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preference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평가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Advance Directives (K-AD))

  • 김기숙;김신미;홍선우;김진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2호
    • /
    • pp.109-118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일련의 연구들을 통해 제안된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K-AD)에 대해 일반인 등에 대한 수용성과 문서 자체의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3개 지역으로부터 편의 추출한 20세 이상 성인 181명이었다. 이들 모두에게 K-AD를 작성하게 한 후 시각상사척도 상으로 복잡성, 난이도, 필요성, 만족도, 추천도의 5개 측면을 평가하도록 하였고, 이중 117명의 중년과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는 2주 후 다시 K-AD를 작성토록 하여 검사-재검사를 통한 문서자체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K-AD에 대한 전반적 및 5개 측면에서의 수용도는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으로 '중상' 정도의 수용성을 보였다. 검사-재검사 결과 kappa값은 0.592~0.950로 일치도는 moderate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덧붙여 K-AD 작성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임종기 의료와 관련한 가치관으로는 고통 없이 편안하게 임종을 맞는 것이 가장 많이 보고되었고 가치관, 의료 지시, 대리인 지정 모두에서 젊은 성인, 중년, 노인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K-AD는 가용한 문서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더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K-AD를 검증할 필요성이 있고 본 문서의 정착과 확산을 위한 연구와 노력이 요구된다.

암환자들의 식행동과 건강식품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Dietary Behaviors and Consumption of Health Food among the Cancer Patients)

  • 김용신;김상연;정경아;권순형;장유경;박미현;황성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5
    • /
    • pp.516-523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dietary behaviors and consumption of health food in cancer patients. The subjects were 163 cancer patients recruited from the general hospital in Seoul, Korea. The data were obtained by the structured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51 years. Most of subjects didn't eat the visual fat of meat and chicken skin. The mealtime of the subjects was generally regular and most of subjects had breakfast. The subjects of this survey liked to eat foods with sweet taste but disliked to eat hot, salty and sour taste ones. The preference for fish, marine products and vegetables was high but that for instant foods and frying foods was very low. Most of subjects consumed the foods that is generally known as anticancer foods such as vegetables and fruits. On the other hand, most of subjects didn't intake butter, margarine, and frying foods that is known as risk factors of cancer. The majority of subjects$(84.7\%)$ consumed the health food The main reasons for taking health foods by subjects were to cure disease$(58.0\%)$, to prevent disease$(45.3\%)$, to supply nutrients$(39.3\%)$, to maintain the mental state$(12.7\%)$ and to recover fatigue$(10.7\%)$. Majority of subjects$(66.0\%)$ spent money more than 200,000 won/month to buy health foods. The purchasing channels of health foods by subjects were recommendation by family or friend$(64.0\%)$, by physician/pharmacist$(18.0\%)$ and by nutritionist or dietician(6.0), and advertisement through TV or radio$(12.0\%)$. The types of taking health foods of the subjects were vegetable extracted food$(60.0\%)$, mushrooms$(51.3\%)$, Lactobacillus food$(25.3\%)$, enzyme food$(22.6\%)$ calcium containing food$(20.0\%)$ and so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 that although many cancer patients already practice healthy dietary behaviors, there is a substantial proportion who do not and most of cancer patients consume health foods.' Further intervention is needed to explore the effect of health foods in cancer patients

  • PDF

한국 산업도자에 있어서 모듈변화의 실측 연구 : 최근 50년간 식기를 중심으로 (A Measurement Study of the Modular Shifts in Korean Industrial Ceramic - On the Tablewares during Last 50 Years)

