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viparou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2초

Characterization of Carotenoid Biosynthetic Pathway Using Viviparous Mutant Embryos in Maize ( Zea mays L. )

  • Lee, Byung-Moo
    • Plant Resources
    • /
    • 제1권1호
    • /
    • pp.33-37
    • /
    • 1998
  • Carotenoid compounds in embryos of wild-type(WT) and viviparous mutants of maize(Zea mays L.) were analyz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ehromatography (HPLC) with a photodiode array detector. Zeaxanthin accumulates in WT embryos as the major carotenoid. Phytoene accumulates in vp2 and vp5. Phytofluene in w3 and ${\xi}$-carotene in the vp9 mutant embryos. This indicates that the vp2 and vp5 mutants impair phytoene desaturase from 15-cis-phytoene to 15-cis-phytofluene. The w3 mutant has neither an isomerase from 15-cis-phytofluene to all-trans-phytofuene nor phytofluene desaturase from phytofluene to ${\xi}$-carotene. The vp9 mutant does not have the ${\xi}$-carotene desaturase from ${\xi}$-carotene to lycopene. Our analysis shows that the terminal carotenoid. ${\gamma}$-carotene(${\beta},{\Psi}$-carotene), accumulates in the vp7 mutant embryos. The ${\varepsilon}$-carotene(${\varepsilon},{\varepsilon}$-carotene), a product of ${\delta}$-carotene(${\varepsilon},{\Psi}$-carotene) in some plants, however, has not been found in maize embryos. The vp7 mutant impairs a cyclization step from ${\gamma}$-carotene to both ${\beta}$-carotene and ${\alpha}$-carotene. We suggest that monocyclic ${\gamma}$-carotene is the sole precursor of both bicyclic ${\beta}$-carotene(${\beta},{\beta}$-carotene) and ${\alpha}$-carotene(${\beta},{\varepsilon}$-carotene) in maize.

  • PDF

벼 등숙기의 생장조절제처리가 종실 및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on Seed and Viviparous Germination in Rice)

  • 사종구;김기식;한세기;허범량;김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62-269
    • /
    • 1988
  • 벼의 등숙기간중에 발생하는 수발아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품종간 수발아성 비교, 출수후 종자발달에 따른 발아율 비교, 등숙기의 생장조절제 처리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 및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보비 재배한 포장에서의 수발아성은 일반형중 조생종들이 높았고 중만생종과 통일형 품종들은 수발아가 되지 않았다. 2. 일반형 품종인 대성벼는 출수후 30일, 통일형인 태백벼는 35일이 경과되면 발아력이 높아져 종자로서의 발아조건은 충분히 갖추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3. 공시한 두 품종 및 3처리시기에서 모두 수발아 억제에는 NAA 및 CMH는 100ppm 그리고 Reglone은 0.4∼0.6%의 농도에서 효과가 가장컸다. 4. 생장조절제가 처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공시된 두 품종 모두 NAA와 CMH는 무처리와 차이없이 양호 하였으나 Reglone 이 처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낮았다. 5. 생장조절제가 처리된 두 품종의 등숙율은 NAA와 CMH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Reglone처리 구는 낮았고 종자 색갈은 NAA만이 무처리와 비슷하였으며 CMH와 Reglone 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다갈색을 띄는 미립이 많았다. 도정특성을 보면 NAA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고 CMH 및 Reglone을 출수후 20∼30일에 처리한 구는 완전현미비율이 낮았다.

  • PDF

백두산에서 채집한 극동아시아 미기록종 Glyphina betulae(매미목, 진딧물과, 납작진딧물아과)의 보고 (Glyphina betulae(Hemiptera, Aphididase, Thelaxine)New to the Far Eastern Asia from Mt. Baekdusan, North Korea)

  • Lee, Seunghwan;Jaroslav Holman;Jan Havelka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2호
    • /
    • pp.179-184
    • /
    • 2001
  • 북한 백두산 지역에서 채집한 진딧물표본 중 현재까지 극동아시아지역에서 기록되지 않은 Glyphina betulae (Linnaeus, 1758)(털납작진딧물, 신칭)를 확인하였다. 무시성충과 유시성충의 형태 특징과 계량형질, 무시성충에 대한 외부형태의 도해 및 생활사, 기주, 분포 등을 기술하였다.

