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al Sign Monitoring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4초

신경계중환자에게 적용한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 연구 (Evaluation of Critical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CPSCS) for neurocritical patients in intensive unit)

  • 김희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38-5246
    • /
    • 2012
  • 본 연구는 신경계 중환자에 적용한 간호행위에 따른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를 신경계 중환자에게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중환자 중중도 분류도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신경계 중환자의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2008년 1월부터 2009년 5월, 2011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서울시 소재 C 대학 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만 18세 이상의 신경계환자 203명의 의무기록지를 분석하였다. 신경계 중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상관련 특성에 따른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 차이는 사망, 생존(p=<.001), 혈색소(p=<.001), 중탄산(p=<.001), 백혈구(p=<.001), 기관 내 삽관 유무(p=<.001), 중심 정맥관 삽입 유무(p=<.001), 중증도(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203명 중 64명이 사망하여 사망률은 31.5%였다. 중환자 중중도 분류도구로 측정된 신경계 중환자의 평균 점수는 $112.09{\pm}18.91$로 나타났고 중중도가 높아질수록 중환자 중중도 분류도구 점수도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각 영역별로는 활력징후 측정 $3.74{\pm}2.15$, 감시 측정 $28.97{\pm}4.31$, 일상 활동 $34.99{\pm}3.66$, 영양 $.19{\pm}.98$, 정맥 주입 및 약물요법 $18.20{\pm}8.27$, 치료 및 시술 $16.93{\pm}4.90$, 호흡치료 $8.61{\pm}7.07$로 확인되었다. 감시 측정, 일상 활동, 정맥 주입 및 약물요법, 치료 및 시술, 호흡치료영역이 포함된 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678.789, p<.001) 이들이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98.1%를 나타내어 신경계 중환자의 중중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영역이라 사료된다.

입원환자에 대한 Ceftazidime의 약물사용 검토 (Drug Use Evaluation on Ceftazidime)

  • 김상현;최현숙;김향숙;신완균;손인자;조남춘;최강원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4-54
    • /
    • 1994
  • 약물사용검토는 약물을 적합하고,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안된 권위 있는 질 보장 제도로 정의된다. Ceftazidime에 대한 약물사용검토는 이를 시행함으로써 ceftazidime사용의 합리성을 찾고자 하였으며, ceftazidime의 약물사용검토는 미국병원 약사회에 의해 설정된 ceftazidime에 대한 약물사용검토 criteria를 근간으로 변화시켜 사용하였고, 1993년 1월1일부터 1993년 7월31일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 입원하여 ceftazidime으로 약물치료를 받은 환자 60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의 정당성에 관한 항목에서는 73%, 사용시 지켜 주거나 시행되어야 할 사항에 관한 항목중 배양과 감수성 시험, 간 기능 검사, 첫 약물투여전 과민반응 약물검사등은 80%이상의 적합율을 받았다. 치료효과 판정 및 사용결과에 대한 검토항목에서는 약물사용 중지후 감염의 완전한 퇴치여부를 확인하는 항목에서는 46%의 적합율을 보이고 있다. 결과적으로 Pseudomonas aeruginosa에 ceftazidime사용은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다른 약물을 먼저 사용한 후 ceftazidime은 좀 더 신중하게 선택하고, 또한 심각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 더욱 적극적인 검사 및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 PDF

재원환자의 질환군에 따른 가정간호 요구도 (Needs of Home Care Nursing Services for Hospital Patients)