  • 손연석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2권
    • /
    • pp.42-89
    • /
    • 2000
  • Industrial ceramic of Korean industrial design, especially tableware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ir forms between 1940s-1960s, and 1970s-1990s. The shift of such changes can be verified objectively by module measurement. The validity of the results applying this method is supported by the investigation of the change of aesthetic modes in Korean society. The most obvious change in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ableware is in the outline of their external shapes. 'Module' is used to describe and analyze the changes of such an external shape more strictly as the objective method and measuring the module is employed. This method was developed by the combination of the method analyzing figurative art works by Re Corbuise who uses 'module' with Hambidge's method to describe and analyze the works by means of the golden section. The shift of flgurative changes of tableware could be examined objectively and elaborately by such a newly developed method. The industrialization of tableware production in Korea was begun in 1940s. Then its design was not activated, but as the society has been stabilized through the liberation and civil war, design was settled in 1960s. After that, the design has played the essential roles in 1970s. And as the importance of design in producing goods has been recognized according to the economic growth. The design of tableware shows a remarkable difference based on 1960s and 1970s in such an economic growth. It is resulted from the scientific data analysis of the design since 1940 without any prefer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which analyze the external shapes of tableware for last 50 years, the tableware designs show much differences between 1940s-1960s, and 1970s-1990s. The figurative changes of Korean tableware show the similar trends to the transitional aspects of the society. Design is the manifestation of aesthetic modes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a close relationship to society and especially economy. In Korea the development of design was initiated by the economic growth and the Korean aesthetic modes were also changed with the economic growth. The transitional shift of aesthetic modes shown in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ableware which are divided on the basis of 1960s and 1970s was peak in 1970s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design started in 1960s.

  • PDF

색 재현 개선을 위한 CIELAB 색 공간 기반의 향상된 Multi -scale Retinex (Enhanced Integrated Multi-scale Retinex based on CIELAB Color Space for Improving Color Reproduction)

  • 경왕준;이태형;이철희;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1호
    • /
    • pp.1-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영상의 지역적 계조 재현과 함께 입력 영상의 색상을 유지하는 영상 향상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지역적 계조 재현 방법인 통합된 다중 크기의 Retinex는 영상이 가지는 어두운 영역의 가시성 향상을 통한 향상된 계조 재현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IMSR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적 계조 재현 방법은 RGB 색 공간에서 수행되어 인간시각시스템에 의해 인지되는 색상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색상의 왜곡을 줄이는 계조 재현을 위하여 장치 독립적인 CIELAB 색 공간에서 색상를 유지하고 높은 대비와 자연스러운 영상을 얻기 위한 계조 재현 및 채도 보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먼저 CIELAB 색 공간에서 $L^*$값에 대해 IMSR 정규화 및 단순한 사상 함수를 수행하여 가시성을 향상 시킨다. 또한, sRGB 색역 경계값을 이용하여 LC 평면에서 밝기 변화에 대한 선형적인 채도 보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입력 영상의 계조 재현을 통해 가시성이 향상되었고, 기존의 IMSR과 비교하여 색상의 왜곡이 줄었으며, 주관적인 평가를 수행하여 비교 평가 하였다.

「양화소록(養花小錄)」과 『장물지(長物志)』 화목류에 나타난 문인원림 취미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Yanghwasorok」 and 『Zhangwuzhi』 - Focused on the Taste of Plants in Scholar's Garden, Korea and China -)

  • 박희성;윈쟈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79-93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 원림서(園林書) 가운데 하나인 "양화소록(養花小錄)"과 "장물지(長物志)"를 비교하여 한중 원림에 나타난 문인의 취향을 이해하고자 했다. 주요 비교 대상은 화목류이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희안은 화목을 기르고 감상하는 궁극적인 목적을 자신의 완성에 두었지만, 문진형(文震亨)은 은일의 삶을 실천하는 수단으로 화목을 이용하였다. 둘째, 강희안이 화목을 기르는 것은 성리학적 '격물치지(格物致知)'를 바탕으로 한 인간의 덕성 함양이지만, 문진형은 화목의 형태나 배식방법을 통해 '아(아취(雅趣))'를 구현하였다. 셋째, 양국 문인의 화목 선호도는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지만, 화목을 화분에 두고 감상하는데 있어서는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인다. 일례로 화분을 선택하거나 배치하는데 있어서만 하더라도 강희안에게는 소박함과 담백함이, 문진형에게는 화려함과 세련됨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문인 정신의 표본이 되었던 송대(宋代) 문인의 완상(玩賞) 취미에 비춰볼 때, 강희안은 내면의 정신세계를 계승한 반면, 문진형은 '문인다움'을 시각적 이미지로 표출시켰다.

