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ice Behavior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6초

연령별 휴대폰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bile phone using behavior by age group)

  • 윤훈용;윤우순;남창수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5-120
    • /
    • 2004
  • With the new technology and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phone. the functions and designs of mobile phone have been varied rapidly. However. based on the user's level of familiarity on mobile phone function and knowledge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using behaviors of mobile phone. especially between the young users who are well acquainted with the latest function and technology and the over middle-aged users who are relatively not. would be quite different.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ous using behaviors of mobile phone in different age groups. The total number of six hundred and sixty-seven people from age seventeen to six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young group (age between 17 to 29) and the over middle-aged group (age between 40 to 60) to compare the difference group considered design. price. and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as three important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 over middle-aged group considered quality of communication. price and ease of use as three important factors. All the respondents of the young group know how to use the text messaging function. however for the over middle-aged group. 40% of the respondents knows how to use the text messaging function. The over middle-aged group seemed mainly use the mobile phone for voice communication. however the young group had a tendency to communicate each other with short text message rather than through voice conversation. Twenty percentage of young group responded that they had an experience of pain or discomfort at the thumb. the thenar eminence area. or carpus area during pushing the mobile phone keypad. The excessive frequent use of keypad may cause the risk of repetitive strain injury (RSI).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way of using mobile phone in different age groups. and also could be used to design and market the mobile phone.

UMTS 시스템에서 기지국 버퍼에 대한 실험 및 분석 (Simulation and Analysis of Base Station Buffer in UMTS Systems)

  • 김남기;박인용;정혜영;윤현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9A권3호
    • /
    • pp.317-326
    • /
    • 2002
  • 도시 인구 집중과 이동 인구의 증가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90년대 이후 급격한 발전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2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음성에만 치중하여 개발되었고 시장이 거의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따라서 앞으로 다가올 UMTS와 같은 제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인터넷과 같은 본격적인 데이타 서비스를 위해 패킷 데이타 통신이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떠오르고 있다. 음성 서비스와는 달리 패킷 데이타 특성에 갖는 패킷 데이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UMTS 시스템에서는 전송하기 전에 반드시 데이타를 버퍼에 저장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패킷 데이타 서비스를 위한 버퍼가 어떻게 얼만큼 필요하고 트래픽에 따라 그 상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UMTS 시스템에서 BS (Base Station)에 놓이는 버퍼 상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 보기 위해 버퍼 상태 분석을 위한 UMTS 시스템 모델을 구성하고 실험을 통해 그 결과를 관찰 분석한다. 그리고 버퍼 상태를 확률을 통해 수식적으로도 분석한다.

서양 음악을 전공으로 하는 성악인의 음향학적 분석 (Acoustic Analysis of Classically Trained Western Singers)

  • 정성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4-129
    • /
    • 1999
  • 1) 음성 장애를 호소하지 않는 성악인 50명중 여자는 59% 남자는 50%에서 후두스트로보스코피상 성대 병변이 발견되었다. 2) 성종별로는 소프라노에서 가장 성대 병변의 발생률이 높았다(66.7 %). 3) 최장발성 지속시간은 성악인의 경우 성대 병변에 관계없이 일반 정상인에 비해서 증가되어 있었으며 특히 정상 성대를 가진 여자 성악인에서는 일반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의 있게 증가되어 있었다. 4) 기본진동수, 기본진동수 표준편차, 기본진동수변 이들은 성악인이 일반인에 비해 안정되어 있었고, jitter. PPQ는 성악인이 성대 병변이 있더라도 일반인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으며, 특히 남자 성악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Shimmer. APQ 역시 성악인이 성대 병변이 있더라도 일반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의 있게 감소되어 있었다.

  • PDF

인터넷전화 수용 결정요인과 사용자 연령 및 경험 변수의 조절효과 분석 (Analysis of Determinants and Moderator Effects of User Age and Experience for VoIP Acceptance)

