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4초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Support System for the Work Disabled in Korea)

  • 김미정;남세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523-53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보조공학기기 지원 현황을 조사하고,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고 Gilbert와 Terrell의 정책분석 모형과 연구 목적을 절충한 분석 틀에 따라 신청 절차, 품목 선정 및 품질관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은 구직 또는 근로 장애인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개선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우선 장애인 수요자 중심으로 보조공학 지원 절차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지원품목 확대 및 품질관리 체계가 합리적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셋째, 보조공학기기 신청자격 확대가 시급하며, 마지막으로 개선방안 실천을 위한 제반 조건 실행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 개선방향이 정립되어 장애인근로자의 보조공학기기 선택권과 활용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기능제한(Functional Limitation) 관점에서 본 뇌성마비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취업여부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Job Status of the Disabled from the Functional Limitation Perspectives)

  • 김정우;김봉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223-249
    • /
    • 2007
  • 본 연구는 개인에 대한 직업재활서비스의 적격성이 장애 등급만으로 결정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론적 검토를 통해 '기능제한(functional limitation)'개념이 이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변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를 이용하여 기능제한 정도를 측정하였다. 전체 381명의 뇌성마비인을 대상으로 신체적 손상(impairment)과 기능제한 그리고 취업여부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뇌성마비유형과 부위 등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변인은 취업여부에 직 간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통증문제와 이동능력은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자기관리능력은 직접적인 경로를 통해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각종 장애관련 연구나 서비스 전달체계의 적격성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장애'로 규정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해야 하며, 그 대안으로 신체적 '기능제한' 정도를 개념화 하는 것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Use of Innovative Technologies in Education

  • Stratan-Artyshkova, Tetiana;Bilyk, Ruslana;Vitsukaieva, Kateryna;Drozich, Iryna;Kalimanova, Olha;Vasiutynska, Yelena;Bida, Ole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93-100
    • /
    • 2022
  • The use of innovative technologies is one of the promising areas of education development, so the article clarifies the content of the terms "innovation" "pedagogical technology". Our goal is to justify the need to use innovative technologies in education. Innovative technologies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the appropriate form of educational activity for their use.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pedagogical technologies at the present stage of education development should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of technological efficiency, which are presented in the article: scientific; systematic; guaranteed; manageable; mas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formation of pedagogical education, the main trends in the information support of teachers in the system of pedagogical education were revealed. I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were determined, promising directions and main ways of improving the information support of teachers' education as an organic component of continuous pedagogical education in Ukraine were justified. The conducted study of the state of information support for teachers allowed us to establish that the main functions of scientific and pedagogical information - analytical and predictive, integrative, operational and purposeful informing of various categories of specialists - teachers-are not being implemented enough. This is due to the versatility and complexity of the pedagogical process, the low level and limited range of development of systems of operational differentiated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services for various categories of teachers. Ways to improve the information function of teacher education are determ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