족부 족관절 환자에서 Knee Walker의 유용성: 액와 목발(Axillary Crutch)과의 비교 연구 (Efficacy of a Knee Walker for Foot and Ankle Patients: Comparative Study with an Axillary Crutch)

  • 송재황;강찬;김상범;허윤무;원유건;정상진;정형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0-104
    • /
    • 2018
  • Purpose: An axillary crutch is the most commonly used assistive device in foot and ankle patients who require nonweightbearing. On the other hand, its use frequently induces axillary or wrist pain and critical neurovascular injuries have been reported in several studies.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using the knee walker and axillary crutch.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comparing the utility of a knee walker and axillary crutch as a nonweightbearing ambulatory aid for 62 foot and ankle patients treated between November 2016 and March 2018. A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orthosis could be performed because all the patients temporarily used an axillary crutch before or after the use of a knee walker. A demographic study and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satisfaction score (0~100), complications, and fall down history were evaluated. Furthermore, under the assumption of having retreatment, their preference of orthosis between the knee walker and axillary crutch was investigat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6.5 and the mean duration of ambulation with a knee walker and axillary crutch were 5.2 and 2.4 weeks. The VAS satisfaction score of the knee walker and crutch was 88.8 and 27.5, respectively (p<0.05). The most frequent complications of the knee walker and crutch were ipsilateral knee pain (6 cases) and axillary or wrist pain (56 cases), respectively. No case of falling down occurred during knee walker ambulation, but there were two cases of crutch ambulation. Fifty-eight patients (93.5%) preferred the knee walker and four patients (6.5%) preferred a crutch. Conclusion: Compared to the axillary crutch, the knee walker afforded lower complication and higher satisfaction. Most patients preferred the knee walker to a crutch. Therefore, the knee walker is an efficient and safe orthosis for foot and ankle patients who require nonweightbearing.

화예디자인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Preceding Research for Developing Floral Design Education Contents)

  • 홍윤주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2호
    • /
    • pp.97-116
    • /
    • 2020
  • 본 논문에서 현대사회는 인구감소와 평균수명의 증가로 평생교육과 원격교육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질 좋은 교육적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일상과 학습이 함께 결합되는 교육의 대중화와 일상화가 교육적 특징이다. 개개인은 더욱 쉽게 지식에 다가갈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동영상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영상 콘텐츠는 교육의 대중화와 일상화를 이끌어내는 가장 기본 매체이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미디어 콘텐츠 제작, 편집기술의 대중화로 누구나 쉽게 만들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영상교육콘텐츠 사업은 SNS를 통해 세계적으로 증대할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화예디자인 관련 영상콘텐츠 교육산업은 환경이 필수인 시대에 적합한 콘텐츠 분야로 여겨진다. '1인가구, 1인 미디어' 시대가 특징인 현시대에 식물로 구성된 환경은 인간의 정서적인 능률과 환경의 쾌적성, 안정감을 회복시켜서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해 준다. 즉 본능적으로 인간은 자연에 대한 선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물은 인간성 회복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 화예디자인은 고성장, 고부가가치 및 고용 창출 효과가 높은 유망산업분야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류 4차 혁명시대에 경쟁력 있는 영상콘텐츠는 미래국가의 성장을 좌우 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화예디자인 분야 교육콘텐츠 산업에 수요자 눈높이에 맞는 의견과 감성적인 사고가 반영된다면 더욱 발전된 화예디자인 분야의 발전을 기대해 볼 것이다.