  • 김기연;이덕선;설정선;이봉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6호
    • /
    • pp.945-96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인터넷전화(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사용자 수용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정의하고, 둘째, 수용 이론들의 통합모형인 UTAUT를 기저모형으로 하여, 성과기대감, 사회적 영향, 노력기대감, 사용촉진조건, 행위의도와 사용행위 등의 잠재변수 간의 복합적인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셋째, 비용기대감 변수를 새롭게 정의하여 연구가설에 포함하였고, 각 변수들 간의 경로에 영향을 주는 조절변수로서 사용자 연령, 성별, 경험기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VoIP의 실제 사용자 641명을 표본 조사함으로써, 행위의도와 사용행위 변수 간의 개념적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여 보다 정확한 분석 결과의 향상을 도모하였다. 사용자 수용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사용행위 변수를 검증할 때, 실제 사용자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행위의도를 가진 미래의 잠재적 사용자를 포함시키는 사례가 많았다. 분석 결과, 제시한 모든 연구가설이 채택되었으며, 조절효과에서 연령이 성과기대감, 사회적 영향과 행동의도 간에, 경험기간은 사용촉진조건, 행위의도와 사용행위 간에 정의 관계가 성립하였다.

동적 성대 모델을 이용한 후두 내 유동 및 음향장에 대한 수치 연구 (Computation of Laryngeal Flow and Sound through a Dynamic Model of the Vocal Folds)

  • 배영민;문영준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1-24
    • /
    • 2008
  • The present study numerically investigates the glottal airflow characteristics as well as acoustic features of phonation fully coupled with dynamic behavior of vocal folds. The vocal folds are described by a low-dimensional body-covered model characterized by bio-mechanical parameters such as glottal width, vocal folds stiffness, and subglottal pressure. The flow in the vocal tract is modeled as an incompressible, axisymmetric form of the Navier-Stokes equations (INS), while the acoustic field is predicted by the linearized perturbed compressible equations (LPCE). The computed result shows that a two-mass model of vocal folds is sufficient to reproduce temporal variations in oral airflow and glottis motion produced by female speakers. It is also found that i) the glottal widt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mplitude of glottal flow, and thus on the amplitude of acoustic wave in the vocal tract, ii) the vocal fold tension is the main control parameter for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phonation, iii) the subglottal pressure plays an appreciable role on reproduction of the self-sustained oscillation of vocal folds, and iv) the strength of pulsating airflow and vortical structures are primarily affected by glottal width and subglottal pressure, and are closely related to pitch, loudness, and voice quality. Finally, more comprehensive explanat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one- and two-mass models is presented with discussion of effectiveness of vocal folds oscillation and voice quality.

  • PDF

The Impact of Transforming Unstructured Data into Structured Data on a Churn Prediction Model for Loan Customers

  • Jung, Hoon;Lee, Bong Gyo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12호
    • /
    • pp.4706-4724
    • /
    • 2020
  • With various structured data, such as the company size, loan balance, and savings accounts, the voice of customer (VOC), which is text data containing contact history and counseling details was analyzed in this study. To analyze unstructured data, the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analysis, semantic network analysis, sentiment analysis, and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ere implemented. A 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models revealed that the predictive model using the CNN provided the best performance with regard to predictive power, followed by the model using the TF-IDF, and then the model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particular, a character-level CNN and a word-level CNN were developed separately, and the character-level CNN exhibited better performance, according to an analysis for the Korean language. Moreover, a systematic selection model for optimal text mining techniques was proposed, suggesting which analytical technique is appropriate for analyzing text data depending on the context. This study also provides evidence tha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dicating that individual customers leave when their loyalty and switching cost are low, are also applicable to corporate customers and suggests that VOC data indicating customers' needs are very effective for predicting their behavior.

유튜브 댓글을 통해 살펴본 버추얼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 연구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긍부정 감성 반응을 중심으로- (A Study on Perceptions of Virtual Influencers through YouTube Comments -Focusing 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Toward Character Design-)

  • 안효선;김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873-890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users' emotional responses to VI character design through YouTube comments. The researchers applied text-mining to analyze 116,375 comments, focusing on terms related to character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VI. Using the BERT model in sentiment analysis, we classified comments into extremely negative, negative, neutral, positive, or extremely positive sentiments. Next, we conducted a co-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on comments with extremely negative and extremely positive responses to examine the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 design and emotional characteristic terms. We also performed a content analysis of comments about Miquela and Shudu to analyze the perception differences regarding the two character designs. The results indicate that form elements (e.g., voice, face, and skin) and behavioral elements (e.g., speaking, interviewing, and reacting) are vital in eliciting users' emotional responses. Notably, in the negative responses, users focused on the humanization aspect of voice and the authenticity aspect of behavior in speaking, interviewing, and reacting. Furthermore, we found differences in the character desig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that users expect based on the VI's field of activity.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applications to character design to accommodate these variations.

