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ice Activity Detection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9초

Robust Voice Activity Detection Using the Spectral Peaks of Vowel Sounds

  • Yoo, In-Chul;Yook, Dong-Suk
    • ETRI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451-453
    • /
    • 2009
  • This letter proposes the use of vowel sound detection for voice activity detection. Vowels have distinctive spectral peaks. These are likely to remain higher than their surroundings even after severe corruption. Therefore, by developing a method of detecting the spectral peaks of vowel sounds in corrupted signals, voice activity can be detected as well even in low signal-to-noise ratio (SNR) conditions.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erforms reliably under various noise and low SNR conditions. This method is suitable for mobile environments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noise may not be known in advance.

Voice Activity Detection with Run-Ratio Parameter Derived from Runs Test Statistic

  • Oh, Kwang-Cheol
    • 음성과학
    • /
    • 제10권1호
    • /
    • pp.95-105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a new parameter for voice activity detection which serves as a front-end part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s. The new parameter called run-ratio is derived from the runs test statistic which is used in the statistical test for randomness of a given sequence. The run-ratio parameter has the property that the values of the parameter for the random sequence are about 1. To apply the run-ratio parameter into the voice activity detection method, it is assumed that the samples of an inputted audio signal should be converted to binary sequences of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Then, the silence region in the audio signal can be regarded as random sequences so that their values of the run-ratio would be about 1. The run-ratio for the voiced region has far lower values than 1 and for fricative sounds higher values than 1. Therefore, the parameter can discriminate speech signals from the background sounds by using the newly derived run-ratio parameter. The proposed voice activity detector outperformed the conventional energy-based detector in the sense of error mean and variance, small deviation from true speech boundaries, and low chance of missing real utterances

  • PDF

고차 미분에너지 기반 노인 음성에서의 음성 구간 검출 알고리즘 연구 (Development of Voice Activity Detection Algorithm for Elderly Voice based on the Higher Order Differential Energy Operator)

  • 이지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249-255
    • /
    • 2016
  • 노인 음성은 연령에 따른 호흡, 발성, 공명 등의 생리적 변화에 의하여 다량의 잡음이 발생된다. 따라서 노인 음성으로 음성인식 및 합성, 분석 소프트웨어등과 같은 융복합 헬스케어 기기를 동작시키고자 할 때, 성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야기한다. 그러므로 노인 음성을 분석하여 그들의 목소리로 다양한 헬스케어 기기를 잘 운영할 수 있는 위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 음성 잡음을 고려하여 기존의 대칭 구조 고차 미분 에너지 함수를 이용하여 노인 음성에서의 음성 구간 검출 알고리즘을 연구하였으며, 자기상관함수와 AMDF 방법과 비교하여 노인 음성에서의 음성 구간 검출에 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음성 구간 검출 알고리즘은 노인을 위한 음성 인터페이스에 적용함으로써 노인들의 스마트 기기에의 접근성을 높이고, 더 나아가 노인들을 위한 융복합 웨어러블 디바이스 성능 개선 및 다양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우도비를 이용한 적응 밴드 분할 기반의 음성 검출기 (Voice Activity Detection based on Adaptive Band-Partitioning using the Likelihood Ratio)

  • 김상균;심현민;이상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064-1069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pproach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voice activity detection(VAD) which is based on the adaptive band-partitioning with the likelihood ratio(LR). The previous method based on the adaptive band-partitioning use the weights that are derived from the variance of the spectral. In our VAD algorithm, the weights are derived from LR, and then the weights are incorporated with the entropy. The proposed algorithm discriminates the voice activity by comparing the weighted entropy with the adaptive threshol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yields better resul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VAD algorithms. Especially,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superior improvement in non-stationary noise environments.

탐색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적응적인 탐색을 이용한 고속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 (A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 using Adaptive Search According to Importance of Search Ranges)

  • 김태환;김종남;정신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37-442
    • /
    • 2015
  • Voice activity detection is very important process that voice activity separated form noisy speech signal for speech enhance. Over the past few years, many studies have been made on voice activity detection, but it has poor performance in low signal to noise ratio environment or fickle noise such as car noise. In this paper, it proposed new voice activity detection algorithm using ensemble variance based on wavelet band entropy and soft thresholding method. We conduct a survey in a lot of signal to noise ratio environment of car noise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and confirme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Voice Activity Detection Based on SNR and Non-Intrusive Speech Intelligibility Estimation

  • An, Soo Jeong;Choi, Seung 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1권4호
    • /
    • pp.26-30
    • /
    • 2019
  • This paper proposes a new voice activity detection (VAD) method which is based on SNR and non-intrusive speech intelligibility estimation. In the conventional SNR-based VAD methods, voice activity probability is obtained by estimating frame-wise SNR at each spectral component. However these methods lack performance in various noisy environments. We devise a hybrid VAD method that uses non-intrusive speech intelligibility estimation as well as SNR estimation, where the speech intelligibility score is estimated based on deep neural network. In order to train model parameters of deep neural network, we use MFCC vector and the intrusive speech intelligibility score, STOI (Short-Time Objective Intelligent Measure), as input and output, respectively. We developed speech presence measure to classify each noisy frame as voice or non-voice by calculating the weighted average of the estimated STOI value and the conventional SNR-based VAD value at each fram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VAD method in various noisy environments, especially when the SNR is very low.

