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Effect

검색결과 3,295건 처리시간 0.034초

The effect of visual information on gait parameters with induced ankle muscle fatigue

  • Suh, Hye Rim;Hwang, Jin-Hee;Lee, Su-You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40-145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block with ankle joint fatigue on gait and dynamic balance ability.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irty healthy young adults (men=15, women=15) between 22 to 25 years of ag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the gait and dynamic balance test successively in two conditions: the visual block and the open eyes condition. Before the gait and dynamic balance test, muscle fatigue on the ankle joint was induced to all subjects by doing ankle dorsiflexion and plantarflexion alternately, and then gait parameters (step length, stride length, cadence, velocity, single limb support, and double limb support) were assessed by walking on the GAITRite system (CIR Systems Inc., USA). Subjects also performed the functional reach test (FRT) for assessment of dynamic balance. This study examined gait parameters and FRT scores in each visual block and open eyes condit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FRT scores with the visual block condition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without visual blocking (p<0.01). Step length, stride length, cadence, and velocity of gait parameter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visual block condition (p<0.01)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single limb support. However, double limb suppor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visual block system (p<0.01). Conclusions: Therefore, blocking of visual information with muscle fatigue of the ankle joint can affect gait and balance ability of young adults and increase the risk of falls.

앙상블 수트의 의복형태구성요인의 시각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제1보) -노년층 여성을 중심으로- (A Experimental Study on the Visual Effect of Details on Ensemble Suits (I) -for Elderly Women-)

  • 조훈정;손영미
    • 복식
    • /
    • 제52권6호
    • /
    • pp.51-6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body shapes. exclusive of size and corpulence factors of more than 60-year old elderly women by distinctions, and to investigate the visual effects of combination of ensemble suit details. For the body shape classification, the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 the mean value difference of numeral values for classified types were tested by ANOVA : and the follow-up test was conducted by the Duncan's multiple ranged test. The data analysis for visual effects evaluated by a multiple ranking test was analysed by mean. paired t-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d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followings are the types of body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factors of the front line of body for elderly women. The distinctions of the front li e of elderly women's body could be presumed; that was, Body typeⅠ was a comparatively well-balanced body type, Body type Ⅱ was close to an average body type. and Body type In was a severely corpulent body type. 2.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n the physical visual effects inducing the constituents of clothing type. 1) The neckline·collar types of a jacke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visual effects of the upper body, and orderly. the tailored collar. soutien collar, and round necklin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visual effects in the upper body. 2) The pleat types of one-piece dr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visual effects in the lower body in the order of gored type, pleats type, and gathered type. Also. the balance in the lower body had more influence on the overall balance of the clothing compared to the constituents of clothing type such as neckline collar type or opening line. 3) It showed that whether there is the front opening line of a jacket influenced on the visual effects of all categories.

거울을 이용한 시각적 되먹임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a Mirror on the Balance in Hemiplegic Patients)

  • 지상구;남기원;김명권;차현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3-16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mirror and the training without mirror on the balance in people with hemiplegic paralysis. Methods: A total of 26 strok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llocated randomly to 2 groups : visual feedback training group(n=13) and control group(n=13). Both groups received PNF(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for 5 times(each 30 minutes) per week over 6 weeks period. The group, which is enrolled in visual feed back training, performed additional exercise in front of mirror for 30 minutes. The control group performed same exercise without mirror.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visual feedback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foot pressure and total pressu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 and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swa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Also, visual feedback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n the Berg Balance Scale(BBS), Timed Up and Go test(TU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 the perceived benefits of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mirror to augment the balance of stroke patients. Therefore,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mirror is feasible and suitable for stroke patients.

곡선부 시각왜곡현상 분석 및 설계기법 제시 (Analysis of Visual Distortion and Suggestion of Design Criteria at Curve Sections)

  • 하태준;정준화;이정환;이석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D호
    • /
    • pp.663-673
    • /
    • 2009
  • 도로의 곡선구간에서 운전자가 주행시 느끼는 인지곡선반경은 실제곡선반경과 상이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현상을 시각왜곡현상이라 한다. 시각왜곡현상은 운전자에게 시각변화를 일으켜 운행속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한 운행속도의 변화는 각운전자들의 인지정도 차이에 따라 운행속도의 편차에 영향을 주어 곡선부 주행안전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재까지 곡선부의 사고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시각왜곡현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산정하거나, 시각왜곡현상을 고려해 도로 곡선부 설계시 이용될 설계기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로 곡선부의 시각왜곡현상을 경험적 실험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여 시각왜곡도를 정량적인 수치로 제시하였고, 곡선부 시각왜곡도를 고려한 설계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 활용하여 인지곡선반경을 종속변수로 하고, 기하구조를 독립변수로 하는 곡선부 인지곡선반경 모형식을 개발하였다. 둘째, 도로의 유형별로 인지곡선반경에 대한 실제곡선반경의 비율을 계산하여 곡선부 시각왜곡도를 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곡선부 시각왜곡도 영향인자를 분석하여 이를 고려한 설계기법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 of Warning Labels on Cigarette Packages: Textual vs. Textual-Visual and Self-Efficacy

  • Halim, Rizal Edy;Muttaqin, Faisa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1권2호
    • /
    • pp.25-30
    • /
    • 2014
  • The small number of fusion research that addresses fear-appeal and self-efficacy in the effectiveness of warning labels cause the label is not clear, the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the message. With the experimental method, a total of 240 participants were smokers consist of Indonesian university students in the age range 18-23 years. Data obtained then processed with ANOVA statistical methods and Test T.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the visual warning labels more effective than the textual warning labels alone. Results also suggest that a warning label should be both visual and textual messages combined with self-efficacy. Limitations, this study does not differentiate among smokers and non-smokers, in addition to the images are used only one type of disease, so that the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distinguish these factors.

