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Fatigue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6초

주관적인 3차원 피로감 측정 방법에 대한 휴먼팩터 연구 (Human Factor Research on the Measurement of Subjective Three Dimensional Fatigue)

  • 이형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07-616
    • /
    • 2010
  • 현재까지 제안된 3차원 시각피로 측정 방법은 측정의 타당도가 결여되어 있고 시각피로의 복합적인 특성을 제대로 파악해 내지 못 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시각피로의 구성요인을 분석하고 안정적으로 타당하게 주관적인 시각피로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시각피로가 네 개의 독립적인 하위요인(시각적 스트레스, 안구 통증, 신체 통증, 상 흐림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규명하였고, 둘째, 네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3차원 시각피로를 측정할 수 있는 29개의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셋째, 시각피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시청시간과 양안시차의 조작이 개발된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시각피로에 실제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각피로 측정 방법이 3차원 시각피로를 타당하게 측정함을 시사한다.

편광식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상대적 시차, 시청 거리, 시청 방위에서의 시각피로 최소화 기준 제안 (Criterion Suggestion on Relative Disparity, Viewing Distance and Viewing Angle to Minimize 3D Visual Fatigue for Pattern-Retarded Type 3D Display)

  • 박종진;김신우;이형철
    • 감성과학
    • /
    • 제19권1호
    • /
    • pp.61-70
    • /
    • 2016
  • 입체 시각 피로는 3D 영상의 확산을 방해하는 가장 주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입체 시각 피로는 수렴과 조절의 불일치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으로, 이 현상은 양안 시차를 포함하는 영상을 3D 디스플레이로 제시하는 경우 자극에 의하여 유발된 수렴 거리가 물리적인 조절 거리와 불일치하여 발생한다. 이는 실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입체 자극을 사용하는 경우 언제나 입체 시각 피로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입체 시각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직접적인 원인을 제거하려는 노력뿐만 아니라 이를 간접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 역시 필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입체 시각 피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상대적 시차, 시청 거리, 시청 방위 요인이 주관적 입체 시각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입체 시각 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한 각 요인의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참가자들이 입체 시각 피로를 보고하는 경우는 상대적 시차의 교차 시차 크기가 7분 22초를 넘어설 때, 그리고 수직 시야각이 15도 보다 클 때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안경식 Interactive 3D Display: 시청거리, 시청방위, 협응동작이 시각피로에 미치는 영향 (Glasses-free Interactive 3D Display: The Effects of Viewing Distance, Orientation and Manual Interaction on Visual Fatigue)

  • 김덕중;이형철;김신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72-58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interactive 3D(i3d) 시스템을 사용하는 시청 환경에서의 시각 피로를 측정하고, 시각 피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 무엇인지를 연구하였다. i3D는 무안경식 디스플레이로 사용자가 화면에 제시되는 자극에 대해 손을 사용한 간단한 상호작용을 지원한다. 실험 1에서는 i3D 환경에서 시각피로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개방형 설문을 실시한 후 사용자의 응답을 다시 설문문항으로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도출한 피로측정 설문지를 사용하여 다양한 시청환경에서 피로를 측정하였다. 협응동작(유/무), 시청거리(1/2/4m), 시청방위($0/28/56^{\circ}$)의 세 변인을 사용하여 피험자내 요인설계를 통해 각 조건에서의 시각피로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시청거리가 멀어질수록 시각피로가 줄어드는 결과를 획득하였으며, 시청방위와 협응동작은 시각피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조건 중 극단적인 시청환경 (예를 들어, 시청거리 1m, 시청방위 $56^{\circ}$)인 조건에서는 피로감이 줄어드는 결과를 획득하였으나 이는 무안경식 디스플레이의 한계로 인해 입체감이 사라져 참가자들이 이중상을 경험한 결과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종합논의에 제시하였다.