우도비를 이용한 DBN 기반의 음성 검출기 (Voice Activity Detection based on DBN using the Likelihood Ratio)

  • 김상균;이상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45-15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입력된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각 주파수 밴드별 우도비(likelihood ratio, LR)를 deep belief networks(DBN)의 입력층으로 이용하는 새로운 음성 검출기(voice activity detection, VAD)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통계적 모델 기반의 음성 검출기는 음성 구간을 판단하기 위해 우도비를 기하 평균을 이용한 결정식을 사용한다. 제안된 음성 검출기는 이 결정식을 대신해 DBN을 이용하여, 오검출 확률을 최소화 하도록 학습을 한다. 제안된 DBN 기반의 음성 검출 알고리즘은 통계적 모델 기반의 음성 검출기의 성능을 개선한 support vector machine(SVM) 기반의 음성 검출기와 정상 및 비정상 잡음 환경에서 다양한 조건을 부과하여 비교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이 기존의 SVM 기반의 알고리즘보다 전체 오분류 확률 [0.7, 2.7]의 향상 폭을 보였다.

  • PDF

비정체성 잡음을 위한 SPD-TE 기반 계수형 음성 활동 탐지 (A Parametric Voice Activity Detection Based on the SPD-TE for Nonstationary Noises)

  • 구본응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0-31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비정체성(nonstationary) 잡음 환경을 위한 단일 채널 VAD(Voice Activity Detection) 알고리듬 제안하였다. VAD 판별을 위한 특징계수의 임계값은 과거 비음성 프레임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추산하여 적응적으로 갱신하였다. 특징계수로는 SPD-TE(Spectral Power Difference-Teager Energy)를 사용했는데, 이것은 WPD(Wavelet Packet Decomposition) 계수에 Teager 에너지를 적용한 것으로서 잡음에 강인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TIMIT 음성과 NOISEX-92 잡음을 사용하여 10 dB부터 -10 dB까지의 SNR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된 알고리듬이 표준을 포함한 기존의 알고리듬과 비슷한 정확도를 보였다.

조건 사후 최대 확률과 음성 스펙트럼 변이 조건을 이용한 통계적 모델 기반의 음성 검출기 (A Statistical Model-Based Voice Activity Detection Employing the Conditional MAP Criterion with Spectral Deviation)

  • 김상균;장준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24-32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조건 사후 최대 확률 (conditional maximum a posteriori, CMAP)과 음성 스펙트럼 변이 조건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음성 검출기 (voice activity detection, VAD)를 제안한다. 제안된 음성 검출기는 통계적 모델을 기반으로 한 우도비 테스트 (likelihood ratio test, LRT)의 문턱값을 결정하는데 조건 사후 최대 확률과 스펙트럼 변이의 상태 값을 조건부 확률로 부과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다양한 잡음 환경에서 기존의 CMAP 기반의 음성 검출기와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향상된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SNR이 낮은 조건에서 향상 폭이 컸다.

적응형 문턱값을 가지는 2차 조건 사후 최대 확률을 이용한 통계적 모델 기반의 음성 검출기 (Statistical Model-Based Voice Activity Detection Using the Second-Order Conditional Maximum a Posteriori Criterion with Adapted Threshold)

  • 김상균;장준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6-8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음성의 통계적 모델에 기반한 음성 검출기 (voice activity detection, VAD)의 성능 향상을 위해 2차 조건 사후 최대 확률 (second-order conditional maximum a posteriori, second-order CMAP)기법을 적용한 우도비 테스트 (likelihood ratio test, LRT)를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통계적 모델에 기반한 음성 검출기와 CMAP 기반의 음성 검출기를 분석한 다음, 직전 2 프레임에서 음성의 존재와 부재에 대한 조건부 확률에 따라 실시간으로 적응형 문턱값을 구하여 기하 평균한 우도비와 비교하는 음성검출 결정법 (decision rule)을 제시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비정상 (non-stationary) 잡음환경에서 기존의 통계적 모델에 기반한 음성 검출기, CMAP 기반의 음성 검출기와 비교하였으며,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