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Monitoring System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39초

BACnet MS/TP 필드제어기 프로토타입 및 MS/TP 네트워크 감시 장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ACnet MS/TP Field Controller Prototype and MS/TP Network Monitoring System)

  • 박태진;홍승호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4호
    • /
    • pp.799-808
    • /
    • 2007
  • BACnet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communication protocol especially designed for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s. BACnet uses the Master-Slave/Token-Passing (MS/TP) protocol as one of its field-level networks. A BACnet MS/TP field controller prototype and MS/TP network monitoring system are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report introduc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ology of a BACnet MS/TP field controller hardware, firmware and protocol stack. This report also presents the implementation methodology of BACnet MS/TP network monitoring system using VTS (Visual Test Shell). The methodologies introduced in this report will facilitate the develop and implementation of the BACnet-based control systems in building automation area.

Around View Monitoring System for Hydraulic Excavators

  • Yeom, Dong Jun;Hong, Yu Na;Kim, Yoo Jun;Yoo, Hyun Seok;Kim, Young Su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Summit Forum on Sustainabl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 /
    • pp.124-132
    • /
    • 2017
  • This paper describes the Around View Monitoring (AVM) system for hydraulic excavators that prevents the safety accidents caused by blind spots and increases the operational efficiency. To verify the developed system,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its prototype.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its applicability in the field with the following values: 7m of a visual range, 15fps of image refresh rate, 300ms of working information data reception rate, and 300ms of surface condition data reception rate.

  • PDF

Online Monitoring of Ship Block Construction Equipmen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nd Public Cloud: Take the Intelligent Tire Frame as an Example

  • Cai, Qiuyan;Jing, Xuwen;Chen, Yu;Liu, Jinfeng;Kang, Chao;Li, Bingqi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11호
    • /
    • pp.3970-3990
    • /
    • 2021
  • In view of the problems of insufficient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capability of multi-source heterogeneous equipment, and low visibility of equipment status at the ship block construction site. A data collection method for ship block construction equipment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WSN) technology and a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edge computing were proposed. Based on the Browser/Server (B/S) architecture and the OneNET platform, an online monitoring system for ship block construction equipment was designed and developed, which realized the visual onlin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the ship block construction equipment status. Not only that,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monitoring system were verified by using the intelligent tire frame system as the application object. The research of this project can lay the foundation for the ship block construction equipment management and the ship block intelligent construction, and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ship block construction.

시각장애인 보행지원 시스템의 안전한 실험을 위한 대화식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An Interactive Monitoring Application for Secure Experiments of Guidance System for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 이진희;이은석;신병석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8
    • /
    • 2013
  • 이전 연구에서 우리는 실외에서 특정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보행지원 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외에서 실험을 수행하므로 여러 가지 위험 상황에 실험대상자가 노출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행지원 시스템을 착용한 실험대상자를 모니터링 하고 위험 상황을 실험대상자에게 원격으로 경고하는 대화식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인 랩탑 컴퓨터에 내장되어있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과 보행지원 시스템과의 연결을 통해 추가적인 장치 없이 무선으로 시스템과 원격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스템을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와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원격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목적지까지의 보행 경로나 주변 POI(Point of Interest) 좌표 등을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안한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으로써 신속한 위험 상황 감지와 빠른 상황 대처를 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실험이 가능하다.

  • PDF

강구조물 용접이음부 외부결함의 자동검출 알고리즘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for a Visual Weld Defects Detection on Weld Joint in Steel Structure)

  • 서원찬;이동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통권38호
    • /
    • pp.1-1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강구조물의 제작 및 시공에서 용접이음부의 고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강구조물 용접이음부 외부결함의 자동검출에 관한 화상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개발 알고리즘은 광학계의 적절한 배치에 의해 얻어지는 4매의 입력화상을 이용하여 기존의 기법에서 검출할 수 없었던 용접이음부 외부결함을 검출할 수 있음을 보인다. 용접 외부결함이 존재하는 시험편을 제작하고 실험을 통하여 개발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검출된 용접외부결함의 분류 결과를 육안검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구조물의 6자유도 변위 측정을 위한 비주얼 서보잉 기반 양립형 구조 광 로봇 시스템 (Visual Servoing-Based Paired Structured Light Robot System for Estimation of 6-DOF Structural Displacement)

  • 전해민;방유석;김한근;명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989-994
    • /
    • 2011
  •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a visual servoing-based paired structured light (SL) robot for estimating structural displacement under various external loads. The former paired SL robot, which was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y, was composed of two screens facing with each other, each with one or two lasers and a camera. It was found that the paired SL robot could estimate the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displacement each in 3-DOF with high accuracy and low cost. However, the measurable range is fairly limited due to the limited screen size. In this paper, therefore, a visual servoing-based 2-DOF manipulator which controls the pose of lasers is introduced. By controlling the positions of the projected laser points to be on the screen, the proposed robot can estimate the displacement regardless of the screen size. We performed various simulations and experimental test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newly proposed robot.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overcomes the range limitation of the former system and it can be utilized to accurately estimate the structural displacement.

공정관리 기능을 강화한 DNC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NC System with the Function of Process Monitoring and Control-)

  • 김채수;심문보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7-98
    • /
    • 2003
  • With the development of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connotation and functions of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have been greatly enlarged. In this study, we develop and implement a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system that has real time and multi-tasking operation capability for the machining cell with various NC(Numerical Control) and CNC machines. With the consideration of economy, generalization and extension, this system is interfaced with Shop Floor Control System, Machine Control System and Tool Preparation System using advanced networking method. In the implementation phase, we use the ORACLE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as the DBMS and Microsoft Visual C++ as the programming tools.

해상용 항로표지 충·방전조절기의 근거리 모니터링 (Short-range Monitoring of Marine AtoN Charge and Discharge Controller)

  • 예성현;한순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933-939
    • /
    • 2015
  • 일반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광파표지는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공급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공급시스템에서는 충 방전조절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항로표지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도입된 IT기술(AIS통신 등)은 광파표지에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를 추가하게 됨으로써 충 방전조절기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운용되는 충 방전조절기는 항로표지 내부에 부착되어 해상환경에 따라 점검 및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충 방전조절기에 블루투스 모듈을 구성하여 근거리 점검이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도입 비용이 적고, 구성이 간편하여 다양한 항로표지에 응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근거리에서 충 방전조절기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점검 비용을 절감하고, 점검 시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지반의 침하계측을 위한 수치사진측량의 적용성 평가 (A Study on Applicability Evaluation of digital Photogrammetry for Settlement Measurement of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 한중근;박정준;유승경;윤중만;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85-9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지반의 정화 시에 발생되는 침하량 계측에 대한 VMS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오염지반의 침하에 대한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수치사진측량기법을 기반으로 개발된 3D-Visual Monitoring System(VMS)와 기존 계측장비인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하여, 오염지반 침하에 대한 계측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중금속으로 오염된 지반의 침하량은 친수성 필터가 적용된 실험조건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VMS의 오차범위를 산정한 결과, 최소 및 최대 오차범위는 각각 ±0.36mm와 ±0.87mm 산정되었고, VMS의 오차량은 모든 실험조건에서 오차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VMS의 평균오차율을 산정한 결과, 소수성 필터조건에 비하여 친수성 필터 조건에서 낮은 평균오차율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오염된 지반의 침하량 계측에 있어서 VMS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