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Word Recognition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인의 영어단어 재인과정:어휘접근과 단어길이효과 (English visual word recognition of Korean: lexical access and word length effect)

  • 이윤형;최원일;정유진;남기춘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279-284
    • /
    • 2000
  • 시각적으로 제시된 영어 단어 재인시에 주로 단어빈도와 단어길이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단어빈도와 관련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단어길이와 관련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편이다. 또한, 단어빈도와 단이길이에 따라 단어가 성 어휘집(mental lexicon)에 어떻게 표상되어 있으며, 상호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단어길이와 빈도가 시각적으로 제시된 영어단어 어휘접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아 단어길이효과가 어휘접근단계에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둘째, 단어길이와 빈도가 미국인과 한국인의 어휘접근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아 한국인과 미국인의 영어단어 정보처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단어 명명과제와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한 실험결과 한국인과 미국인에게 모두 단어 길이와 빈도가 어휘접근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한국인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어휘판단과제에서 보다는 단어명명과제에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한국인이 영어단어 어휘에 접근할 때에도 미국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인의 경우는 미국인보다 조음과정에 상대적으로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보이며, 이것은 영어교육시 단순한 어휘암기보다 음운부호를 산출하고 단어를 말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좀 더 강조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f Adult Patients with Shunted Hydrocephalus

  • Bakar, Emel Erdogan;Bakar, Bulent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7권3호
    • /
    • pp.191-198
    • /
    • 2010
  • Objective : This study is planned to determine the neurocognitive difficulties of hydrocephalic adults. Methods : The research group contained healthy adults (control group, n : 15), and hydrocephalic adults (n : 15). Hydrocephalic group consisted of patients with idiopathic aquaduct stenosis and post-meningitis hydrocephalus. All patients were followed with shunted hydrocephalus and not gone to shunt revision during last two years. They were chosen from either asymptomatic or had only minor symptoms without motor and sensorineural deficit. A neuropsychological test battery (Raven Standart Progressive Matrices, Bender-Gestalt Test, Cancellation Test, Clock Drawing Test, Facial Recognition Test, Line Orientation Test, Serial Digit Learning Test, Stroop Color Word Interference Test-TBAG Form, Verbal Fluency Test, Verbal Fluency Test, Visual-Aural Digit Span Test-B) was applied to all groups. Results :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f hydrocephalic patients demonstrated that they had poor performance on visual, semantic and working memory, visuoconstructive and frontal functions, reading, attention, motor coordination and executive function of parietal lobe which related with complex and perseverative behaviour. Eventually, these patients had significant impairment on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of their frontal, parietal and temporal lobes. On the other hand, the statistical analyses performed on demographic data showed that the aetiology of the hydrocephalus, age, sex and localization of the shunt (frontal or posterior parietal) did not affect the test results. Conclusion : This prospective study showed that adult patients with hydrocephalus have serious neuropsychological problems which might be directly caused by the hydrocephalus; and these problems may cause serious adaptive difficulties in their social, cultural, behavioral and academic life.

한대(漢代)까지의 종기.혹.덩어리에 대(對)한 질병인식(疾病認識) 고찰(考察) (Disease Recognition of Tumor, Bump or Mass until Han Dynasty)

  • 엄석기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9-47
    • /
    • 2008
  • After reviewing literatures of Han dynasty or earlier that recognize tumor, bump or mass, we concluded as follows. The recognition or study on tumor, bump or mass started at least Seoju(西周) Dynasty or earlier, and academic system was developed since earlier Han Dynasty(漢代). Until Han Dynasty, main characters that recognize Tumor, bump or mass include Jong(腫), Yang(瘍), Yu(瘤), Yeong, Chang (瘡), Ong(癰), Jeo(疽), Jeok(積), Chwi(聚), Byeok(癖), Jing, and Ga, Hyeon that firstly appeared 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南北朝), and Am(癌) that firstly appeared in Song Dynasty[宋代] can also be considered as significant characters. The main perception of cancer(腫瘍) until Han Dynasty was started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word Yu(瘤) and developed through visual, tactile sensation and symptom observation of following 2 categories, One is tumor, btm1p or mass which is expressed in outer body like Yeong, Jong(腫), Chang(瘡), Yang(瘍), Ong(癰), and Jeo(疽), The other is tumor, bump or mass which is expressed internally like Jeok(積), Chwi(聚), Byeok (癖), Jing, and Ga.