PDV를 이용한 가상 버퍼상의 AAL2 패킷 폐기 알고리즘과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AL2 Packet Dropping Algorithm using PDV on Virtual Buffer)

  • 정다위;조영종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9권1호
    • /
    • pp.20-33
    • /
    • 2002
  • 패킷을 이용한 음성 서비스는 무선 망을 통한 음성 서비스 등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미래의 모든 음성 서비스는 패킷 기반형으로 진화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ATM의 AAL2를 이용한 음성 패킷의 전달은 백본 망에서 음성 패킷의 전달 효율을 증가시키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AAL2를 이용한 음성 서비스의 경우, 망의 자원이 허락되면 새로운 호의 연결을 수락한다. 하지만 새로운 호에 의해 발생되는 패킷으로 기존의 AAL2 연결의 전송 지연이 급격하게 증가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AL2를 이용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AAL2 버퍼 관리 매카니즘으로 N개의 호에 대해 N개의 가상 버퍼를 통하여 각각의 호에 대한 전송지연변이를 계산하고, 전송 지연 변이에 따른 패킷 폐기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러한 패킷 폐기 알고리즘은 새로운 호의 수락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송지연변이의 증가때문에 기존의 호의 QoS가 급격하게 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종단 대 종단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AAL2 패킷 구성과 ATM 셀 구성의 요소를 분석하고, 음성 서비스를 ATM 셀로 만드는 과정을 K-정책을 갖는 M/D/1 큐잉시스템과 MIN(K, Tc) 정책을 갖는 M/D/1 큐잉 시스템으로 모델링함으로써, AAL2 패킷을 ATM 셀로 만드는 과정에서의 ATM 셀 밀집도와 AAL2 버퍼에서의 지연시간을 분석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모의 실험하여서 큐잉 시스템 모델링 결과와 비교하고 성능 결과를 분석하였다. 성능 분석 결과, AAL2 패킷 생성 시간과 ATM셀 생성 시간은 음성 소스의 갯수가 증가할 경우 전송 지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음성 소스의 QoS를 저하하지 않은 수준에서 전송 지연을 낮게 유지할 수 있었다.

혜택/비용, 그림자 노동에 대한 부정적 태도, 반응행동 간 구조적 관계 (Linking Benefit/Cost, Negative Attitudes toward Shadow Work, and Consumer's Response Behavior)

  • ;고준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2호
    • /
    • pp.79-103
    • /
    • 2021
  • Purpose Based on consumers' economic, psychological, self-development and conversion costs,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negative attitude to their shadow work during the course of using self-service in unmanned supermarkets and their behavior. Design/methodology/approach Along with the Hirschman(1970)'s EVLN(Exit, Voice, Loyalty, and Neglect) reviewed, the proposed model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S-O-R model(Mehrabian and Russel, 1974) and mental accounting theory(Thaler, 1999), having empirical validation. Findings In the process of visits and consumption in unmanned supermarkets, increasing economic and psychological benefits can effectively reduce consumers' negative attitudes towards shadow work. In addition, the increase in switching costs will also effectively reduce consumers' negative attitudes towards shadow work. When shadow work holds a negative attitude, all the three kinds of actions will occur. Unmanned supermarket operators use consumers to create value while giving a certain return to them, which is conduciv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unmanned supermarket enterprises.

침묵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ilence Motivation Scale)

  • 최명옥;박동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2호
    • /
    • pp.239-270
    • /
    • 2017
  • 본 연구는 조직 내 구성원들이 조직 및 업무 관련하여 의도적으로 침묵을 선택하는 동기를 밝히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속된 3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직장인 104명을 대상을 조직 내 침묵 경험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응답내용을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침묵동기에 대한 총 60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개발된 예비문항에 대해 4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ESEM 분석을 통해 침묵동기에 대한 5요인(방어적 침묵, 체념적 침묵, 비관여적 침묵, 기회주의적 침묵, 관계적 침묵)을 도출하고 최종 20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침묵동기 척도와 유사개념(일반적 침묵행동, 발언행동) 간 변별성 검증을 위해 척도 간 ESEM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침묵동기 척도는 일반적 침묵행동 및 발언행동과 변별되는 개념으로 나타났다. 연구 3에서는 침묵동기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직장인 339명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침묵동기의 5요인 구조모형의 부합도가 높게 나타나 침묵동기 척도의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