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viparou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18초

라오스에서 미기록속 Tinocallis Matsumura (노린재목: 진딧물과) 보고 (First Record of the Genus Tinocallis Matsumura (Hemiptera: Aphididae) on Lagerstromia speciosa in Laos)

  • 이예림;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71-175
    • /
    • 2016
  • Tinocallis Matsumura 속은 전세계 19종이 포함되는 비교적 큰 속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라오스에서 바나바 (부채꽃과: 배롱나무속)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알락진딧물 일종, Tinocallis himalayensis Ghosh, Ghosh & Raychaudhuri, 1971를 처음으로 발견하여 보고한다. 유시형 처녀생식세대의 암컷 형태, 생태 및 피해 사진을 함께 제시하였다.

Abscisic Acid Binding to Extracts from Normal and Viviparous-1 Mutant Aleurone Layers of Zea mays L.

  • Bai, Dong-Gyu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51-158
    • /
    • 1994
  • Aleurone layers of normal and vp1 mutant maize kernels were extracted and centrifuged at 100,000g to yield a cytosol fraction. Binding of [3H]ABA cis, trans (+)ABA to a soluble macromolecular components present in the cytosol was demonstrated by Sephadex chromatography and non-denaturing PAGE. The binding component was of high molecular weight and seems to be an aggregate of proteins. A rapid DEAE-cellulose filter method for assaying bound [3H]ABA to a soluble protein was adapted. Binding assays were performed with cytosol that had been preheated or incubated with several enzymes, indicating that heat and protease treatments disrupted the binding. This suggested that binding occurred to proteins. Some properties of the ABA binding proteins were described. The [3H]ABA binding were reduced dramatically when unlabeled ABA was added as a competitor, suggesting a specific binding of [3H]ABA. Gel filtration profiles and autoradiogram of [3H]ABA binding showed no difference in the binding components of Vp1 and vp1/vp1 mutant cytosol, indicating that Vp1 protein is not a sole ABA binding protein.

  • PDF

한국의 미기록 속 Kaochiaoja Tao, 1963 (노린재목: 진딧물과)에 대한 보고 (First Record of the Genus Kaochiaoja Tao, 1963 (Hemiptera: Aphididae) in Korea)

  • 이예림;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5-1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Kaochiaoja arthraxonis (Takahashi, 1921) 종을 기반으로 Kaochiaoja Tao, 1963 속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무시형 처녀생식세대의 암컷 사진 형태 정보를 제시하였다.

한국의 미기록아과 Neophyllaphidinae Takahashi, 1921 (노린재목: 진딧물과)에 대한 보고 (First Record of the Subfamily Neophyllaphidinae Takahashi, 1921 (Hemiptera: Aphididae) in Korea)

  • 이예림;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9-2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확인된 Neophyllaphis podocarpi Takahashi, 1920를 기반으로 Neophyllaphidinae Takahashi, 1921 아과를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무시형과 유시형 처녀생식세대의 암컷 사진 및 유시형 산란모, 수컷 형태 정보를 수록하였다.

한국의 미기록종 Stomaphis matsumotoi Sorin [노린재목: 진딧물과]에 대한 보고 (First Record of Stomaphis matsumotoi Sorin (Hemiptera: Aphididae) in Korea)

  • 이민호;최활란;서홍렬;임종옥;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241-24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래나무를 흡즙하는 Stomaphis matsumotoi Sorin, 1995를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무시충의 생체 사진과 표본을 통한 형태 정보를 수록하였다.

한국의 미기록종 Periphyllus acerihabitans Zhang, 1982 (노린재목: 진딧물과: 털진딧물아과)에 대한 보고 (The First Record of Periphyllus acerihabitans Zhang, 1982 (Hemiptera: Aphididae: Chaitophorinae) from South Korea)

  • 고준혁;이효빈;박덕기;방은숙;홍기정;이원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475-479
    • /
    • 2022
  • 본 연구에서 Periphyllus acerihabitans를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한다. 이 종의 분포지역, 기주식물, 무시성충의 형태학적 정보와 분류키를 제공하였다.

한국의 미기록종 Pleotrichophorus pseudoglandulosus (Palmer, 1952)(노린재목: 진딧물과)에 대한 보고 (The New Record of Pleotrichophorus pseudoglandulosus (Palmer, 1952) (Hemiptera: Aphididae) in South Korea)

  • 이효빈;박덕기;홍기정;이원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295-29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쑥에서 서식하는 Pleotrichophorus pseudoglandulosus (Palmer, 1952) 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무시성충에 대한 형태학적 정보, 기주식물, 분포지역, 한국에 분포하는 Pleotrichophorus 속 종들에 대한 분류키를 제공한다.

