의 제약으로 실제 환경에서 다수의 관객을 대상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lutchik의 감정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사람들의 행동을 통해 감정을 추론해내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콘텐츠에 의해 유발된 사람들의 감정적인 변화를 사람들의 행동 변화를 통해 판단하고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고, 4가지 감정 별 행동 특징을 추출하여 각 감정에 따라 최적화된 예측 모형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형 구축을 위해 사람들에게 적절한 감정 자극영상을 제공하고 그 신체 반응을 수집하였으며, 사람들의 신체 영역을 나누었다. 특히, 모션캡쳐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차영상 기법을 적용하여 사람들의 제스쳐를 추출 및 보정하였다. 이후 전처리 과정을 통해 데이터의 타임프레임 셋을 20, 30, 40 프레임의 3가지로 설정하고, 데이터를 학습용, 테스트용, 검증용으로 구분하여 인공신경망 모형을 통해 학습시키고 성과를 평가하였다. 다수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 모형을 구축하고 평가한 결과, 프레임셋에 따라 예측 성과가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감정 별 최적 예측 성과를 보이는 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감정에 따라 감정의 표출 시간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행동에 기반한 제안된 감정예측모형이 감정에 따라 효과적으로 감정을 예측할 수 있으며,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알고리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