시각 및 청각 정보가 소음의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n Effect on the Loudness of Noise)

  • 신훈;박사근;송민정;장길수
    • KIEAE Journal
    • /
    • 제6권4호
    • /
    • pp.69-76
    • /
    • 2006
  • The effects of the additional visual and auditory stimuli on the loudness evaluation of road traffic noise was investigated by the method of magnitude estimation.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additional visual stimulus of noise barrier can influence on the loudness perception of road traffic noise. Also, additional auditory stimuli such as green music or sound of flowing water can influence on the loudness perception of road traffic noise, approximately 5~10% lower than the absence of stimuli. But this effect was disappeared in the range of over 65dB(A).

성인 편마비 환자에서 시각 되먹임과 청각 되먹임이 체중 지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uditory and Visual Feedback on Symmetric Weight Bearing with Hemiplegia)

  • 박성일;이형훈;신상용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691-696
    • /
    • 1998
  • Objectives : Asymmetrical weight bearing during standing has been identified as a common problem in persons with hemiplegi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uditory and visual feedback on symmetric weight bearing with hemiplegia. Method: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instituted for 10 min each day with a total of twelve treatment sessions. The machine which was used for this study is the Weight Balancer, OG GIKEN, WB-202, Japan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symmetric weight distribution in auditory feedback group whereas the visual feedback group disclosed some improvement but not signific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control group.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auditary feedback group can be more effective than visual feedback group or control group in helping the persons with hemiplegia achieve symmetric stance.

  • PDF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CoTras)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for Visual Perception and ADL in Stroke)

  • 조아영;김정미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9-63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인 코드라스(CoTras)가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재활전문 C 요양병원에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실험 전과 후를 측정하였다. 처치 전 후 시지각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시지각 평가도구는 비운동성 시지각 평가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Fisher(1999)에 의해 개발된 운동 및 처리기술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전과 후를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치료 전과 후의 시지각 기능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짝비교(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코트라스(CoTras)치료 전과 후의 시지각 기능의 차이를 짝비교(Paired t-test)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0.000, p <.05). 둘째, AMPS 운동기술 평균점수는 0.90에서 1.11으로 증가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처리기술 평균점수는 0.08에서 0.46점으로 증가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임상적으로 유의하게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logit >0.3). 결론 :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인 코트라스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일상생활 동작 수행능력에 임상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시지각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코트라스(CoTras)가 시지각 기능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

  • PDF

3차원 동영상의 시각 주의 확률 모델 도출 및 시각 주의 기반 입체감 추정 (Modeling of Visual Attention Probability for Stereoscopic Videos and 3D Effect Estimation Based on Visual Attention)

  • 김보은;송원석;김태정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5호
    • /
    • pp.609-620
    • /
    • 2015
  • 시청자들은 영상을 시청할 때 화면상 시각이 집중된 곳 주변의 정보를 영향력 있게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사실을 이용하여 최근 연구들은 시각 주의 모델을 영상 제작 및 평가 방법에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사람들의 시각 주의도가 어떠한 인자에 영향을 많이 받는지, 또 시각 주의 모델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형태가 되는지를 통계적 실험 계획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분산 분석법을 이용하여 속도, 화면으로부터의 거리, 비초점흐림 정도가 시각 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인 것을 확인하였고 반응 표면 계획법을 이용하여 이 세가지 인자들에 따른 시각 주의 점수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 시각 주의 점수 모델로부터 영상 각 픽셀의 시각 주의 확률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뒷부분에서는 시각주의 확률 모델을 기존의 기울기(gradient) 기반 3차원 영상의 입체감 측정법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화면 상에서 시선을 집중할 확률이 큰 부분에 높은 비중을 둠으로써 기존의 방법 보다 시청자가 느끼는 입체감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여 피실험자들이 느끼는 입체감과 제안된 방법으로부터 도출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성능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어린이 시력과 생활 환경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upon Children's Visual Acuity)

  • 강현식;서용원;강인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7-83
    • /
    • 1997
  • 5~12세의 유치원 어린이 147명, 초등학교 어린이 233명, 총 380명의 나안시력과 타각적 굴절 이상도를 측정하고, 환경적 요인들이 어린이 나안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나안시력이 0.1 미만은 3%, 0.1~0.4는 9%, 0.5~0.7은 18%, 0.8~0.9는 16%, 1.0 이상은 54%로 나타났고, 굴절이상은 혼합난시 9.5%, 원시 14.5%, 근시 75.88%, 정시 0.27%로 나타났다. TV 시청시간과 어린이 나안시력과는 시청시간이 많을수록 시력이 저하하였고, 특히 4시간 이상에서 현저하게 나안사력이 저하하는 협상이 나타났다. TV 시청거리와 어린이 나안시력과의 관계에서는 시청거리가 멀어질수록 나안시력이 좋았고, 4m 이상에서는 나안시력이 훨씬 더 좋은 상태로 나타났다. 공부시간과는 유의적인 관계가 없었으며, 주거환경과 어린이 나안시력과의 관계에서는 단독주택에서 사는 어 린 이들이 APT의 어린이들보다 시력이 좋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