사용자 간 신뢰관계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의 예측 정확도 개선 (Enhancing Predictive Accuracy of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s using the Network Analysis of Trust Relationship among Users)

  • 최슬비;곽기영;안현철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3호
    • /
    • pp.113-127
    • /
    • 2016
  •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은 유용성과 정교성 면에서 가장 성공적인 추천 알고리즘으로 평가받으며 산업계나 학계에서 많이 활용 및 연구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용자들이 평가한 점수에만 기반하여 추천결과를 생성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 자신이 신뢰하는 타인의 추천을 더 적극적으로 수용할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사용자의 평점 외에 사용자 간 신뢰관계를 소셜네트워크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를 추가로 반영하는 추천 알고리즘들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셜네트워크분석에서 네트워크 내의 중심적 위치를 나타내는 척도인 내향 및 외향 중심성을 활용하여 사용자 간 유사도를 산출하는 알고리즘들과 사용자 신뢰 네트워크를 탐색하여 추천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직접 간접적으로 신뢰하는 사용자의 평가점수를 보다 높게 반영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 뒤 그 성능을 비교해 보았다. 실제 데이터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용자 신뢰 네트워크의 내향 중심성 지수를 조건 없이 적용한 경우에는 오히려 정확도의 감소만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정 임계치 이상의 외향 중심성을 갖는 사용자에 한해 내향 중심성 지수를 고려한 추천 알고리즘은 전통적인 협업 필터링에 비해 약간의 정확도 개선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사용자 신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전통적인 협업 필터링과 비교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정확도의 개선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교 안전교육 내용분석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Analysis of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the Needs of Students)

  • 김탁희;이명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5-63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ive basic materials for selection and improvement of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which is substantially helpful to elementary students, by analysis of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in some subjects and assessment of the needs of elementary students for safety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analyzed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in five subjects for elementary school and conducted the survey of 883 students in som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rom April 7 to 22, 20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proportion of contents regarding safety-related education in some subjects, Physical Education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14.09%), and that was followed by Practical Subject (9.55%) and Moral Education (9.34%). However, the proportions in Social Study and Natural Science were very low, 1.85% and 1.31% each. In total lines of these five subjects, the numbers of line regarding safety education was contained by 5.78%. 2. Analyzing the proportion of domains of safety education in five textbooks, the Meaning of Safety and Basic Principles occupied the highest portion (29.5%), and that was followed by the Home Safety (24.0%), the Safety in School (17.1%), and the Play and Leisure Safety (14.0%). The Coping with Accidents and First Aid, the Safety from Fire and Explosion, and the Traffic Safety occupied relatively low portion, 6.9%, 5.7%, and 2.8% each. 3.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proportion of the safety education domain in each subject, the Meaning of Safety and Basic Principles occupied the highest portion (23.6%) in Moral Education, the Home Safety (12.7%) in Practical Subject, and the Play and Leisure Safety (10.9%) in Physical Education. 4.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urvey experienced the Home Accidents (71.1%). And also, they experienced the Play and Leisure Accidents (57.9%), the Accidents in School (49.7%), the Traffic Accidents (45.3%), and the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24.7%) in order. 5. In the average proportion of the needs of participants for safety education in each domain, the Coping with Accidents and First Aid has the highest point (4.05). And, that was followed by the Home safety (3.79), the Safety from Fire and Explosion (3.73), the Meaning of Safety and Basic Principles (3.65), the Play and Leisure Safety (3.50), the Safety in School (3.37), and the Traffic Safety (3.35). The average proportion of the needs for safety education of total domains was 3.66. 6. In the needs for safety education regarding the feature of participants, it showed higher scores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ones (p〈0.001), in lower grader than higher grader (p〈0.05), and in the students born to wealth than those born poor (p〈0.05). Also, the children who recognize the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showed higher scores of the needs for safety education (p〈0.001). And it also showed the same results of high score to the children whose parents did the safety education (p〈0.00l) and to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 have the higher degree of practicing safety (p〈0.001), and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7. In the extent of preference for methods of safety education, it showed high score to the Field Learning, followed by the Audio- Visual Education, the Discussion, and the Instruction of teacher. In the extent of preference for subjects regarding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by each domain, it showed high score to the subject of Safety for 4 domains - the Meaning of Safety and Basic Principles, the Traffic Safety, the Safety from Fire and Explosion, and the Coping with Accidents and First Aid. And also, they preferred Moral Education for 2 domains - the Home safety and the Safety in School, and Physical Education for a domain of the Play and Leisure Safety. 8. While 27 of 36 detail items was contained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the proportion of needs of participants for safety education showed more than average 3.00 score in 34 of 36 detail items. However, none of 9 detail items was included in five textbooks. Also, 2 detail items - the Coping with Disasters and the Safety from Poisoning - were included together 2 parts; One part had the higher ranked 7 items acquired by analysis of the needs, and the other had the higher ranked 7 items acquired by analysis of the contents. But, except those 2 items, none of items were matched with each part.