3D 영상의 제작 왜곡이 시청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Visual Fatigue Caused From Distortions in 3D Video Production)

  • 장형준;김용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16
    • /
    • 2012
  • 양안식 입체 영상 미디어의 제작 워크플로우 개선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제작 및 후-제작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제작 왜곡들이 시청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주관적 시청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관적 시청 실험의 객관적 지표 생성을 위해 제작 왜곡의 요인들을 분류하여 7가지의 대표적 시청 피로도 유발 요인을 선정하고, 선정된 각 요인 별 시청 실험을 위해 카메라와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를 조합하여 4가지 실험 동영상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실험 영상들은 각기 7단계의 제작 왜곡을 부가하여 5초 단위의 시청 실험 콘텐츠 196개를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콘텐츠와 ITU-R BT.1438 권고에 따라 총 101명의 실험 참가자를 모집하여 주관적 시청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된 시청 실험의 분석 결과는 제작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왜곡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 및 각 오차에 대한 허용 한계 범위 등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한다.

저휘도 환경에서 태블릿 PC를 이용한 장시간 독서시 문자대비가 가독성과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 on Readability and Visual Fatigue during Long-term Reading Using Tablet PC in Low Luminance Environment)

  • 유하늬;아키타 타케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5권5호
    • /
    • pp.191-202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 on readability and visual fatigue during an hour-long reading session while using a tablet PC in ambient environments having low luminance limited to $25cd/m^2$.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four patterns of the tablet's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s, namely 1:2.5, 1:4.5, 1:6.5, and 1:8.5, in low ambient luminance of $9cd/m^2$ and $25cd/m^2$. The obtained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s can be easily read at the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 of 1:8.5 under surface luminance of $25cd/m^2$. Visual fatigue was evaluated through a subjective survey of symptoms. Physical, psychological, and visual fatigue were observed at a surface luminance of $9cd/m^2$, whereas solely visual fatigue was felt at a surface luminance of $25cd/m^2$. By assessing the physical fatigue using the value, it has been found that smaller the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 greater is the CFF variation rate. Furthermore, readability is poor and visual fatigue can be observed when the surface luminance is lower than the ambient luminance. However, readability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 to a value of 1:8.5. Thus, in low luminance environments, luminance contrast ratio of characters can affect readability and fatigue. Consider providing the full form of "CFF" so that the acronym can be used unambiguously throughout the manuscript.

주관평가와 작업수행도의 상관관계 분석에 의한 조명 색온도에서의 피로도 평가 (Evaluation of fatigue by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Subjective Rating Score and Working Performance with Color Temperature)

  • 양희경;고한우;김묘향;임석기;윤용현
    • 감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63-68
    • /
    • 2001
  • 조명 색온도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조명 색온도(2700 K, 4000 K, 6500 K)를 실험변수로 하여 모니터상에서 오류수정 작업이 수행되었다. 색온도의 변화에 따른 인체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먼저 주관평가와 작업수행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시각피로·정신피로와 집중도에 관한 주관평가를 실시한 결과, 2700 K에서 시각피로 및 정신피로가 가장 적고 집중도가 높으며 작업수행도가 가장 좋았다. 6500 K에서 정신피로를 가장 많이 느끼고 집중도가 제일 낮았으나, 시각피로를 가장 많이 느낀 4000 K에서의 작업수행도가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세 가지 색온도 조건 중 2700 K가 모니터상의 오류수정 작업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노르딕 워킹이 앞정강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RDIC WALKING ON TIBIALIS ANTERIOR MUSCLE FATIGUE)

  • 강양훈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6권2호
    • /
    • pp.62-6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ibialis anterior muscle fatigue through a Nordic walking when using pole. Methods: This study subject was 38 people who were twenties and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with standard walking and Nordic walking group with Nordic walking. All subjects examined muscle fatigue with surface EMG and visual analogue scale for fatigu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dow 18.0 program using ANCOVA. Results: The results were of a significant changes to the both tibialis anterior fatigue(p<0.01). The visual fatigue scales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Dool-re-gil (Mt. Ji-Ri) was effective for muscle fatigue during walking, and it appears that it could be used clinically. So it is anticipated that improvement in clinical utilization for the people who's through a Nordic walking when using pole.