  • 한성숙;김순례;이소영;권은하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5-176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home care nursing services in relation to the patients in hospital. Method: Subjects were 129 patients who admitted hospital and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Home Health Care Need Assessment Questionnaire constructed by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8.12 program by applying percentage. Results: 1. According to the diagnosis of the subjects, the majority had cancer (25.0%), followed by musculoskeletal disease (15,6%), neuro/cerebral vascular disease (14.1%), digestive (10.9%) and respiratory disease (10.9%). 2. With regard to fundamental nursing service, subjects wanted to receive home care services for the following reasons: Problem identification and diagnosis (77.5%), vital sign check (49.6%); and intake and output measure (20.9%). 3. With regard to clinical laboratory tests, 62.8% wanted to receive blood tests, and followed by urine tests 26.4%, and wound drainage 26.4%. 4. With regard to medication and treatment service, 40.3% of the subjects wanted to receive intravenous fluid therapy, 26.4% intravenous antibiotics, and 26.4% the monitoring of fluid therapy. 5. With regard to therapeutic nursing service, 33.3% wanted to receive wound care, 26.4% ROM exercise, and 27.9% foley catheter change and care. 6. With regard to educational needs, 42.6% wanted education on infection monitoring, 41.4% on medication, and 34.9% on diet. 7. With regard to counseling needs, 65.9% wanted to receive telephone counseling about patient condition, 52.7% counseling about re-admission and 51.9% direct counseling about patient condition. In the group of injury and toxicity, and cardiovascular/circulatory diseases, 100% wanted telephone and direct counseling about the patient condition.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hospital based home health care services,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o the need of home health care should be analyzed and specified nursing care should be looked into.

  • PDF

병원중심 가정간호중재 분석: NIC 체계 적용 (Analysis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Home Health Care Nurses in a Hospital : An Application of NIC)

  • 용진선;유인자;유지연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06-618
    • /
    • 2000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ents registered in the department of home health care nursing in a hospital and to analyze nursing intervention activities recorded in charts by application of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 system. For the descriptive survey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reviewing charts of 572 home health care clients between May, 1997 and July, 2000 at K hospital in Seoul. The average age of the clients was 66 years and the number of clients in their 70s ranked first with 28.2 percent(158 people). The mean length of home care service was 47 days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less than four weeks (56 %). With regard to medical diagnosis, cancer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48%, 271 people), followed by cerebrovascular disease (19%), and pulmonary disease (6.9%). According to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by the NIC system, the most frequently used nursing interventions in level 1 were interventions in the Physiological: Complex domain which were used 3,663 times (33%) among 11,107 total interventions. The Safety domain was the second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followed by the Physiological: Basic, and the Behavioral domains. In level 2, the Risk Management clas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s with 3,108 interventions (27.9%), followed by Drug Management, and Tissue Perfusion Management classes. In level 3 interventions, Vital Sign Monitoring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569 times (5.1%), followed by Health Screening, and Neurological Monitoring interventions. In sum, half of the clients in the study had cancer and were in their 70s.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ending home care was death (40%), followed by readmission (28%). These findings represent clients with severe conditions referred to the home care nursing department as it was a University teaching hospital. Further research on analyzing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in each institution needs to be conducted to develop a standardized lis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use in home health care settings.

  • PDF

CATCH22 syndrome 환아의 전신마취 하 치아우식 치료: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OF A PATIENT WITH CATCH22 SYNDROME UNDER GENERAL ANESTHESIA: A CASE REPORT)

  • 김민진;송지수;신터전;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현홍근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6-40
    • /
    • 2018
  • CATCH 22 증후군(CATCH 22 Syndrome)은 선천성 심장기형, 비정상적인 안모, 흉선 형성부전, 구개열, 저칼슘혈증을 특징으로 하나 임상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증례는 치과 검진에 비협조적이고 다수의 치아 우식을 보이는 4세 5개월의 CATCH 22 증후군 환자를 전신마취 하에 효과적으로 치료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CATCH 22 증후군 환아는 선천적 심장기형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의과적 자문 하에 치과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간단한 치료의 경우 의과적 자문 하에 진정법 시행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불안정한 생징후를 보일 수 있어 보다 면밀한 모니터링을 요한다. CATCH22 환아의 전신상태에 대한 충분한 이해 및 술전 평가를 바탕으로 한 주의깊게 시행된 전신마취 술식은 다발성 치아우식의 치료에 있어서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