  • PDF

블로그 데이터 감성분석을 통한 북한산둘레길 구간별 선호도 평가 (Evaluation of Preference by Bukhansan Dulegil Course Using Sentiment Analysis of Blog Data)

  • 이성희;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는 탐방객이 자유롭게 서술한 블로그 텍스트 데이터를 자연어 처리 기술 중 하나인 감성분석을 활용하여 북한산둘레길의 선호도를 평가하고, 선호 요인과 비선호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2019년 1년 동안 작성된 블로그를 수집하고 21개 둘레길 구간별 텍스트에 나타난 긍정 및 부정 감성 단어 도출을 통해 감성점수를 산출하였다. 이후 내용분석을 통해 탐방객이 어떤 요소로 인해 구간을 선호하거나 선호하지 않는지 파악하였다. 북한산둘레길에 대해 작성된 블로그에서는 긍정적인 단어가 평균적으로 약 73% 출현하고 있었고, 각 구간별 게시물의 감성 극성 비율에서도 긍정적인 문서의 비율이 부정적인 문서의 비율보다 높았다. 이를 통해 탐방객은 북한산둘레길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감성점수를 도출한 결과, 21개 둘레길 구간에서는 선호하는 구간과 선호하지 않는 구간이 존재하고 있었다. 선호 구간과 비선호 구간에 대해 탐방객은 난이도가 낮고 부담 없이 걸을 수 있는 구간을 선호하고 있었고, 경관에 대한 여러 요소(시각, 청각, 후각 등)가 조화롭고 계절감이 뚜렷해 다양한 경관이 연출되는 곳, 경관 시퀀스의 변화가 존재하는 구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탐방객은 전망대, 조망점 등의 뷰포인트 유무를 둘레길에서의 주요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고, 접근성이 우수하고 안내판 등 정보 제공이 원활하게 이뤄지는 구간에 대해 선호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로와 인접함에 따라 발생되는 주변 소음과 과도한 시가지 비율, 구간별 난이도 불균형 등으로 인한 둘레길 동선 불만족이 비선호 요인으로 크게 작용하고 있었으며, 경관 단절 및 구간에 대한 정보 부족 등이 선호도를 떨어트리는 원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립공원뿐만 아니라 근교 산림 녹지 관리에 있어서 둘레길 정비 및 개선방안 마련에 활용될 수 있으며, 연구에 활용된 감성분석은 자연지역에 대한 실제 이용자들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다만 사전에 정의된 감성사전을 기반으로 평가하였기에 지속적인 사전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또한 소셜미디어 특성상 부정적인 견해보다는 긍정적인 내용을 공유하는 경향이 존재하기 때문에, 현장 설문조사 등의 분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