태생 경골어류, 망상어(Ditrema temmincki)의 초기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in the Viviparous Teleost, Ditrema temmincki)

  • 이정식;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5-43
    • /
    • 1996
  • 망상어, Ditrema temmincki이 시원생식세포의 출현, 원시생식소와 초기생식소의 형성, 정소와 난소의 분화 및 체내자어의 성비조성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시원생식세포는 부화전 배의 초기소화관과 등쪽 체벽사이의 섬유성 간충직에서 처음 식별되었다. 부화후부터 전장 4.0mm 까지 소화관과 체벽사이의 섬유성 간충직에 고르게 분포하던 시원생식세포들은 간충직이 등쪽 체벽으로 부터 분리되는 전장 5.0 mm 시기를 전후해서 간충직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원시생식소를 형성하게 된다. 초기생식소 형성과정 동안 정소와 난소의 분화는 생식세포와 체세포의 배열 상태에 의하여 구분되며, 전장 10.0mm 부터 생식소는 외부형태에 의하여 정소와 난소로 구분되는데, 정소는 한쌍으로 분리된 형태이고 난소는 후반부가 융합된 형태이다. 정소의 분화는 체내자어의 크기가 전장 25.0mm를 전후해서 정소에 곡정세관의 조직상이 나타나고, 전장 30.0mm를 전후해서 수정관이 형성되며, 전장 45.0 mm를 전후해서 외부형태와 내부 구조적으로 성어와 유사한 정소로 분화된다. 난소의 분화는 체내자어의 크기가 전장 30.0mm를 전후해서 난소습곡과 난소강의 형성이 명확하며, 전장 60.0mm를 전후해서 외부형태와 내부 구조적으로 성어와 유사한 난소로 분화된다. 체내자어의 출산시 전장은 63.0mm 전후이고, 이때 정소와 난소에는 각각 정원세포와 염색인기 단계의 생식세포를 보유하며, 암 : 수 성비는 약 1.65 : 1이었다. 망상어의 성은 자웅이체이며, 성분화 양식은 분화형에 속한다.

  • PDF

벼 조생 고품질 고식미 내수발아성 중간모본 '중모1012호' (A New Early-Maturing Rice Intermediate parent with High-Quality, Good Taste, and Viviparous germination resistance, 'Jungmo 1012')

  • 김우재;정진일;강종래;박현수;남민희;곽도연;김대식;김영두;김정일;송유천;여운상;신문식;이종희;박노봉;조준현;강현중;김보경;하기용;남정권;백만기;김기영;고종철;신운철;모영준;박성태;강항원;고재권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49-553
    • /
    • 2011
  • '중모1012호'는 국립식량과학원 상주출장소에서 2010년도에 육성한 조생 고품질 고식미 내수발아성 중간모본으로 주요 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부중산간지, 북부평야지 및 중산간지, 남부고냉지 및 동북부해안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7월 31일로 '오대벼'보다 2일 늦은 조생종이다. 2. 간장은 78 cm로 '오대벼'보다 크며, 수당립수는 많고 등 숙비율이 높은 중립종에 속한다. 3. 위조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는 '오대벼'보다 안되는 내수발아성이다. 내냉성은 보통이다. 4. '중모1012호'는 도열병에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5. 입형은 현미장폭비가 1.85로 단원형이며 심복백이 약간있으나 맑고 투명하다. '오대벼'에 비해 아밀로스함량은 낮고 단백질함량은 약간 높으며 밥맛은 매우 양호하다. 6. 쌀수량은 보통기 표준재배에서 5.55 MT/ha로 '오대벼'보다 3% 많은 편이다.

태생 경골어류 망상어, Ditrema temmincki의 성성숙 (Sexual Maturation of Viviparous Teleost Surfperch, Ditrema temmincki)

  • 이정식;안철민;진평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0-159
    • /
    • 1995
  • 1992년 5월부터 1993년 8월까지 부산 수영만 인근해역에서 채집된 망상어, Ditrema temmincki를 대상으로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생식주기와 군성숙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종의 군성숙도는 수컷은 체장 13.5cm, 암컷은 체장 12.5cm로 조사되었다. 생식소중량지수는 수컷은 10월, 암컷은 6월에 연중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정소의 내부조직상은 곡정세관형이며, 난소는 5∼6장의 난소습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곡정세관상피와 난소습곡상피에서 각각 정원세포와 난원세포가 유래한다. 생식주기는 수컷은 성장기(5∼8월), 성숙기(9∼10월), 교미기 (11∼12월), 퇴화 및 휴지기 (1∼4월)로 나눌 수 있으며, 암컷은 성장기 (9∼10월), 교미 및 성숙기 (11∼12월), 임신기 (1∼6월), 휴지기 (7∼8월)로 나눌 수 있다. 간중량지수는 암수 모두 4월에 최고치를 보여, 수컷에서는 생식소중량지수의 월변화와 역상관 관계를 보이고, 암컷에서는 정상관 관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