  • PDF

한국어 시각 단어 재인에서 음운, 철자이웃 크기 효과 (The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Neighborhood Effect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 LDT study & fMRI study)

  • 권유안;박창수;남기춘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7-51
    • /
    • 2006
  • 본 실험은 한국어 심성어휘집의 표상 정보가 음운정보로 이루어져 있는지, 철자정보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자극은 한국어의 2음절 단어 중 음운변화(자음동화)를 겪는 단어(예: 국민)를 사용하였으며, 각 조건은 철자이웃이 크며 음운 이웃이 큰 단어 조건(O+P+), 철자이웃이 크고 음운이웃은 작은 단어 조건(O+P-), 철자이웃은 작고 음운이웃이 큰 단어 조건(O-P+), 철자이웃과 음운이웃 모두가 작은 조건(O-P-)이었다 실험 1에서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한 결과, 음운이웃 크기와 철자이웃 크기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실험2는 동일한 실험자극을 사용한 fMRI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2 결과 음운처리에 관련된 뇌영역의 활성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어의 경우 심성어휘집이 음운정보로 이루어져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언어간 의미 점화 효과 (Cross-linguistic Semantic Priming Effects in Visual Word Recognition)

  • 최원일;오현금;남기춘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7-162
    • /
    • 2002
  • 본 연구는 영어 단어 재인 과정에서 나타나는 한국인의 어휘 수준과 의미 수준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종류의 실험을 시행하였는데, 첫 번째 실험에서는 한국어 처리 기제와 영어 처리 기제의 독립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어로는 여러 의미를 갖지만 영어로는 한 가지 의미만을 가지는 영어단어를 점화 자극으로 하고, 한국어와는 관련된 의미를 갖지만 영어와는 무관련한 한국어 단어를 목표 자극으로 사용하여(예, bridge-팔)언어간 의미 점화 어휘판단 과제를 시행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비교적 개념 구조가 한국어와 영어에서 유사하다고 생각되어지는 외래어를 자극으로 사용하여 언어간(예, elevator-승강기), 언어 내(예, 엘리베이터-승강기) 어휘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 실험에서는 유의미한 점화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두 번째 실험에서는 언어간에는 SOA에 따라서 결과가 달랐고, 언어 내에는 촉진적 점화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어의 일반 어휘에 대한 의미 표상 체계는 독립적으로 존재하였고, 외래어와 같이 특수한 어휘에 대해서는 다른 표상 체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어 시각단어재인에서 의미 이웃크기 효과 (The Effect of Semantic Neighborhood Density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 권유안;남기춘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7년도 한국음성과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73-175
    • /
    • 2007
  • The lexical decision task (LDT) commonly postulates the activation of semantic level.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for the feedback effect from semantic level.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feedback effect from semantic level is facilitatory or inhibitory in Korean LDT. In Experiment 1, we manipulated the number of phonological syllable neighbors (PSN) and the number of semantic neighbors (SEN) orthogonally while orthographic syllable neighbor (OSN) is dense. In the results, the significant facilitatory effect was shown in words with many SEN. In Experiment 2, we examined same conditions as Experiment 1 but OSN was sparse. Although the similar lexical decision latency pattern was shown,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feedback activation from semantic level. If a target has many SENs and many PSNs, it receives more feedback activation from semantic level than a target with few SENs and PSNs.

  • PDF

가중치 기반 Bag-of-Feature와 앙상블 결정 트리를 이용한 정지 영상에서의 인간 행동 인식 (Human Action Recognition in Still Image Using Weighted Bag-of-Features and Ensemble Decision Trees)

  • 홍준혁;고병철;남재열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1호
    • /
    • pp.1-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CS-LBP (Center-Symmetric Local Binary Pattern) 특징과 공간 피라미드를 이용한 BoF (Bag of Features)를 생성하고 이를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분류기에 적용하여 인간의 행동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BoF를 생성하기 위해 영상을 균일한 패치로 나누고, 각 패치 마다 CS-LBP 특징을 추출한다. 행동 분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치들마다 추출한 특징벡터들에 대해 K-mean 클러스터링을 적용하여 코드 북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공간 피라미드 방법을 적용하고 각 공간 레벨에서 추출된 BoF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특징 벡터로 결합한다. 행동 분류를 위해 결정트리의 앙상블로 이루어진 랜덤 포레스트는 학습 단계에서 각 행동 클래스를 위한 분류 모델을 만든다. 가중 BoF가 적용된 랜덤 포레스트는 다양한 인간 행동 영상을 포함하고 있는 Standford Actions 40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기존 방법에 비해 분류 성능이 유사하거나 우수하며, 한 장의 영상에 대해 빠른 인식속도를 보였다.