  • PDF

한국 미기록 진딧물 Sinomegoura citricola (van der Goot, 1917)(Sternorhyncha: Aphididae)의 보고 (A New Record of Sinomegoura citricola (van der Goot, 1917)(Sternorhyncha: Aphididae) from Korea)

  • Lee, Seunghwan;Kim, Dong-Hwan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14
    • /
    • 2002
  • 제주도의 감귤, 육계나무, 홍가시나무에서 현재까지 국내에 알려지지 않았던 진딧물 Sinomegoura citircola(van der Goot, 1917)가 확인되었다. 무시형 산자충 및 유시형 산자충의 외부형태에 대해 도면과 함께 기술하고, 분포지역 및 기주식물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유시형과 무시형의 중간형을 띄는 개체에 대해 처음으로 보고한다. Sinomgeoura 속은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속이다.

태생 경골어류, 망상어(Ditrema temmincki)의 임신기 동안 체내자어의 체액삼투압 및 모체 난소조직상의 변화 (Changes of the Osmolarity in Embryonic Body Fluid and the Maternal Ovarian Tissue of the Viviparous Teleost, Ditrema temmincki, during the Gestation Period)

  • 이정식;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7-164
    • /
    • 1996
  • 태생 경골어류 망상어, Ditrema temmincki의 임신기 동안 체내자어는 건중량과 체액삼투압의 증가를 나타냈으며, 모체는 난소강액의 증가와 함께 난소 내부조직상의 현저한 변화를 나타냈다. 체내자어는 난황흡수 완료시기인 전장 6.0 mm부터 전장 60.0 mm 사이에 373.76mg의 건중량 증가를 나타냈으며, 체액삼투압은 출산직전인 전장 64.0mm에는 796.8mOsmo1/kg으로 나타났다. 모체의 난소외막은 수정 이후 뚜렷히 비후되기 시작하여 임신중기인 3월에 가장 비후되고, 난소습곡은 임신후기인 4월말에 가장 팽창되며, 혈관의 팽창 및 혈구의 증가는 출산직전에 최고에 달한다. 이와같은 변화양상은 임신기 동안 체내자어와 모체의 영양${\cdot}$환경적 적응현상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 PDF

OsDOR1, a novel glycine rich protein that regulates rice seed dormancy

  • Kim, Suyeon;Huh, Sun Mi;Han, Hay Ju;Cho, Mi Hyun;Lee, Gang Sub;Kim, Beom Gi;Kwon, Taek Yun;Yoon, In S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90-90
    • /
    • 2017
  • Regulation of seed dormancy is important in many grains to prevent pre-harvest sprouting.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gene related to seed dormancy regulation, we have screened for viviparous phenotypes of rice mutant lines generated by insertion of Ds transposon in a Korean Japonica cultivar (Dongjin) background. One of the mutants, which represented viviparous phenotype, was selected for further seed dormancy regulation studies and designated dor1. The dor1 mutant has single Ds insertion in the second exon of OsDor1 gene encoding glycine-rich protein. The seeds of dor1 mutant showed a higher germination potential and reduced abscisic acid (ABA) sensitivity compared to wild type Dongjin. Over-expression of Dor1 complements the viviparous phenotype of dor1 mutant, indicating that Dor1 function in seed dormancy regulation. Subcellular localization assay of Dor1-GFP fusion protein revealed that the OsDor1 protein mainly localized to membrane and the localization of OsDOR1 was influenced by presence of a giberelin (GA) receptor OsGID1. Further bimolecular fluorescence complementation (BiFC) analysis indicated that OsDOR1 interact with OsGID1. The combined results suggested that OsDOR1 regulates seed dormancy by interacting with OsGID1 in GA response. Additionally, expression of OsDOR1 partially complemented the cold sensitivity of Escherichia coli BX04 mutant lacking four cold shock proteins, indicating that OsDOR1 possessed RNA chaperone activity.

