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driving evaluation too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UFOV(Useful Field of View test)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Useful Field of View Test)

  • 곽호성;정봉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57-16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국외에서 표준화된 운전 적합성 평가도구인 UFOV(Useful Field of View Test) 검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2014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서울시 소재 병원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 19명과 일반인 23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정보와 UFOV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자간 신뢰도, UFOV와 TMT A&B, MVPT 점수를 비교한 동시타당도, 뇌졸중 환자와 일반인의 UFOV 검사결과로 판별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UFOV 검사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하위항목 1~3에서 모두 .83(p<.01)이상을 보였으며, 검사자간 신뢰도(ICC=2,1)는 하위 항목 1~3에서 모두 .92(p<.001)이상을 보였다. 동시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한 TMT A&B, MVPT와 UFOV 검사의 세 하위항목과의 상관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판별타당도는 모든 항목에서 뇌졸중 환자와 일반인의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따라서 UFOV 검사는 작업치료 임상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의 운전사고 예방 및 운전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상현실 바이크 시뮬레이터의 개발과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Bike Simulator)

  • 김종윤;송철규;김남균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1권3호
    • /
    • pp.112-121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a new bike system for the postural balance rehabilitation training. Virtual environment and three dimensional graphic model is designed with CAD tools such as 3D Studio Max and World Up. For the real time bike simulation, the optimized WorldToolKit graphic library is embedded with the dynamic geometry generation method, multi-thread method, and portal generation method. In this experiment, 20 normal adults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balancing posture. We evaluated the system by measuring the parameters such as path deviation, driving velocity, COP(center for pressure), and average weight shift. Also, we investigated the usefulness of visual feedback information by weight shift. The results showed that continuous visual feedback by weight shift was more effective than no visual feedback in the postural balance control It is concluded this system might be applied to clinical use as a new postural balance training system.

이동속도의 변화에 따른 가로경관의 평가 -Virtual Reality를 이용한 실험- (An Evaluation of the Streetscape According to the Change of Moving Speed -Through the Experiment of the Virtual Reality-)

  • 정재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5-2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isual evaluation structure about the formal changes of streetscape by the different moving speed in two alternative control plans for the building height and the setback regulation. The virtual reality system i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tool. Eighty-two experimental models ar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and the setback of the building regulation cased by Midou-suji street in Osaka City, Japan. and ten typical models are selected by pre-experiment. Since the changes of the landscape structure consists of the height and the setback of the building, four the evaluation items are set: grade of continuity, order, openness, preference. As there are eighty-two landscape models which are too many to be applied in this experiment, ten role models are drawn out and used in this experiment. The mean difference test, discriminant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s had been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is found out the fact of the difference evaluation structure amount experiments models. 2) From the sketch analysis and interview, it is found out difference cognition structure by the moving speed and alternatives. 3) From the discriminant and regression analysis, it is found out that the evaluation value about continuity becomes low by the moving speed change from walking speed to driving speed. We suggest that continuous experiment should be made with a variety of groups and models, and general and universal results should also be come out of the experiments above.

  • PDF

The MPI CyberMotion Simulator: A Novel Research Platform to Investigate Human Control Behavior

  • Nieuwenhuizen, Frank M.;Bulthoff, Heinrich H.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7권2호
    • /
    • pp.122-131
    • /
    • 2013
  • The MPI CyberMotion Simulator provides a unique motion platform, as it features an anthropomorphic robot with a large workspace, combined with an actuated cabin and a linear track for lateral movement. This paper introduces the simulator as a tool for studying human perception, and compares its characteristics to conventional Stewart platforms. Furthermore, an experimental evaluation is presented in which multimodal human control behavior is studied by identifying the visual and vestibular responses of participants in a roll-lateral helicopter hover task. The results show that the simulator motion allows participants to increase tracking performance by changing their control strategy, shifting from reliance on visual error perception to reliance on simulator motion cues. The MPI CyberMotion Simulator has proven to be a state-of-the-art motion simulator for psychophysical research to study humans with various experimental paradigms, ranging from passive perception experiments to active control tasks, such as driving a car or flying a helicopter.

가상현실 기법을 적용한 평가도구를 활용한 계기반 배치 및 인지 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bjects Arrangement of Display Panel and the Cognitive Accuracy under the Virtual Reality Evaluation Tool)

  • 김선영;유승동;박범
    • 인지과학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00
  • 운전자에게 자동차에 관련된 중요한 시각적 정보는 주로 계기반을 통해 제공되어 진다. 이런 계기반이 시인/시계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졌을 때, 운전자는 주행중에 시야 확보 및 자동차 관련 시각정보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계기반은 운전자의 과제 수행도와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다고 볼 수 있으며, 운전자-자동차간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중요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외국의 경우는 계기반의 형태와 특성 및 색상까지를 고려한 다방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차종이 Analog display의 형태를 따르고 있지만, 위치에 대한 명확한 표준이 없이 각기 다른 형태 및 배치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기반 주요 Object(속도계, 타코미터, 연료계, 온도계)의 배치특성에 대한 운전자의 선호도여부와 계기반 Object의 위치가 운전자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여부에 관하여, 본 실험실에서 제작한 평가도구(VISVEC System)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로 피험자가 선호하는 배열특성이 인지정확도 여부에 미치는 영향과의 연관성은 볼 수 없었으나, 계기반의 주요 Object는 각각의 영역을 갖는 것이 Visual 정보 인지에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노인 운전자에게 적용한 컴퓨터 기반 운전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Study of Computer-Based Driving Intervention Program for Elderly Drivers)

  • 김덕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93-302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컴퓨터 기반 운전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노인을 위한 운전중재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2009년 1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출판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외 문헌은 'Pubmed, Goggle Scholar, Science Direct'에서 검색하였고, 국내 문헌은 'RISS, Keris, KISS'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총 359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최종 10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근거수준 I이 8편(80%), III가 2편(20%)이었다. 분석결과 노인에게 적용한 컴퓨터 기반 중재 방법에는 운전 시뮬레이터가 7편(70%)으로 가장 많았으며, 비디오 영상훈련 2편(20%), 닌텐도 Wii 프로그램이 1편(10%)을 차지하였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운전 시뮬레이터는 노인들의 인지영역과 시지각 능력을 훈련하고, 다양한 모의 상황에서 위험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주었으며, 다른 중재방법들도 노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노인 운전자를 평가한 평가 항목에서는 운전 시뮬레이터를 사용한 운전수행능력 평가가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주의력, 시공간 능력, 인지기능, 위험인지 평가, 우울 및 불안평가 등이 시행되었다.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컴퓨터 기반 운전중재 프로그램은 다양한 영역들을 훈련하고 평가하기에 적절하며, 안전운전을 위한 중재도구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