명명 과제에서 음절 토큰 및 타입 빈도 효과 (The Syllable Type and Token Frequency Effect in Naming Task)

  • 권유안
    • 인지과학
    • /
    • 제25권2호
    • /
    • pp.91-107
    • /
    • 2014
  • 음절 빈도 효과란 고빈도 음절로 시작되는 단어가 저빈도 음절로 시작되는 단어에 비해 어휘 판단 속도가 느리며 어휘 판단 오류율도 증가하는 효과를 의미한다. 이 효과를 유발하는 원인은 전체 단어 수준에서 활성화된 음절 이웃 단어의 방해로 알려져 있으며 이 방해의 크기는 표적 단어가 얼마나 많은 음절 이웃 단어를 또는 얼마나 강력한 음절 이웃 단어를 가지고 있는지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음절 빈도의 정의가 음절 타입 빈도와 토큰 빈도로 구분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구분하지 않고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최근 Conrad, Carreiras, & Jacobs(2008)에 따르면 음절 토큰 빈도는 전체 단어 처리 수준을 반영하는 변인이며 음절 타입 빈도는 하위 어휘 처리 수준의 음절 처리 수준을 반영하는 변인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들의 주장이 맞다면 음절 타입 빈도는 단어 명명 속도를 촉진 시킬 것이며 반대로 음절 토큰 빈도는 명명 시간과 관련 없을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왜냐하면 표기 심도가 얕고 음절의 경계가 명확한 언어에서 명명 과제는 전체 단어수준을 덜 참고하기 때문이었다. 실험 1결과에서 음절 토큰 빈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고빈도 타입음절의 단어 명명 시간은 유의미하게 짧았다. 실험 2에서 음절 타입 빈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음절토큰 빈도의 증가는 명명 시간을 역시 단축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음절 토큰 빈도가 하위 어휘 처리와 무관하다는 Conrad, Carreiras, & Jacobs(2008)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in Semantic Categorization Tasks in Korean

  • Kim, Ji-Hye;Kwon, You-An;Nam, Ki-Ch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10호
    • /
    • pp.1879-1890
    • /
    • 2011
  • Previous studies of syllable frequency effects have proposed that inhibitory effects due to high first syllable frequency were the products of competitions between activated lexical candidates within a lexical level. However, these studies have primarily used lexical decision tasks to examine the nature of syllable frequency effect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 syllable frequency effect can arise in semantic categorization tasks and whether phonologically or orthographically defined syllables interact with semantically related variables such as morphological family size. If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was created by activations and competitions on a lexical level,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effect was related to semantic categorization tasks. To test this hypothesis,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In Experiment 1, morphological family size and phonological syllable frequency were factorially manipulated. In Experiment 2, morphological family size and orthographic syllable frequency were factorially manipulate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morphemes have no relationship with phonological syllables but do with orthographic syllables. This suggests that phonological syllables and orthographic syllables have different roles in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on visual word recognition process.

동일기관 내 협진을 통한 돌발성 난청의 한·양방 병용치험 3례 (Three Cases of Sudden Hearing Loss Improved after East-West Medical Combined Treatment through Cooperation in a Hospital)

  • 이지원;홍승욱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2-94
    • /
    • 202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east-west medical combined treatment of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SSNHL) through cooperation in a hospital. Methods : We treated three patients diagnosed as SSNHL by combination of herbal medicine, acupuncture, pharmoacupuncture, moxibustion, cupping, laser therapy and conventional medications. We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treatment with pure tone audiometry, word recognition score(WRS), the changes in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s(DPOAE) and visual analogue scale. Results : One of them showed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hearing level of the low frequency region. The others showed 'Complete recovery' in pure tone audiometry and WRS. The subjective symptoms including tinnitus and ear fullness improved in three patients.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east-west medical combined treatment is effective on SSNHL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