전신 피로와 시야 제한이 자세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ole Body Fatigue and Limited Visual Field on Postural Stability)

  • 박성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9-46
    • /
    • 2016
  • Loss of postural stability can possibly lead to slip and fall accidents in the number of workplaces and everyday lif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fatigue and partially limited visual field on the ability of maintaining postural balance during quiet standing. A group of twelve healthy mal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Before and after experiencing the whole body fatigue induced by bicycling exercise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subject's center of pressure (COP) were obtained under the two levels of visual field condition (i.e., open visual field and limited visual field). Four levels of the whole body fatigue examined were rest, 300watt, 600watt, and 900watt. Position coordinates of COPs measured on a force plate were then converted into the total length of postural sway path in both the medio-lateral (ML) direction and the anterior-posterior (AP) direction. Two-way ANOVA result showed that the length of sway path in the AP direction became significantly larger as the whole body fatigue accumulated. Post-hoc test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st and 900watt and between 300watt and 900watt. The significant increase of the sway length was also found when the visual field was partially obstructed by the boxes. In the ML directio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ostural sway in both the AP and ML directions. The results imply that the ability of maintaining postural stability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due to such tasks along with whole body fatigue. The postural balance can also be impaired by the limited visual field.

Transient Effects of Calf Muscle Fatigue and Visual Control on Postural Balance During Single Leg Standing

  • Han, Jin-Tae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7-71
    • /
    • 2017
  • PURPOSE: Muscle fatigue is a cause to change proprioce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lf muscle fatigue and visual control on postural balance during single-legged standing in healthy adults. METHODS: Nineteen healthy adults (mal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an age: 24.36 years; mean height: 171.32 cm; mean weight: 64.58 kg). The postural balance (sway length, sway area, sway velocity of COG displacement) was measured by Balance Trainer System (BT4) in before and after calf muscle fatigue feeling in single legged stance. In this study, repetitive single-legged heel rise test was used to induce fatigue of the calf muscle. Paired t-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postural balance between before and after calf muscle fatigue. Data of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SPSS Inc., Chicago, IL, USA).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to .05. RESULTS: The sway length, sway area, sway velocity of COG (center of gravity) displacement after calf muscle fatigue feel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calf muscle fatigue feeling during single leg standing both eye open and close conditions (p<.05).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calf muscle fatigue feeling has affected on postural balance when standing one leg both eye open and close conditions and postural control was disturbed by muscle fatigue and visual feedback in single leg standing.

EEG 생체신호 기반 3D 시각피로 측정방법에 대한 타당화 연구 (Validity examination of the measurement of 3D visual fatigue using EEG)

  • 이형철;문경애
    • 감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17-28
    • /
    • 2012
  • 최근의 디스플레이 기술은 2차원 디스플레이에 제시된 영상으로부터 3차원 깊이감을 지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런은 디스플레이와 콘텐츠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실생활에서 경험하지 않는 시각피로의 문제를 경험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각피로를 안정적이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EEG(Electroencephalography)신호에 기반한 시각피로 측정의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ERP(Event related potential) 성분 중에서 시각피로를 반영하는 성분을 찾아내기 위해 2D 조건과 3D 조건에서 탐색적 실험을 수행하였고, 탐색적 실험에서 발견된 ERP 성분이 양안시차의 차이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Cz와 Pz 영역에서 P3 성분의 정점 강도가 2D 조건보다는 3D 조건에서 감소하였으며, 양안시차가 증가할수록 일관되게 P3 성분의 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양안시차가 증가함에 따라서 주관적인 시각피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함을 검증하였는데, 이 실험결과는 Cz와 Pz 영역에서의 P3 성분의 정점 강도가 3D 시각피로에 대한 인덱스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