  • PDF

벼 수발아의 품종간 차이와 왕겨 추출물질의 발아억제효과 (Varietal Difference of Viviparity and Germination - Inhibition of Rice Hull Extracts)

  • 김봉구;이동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34-440
    • /
    • 1996
  • 수발아가 벼의 품질 및 정현 비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 수발아성의 품종간 차이 및 왕겨로부터 발아 억제물질을 추출하여 수발아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미중은 무처리에 비하여 수발아 처리일수가 길어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으로 6일 처리시 약 20% 감소되었다. 2. 수발아 처리일수에 따른 완전립 비율은 무처리가 99.5%인데 반해 6일 처리시 41.3%로 현저히 저하되었다. 3. 인디카품종은 대부분 난수발아성이었으나 자포니카(9.2∼79.7%) 및 통일형 품종(2.1∼63.7%)은 품종간 차이가 현저히 나타났다. 4. 난수발아성인 IR36, 신운봉벼 및 중원벼의 왕겨를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물질이 발아억제에 효과가 있었다.

  • PDF

벼 재배시 유기농업 활용자재의 특성 및 효과 (Properities and Effects of Utilizable Materials for Organic Farming in Rice)

  • 문영훈;오동훈;최정식;나종성;한성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9-323
    • /
    • 1998
  • 유기자연농업 활용자재의 특성 및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화학비료를 계분발효퇴비로 대체하고 농약대신 아미노산액, 미네랄, 현미식초 및 왕우렁이를 사용하여 수도에 대한 유기농자재 효과 검정을 수행하였는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앙후 35일 조사시 벼의 생육은 유기농법>절충농법>관행>대조구 순으로 좋은 경향을 보였으나 이앙후 65일 조사시에는 유기농법구에서 경수 및 초장이 다른 농법에 비해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수량은 관행에 비해 유기농법은 7%, 절충농법은 4% 감소를 보였다. 왕우렁이에 의해 잡초방제 효과는 왕우렁이 5kg/10a 방사와 10kg/10a 방사간에 차이없이 이앙 직후 방사시는 96%, 이앙후 7일째 방사시는 98%, 이앙후 15일째방사시는 70% 정도의 방제율을 나타냈다. 수량은 일반관행 제초에 비해 10a당 5kg의 왕우렁이를 이앙후 7일 후에 방사시 2%감소, 이앙후 15일에 방사시는 5%의 감소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일반관행에 비해 약간의 수량 감소는 있으나 환경친화형 농업을 위한 대안이라면 유기농법이나 절충농법의 가능성이 있고, 잡초방제를 위한 왕우렁이의 이용 가능성이 있다.

  • PDF

벼 수발아시 종실내 효소활성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 in Enzyme Activities during Preharvest Germination of Rice)

  • 고종철;김보경;이규성;최원영;최혜란;조은애;윤성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378-383
    • /
    • 2005
  • 수발아는 벼 재배에서 주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수발아시 배유 저장 양분의 이용능력과 항산화 효소의 수발아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배유 저장양분 이용능력과 항산화 효소를 포함하는 효소의 활성은 수발아 중인 종자와 완전 성숙 건조한 종자에서 측정하였다. 효소 활성을 조${\cdot}$중만생 품종으로부터 수발아성이 서로 다른 각각 4개의 품종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만생종에서 출수후 40일된 종실의 수발아율은 남평벼, 퐁안벼, 호안벼, 동진벼 순으로 높았으며 동진벼의 수발아율은 약 $62\%$였다. 조생종에서 수발아율은 운봉벼, 오대벼, 대관벼, 대성벼 순으로 높았으며 대성벼의 수발아율은 약 $59\%$였다. 2. $\alpha$-amylase 활성은 수발아율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출 수 후 40일된 종파의 $\alpha$-amylase 활성은 중만생종에서는 동진벼자 가장 높았고 조생종에서는 대성벼가 가장 높았다. 또한, 완전 성숙한 건조 종자의 $\alpha$-amylase 활성은 수발아성이 높은 품종에서 더 높았다. $\beta$-amylase활성은 $\alpha$-amylase활성에 비하여 매우 낮았으며, 조${\cdot}$중만생 품종 모두에서 $\beta$-amylase 활성과 수발아성 사이에는 일정한 관련성이 없었다. 3. 수발아 종자와 완전 성숙한 건조 종자의 glucose 함량은 수발아성이 높은 품종에서 더 높았다. 4. peroxidase 활성은 조${\cdot}$중만생종 모두에서 수발아율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으나 Catalase 활성은 수발아성과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