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Complexity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2초

Developing Visual Complexity Metrics for Automotive Human-Machine Interfaces

  • Kim, Ji Man;Hwangbo, Hwan;Ji, Yong Gu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5-245
    • /
    • 2015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isual complexity metrics based on theoretical bases. Background: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ies, drivers process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caused by automotive human-machine interface (HMI), such as a cluster, a head-up display, and a center-fascia. In other words, these systems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dynamic than traditional driving systems. Especially, these changes can lead to the increase of visual demands. Thus, a concept and tool is required to evaluate the complicated systems. Method: We reviewed prior studies in order to analyze the visual complexity. Based on complexity studies and human perceptual characteristics, the dimensions characterizing the visual complexity were determined and defined. Results: Based on a framework and complexity dimensions, a set of metrics for quantifying the visual complexity was developed. Conclusion: We suggest metrics in terms of perceived visual complexity that can evaluate the in-vehicle displays. Application: This study can provide the theoretical bases in order to evaluate complicated systems. In addition, it can quantitatively measure the visual complexity of In-vehicle information system and be helpful to design in terms of preventing risks, such as human error and distraction.

웹사이트의 시각적 요소가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eb Sites' Visual factors on Communication)

  • 노방환;이진렬;김현철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1-118
    • /
    • 2001
  • 본 연구의 근본 목적은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복잡성을 사용하는 시각적 요소 수준의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실험에서 커뮤니케이션 효율성을 시험해 보기 위해 복잡성을 사용한 여섯 개 수준의 시각적 요소가 네 개의 아이템(그래픽, 동적인 그래픽, 사이즈, 링크)으로 조절되었다. 연구결과,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은 시각적 요소의 복잡성에 영향을 받았다. 이는 복잡하고 간단한 수준의 시각적 요소보다 적절한 수준의 시각적 요소로 디자인된 웹사이트가 더 선호된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 PDF

정보적 접근방법에 의한 실내공간에서의 시각적 선호도: 예측변수들의 물리적 속성과 선호도와의 관계 (Visual Preference Predictors of interiors in the Informational Approach: its physical attribut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attributes and preference)

  • 노정실;김유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18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re to figure out the physical attributes of the three predictors in the Informational Approach: complexity, coherence, mystery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attributes and the preference exploratively. Visual inspection of the scenes relative to their rated levels of the predictors revealed the existence of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physical attributes.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predictors and the physical attributes: (1) The level of complexity was associated with the pattern of physical attributes which were the amount of facility, line, shape, color plant and arrangement of the visual elements. (2) The level of coherence was related with the regular arrangement of the visual elements. For example, there was certain pattern founded the color, shape, texture was applied to the various space repetitively and symmetrically. (3) The level of mystery had the relationship with the physical attributes of screen, spatial definition, distance of view, physical accessibility, radiant forest, the depth of space.

  • PDF

HDTV를 위한 MPEG-4 비디오 디코딩 복잡도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MPEG-4 Video Decoding Complexity for HDTV)

  • 안성렬;박원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95-598
    • /
    • 2005
  • MPEG-4 Visual은 객체 기반의 동영상 압축 국제 표준으로서 멀티미디어 통신에서부터 HDTV에 이르는 광범위한 응용 분야를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MPEG-4 표준안은 디코더에서 처리 가능한 디코딩 복잡도를 제한하기 위해 3가지 Video Buffering Verifier 모델을 정의하고 있다. 그 중 VCV 모델은 비트스트림을 매크로블록 단위로 디코딩하는 처리 속도에 대한 제한을 정의하고 있으며, 경계와 비경계 MB 두 가지만을 구별하는 VCV와 B-VCV 모델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화된 MPEG-4 Reference Software를 이용하여 직사각형 객체와 임의 형상 객체 그리고 HDTV 해상도를 지원하는 다양한 코딩 타입에 대한 MB 디코딩 시간을 측정하여 디코딩 복잡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디코딩 복잡도가 코딩 타입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며 디코더에서 이용 가능한 리소스의 더욱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 PDF

모바일 쇼핑에서 옵트인의 절차적 복잡성 연구: 아이트래커(eyetracker) 기반 시각적 주의의 조절효과 (The complexity of opt-in procedures in mobile shopping: Moderating effects of visual attention using the eyetracker)

  • 김상후;김예랑;양병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127-135
    • /
    • 2017
  • 소비자들은 모바일 쇼핑에서 개인정보 노출을 염려하지만 동시에 그로 인한 절차 복잡성에 따른 불편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에서 개인정보 사용에 관한 옵트인(opt-in) 절차의 복잡성이 위험지각, 호감도, 재구매 의도와 같은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쇼핑상황을 설정하는 가상의 모바일 웹사이트를 만들고, 개인정보 보호 동의절차의 복잡성을 조작하여 쇼핑행동을 측정하였다. 또한 시각적 주의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아이트래커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정보 사용에 관한 옵트인 절차의 복잡성은 위험지각, 호감도, 재구매 의도와 직접 관련되었고, 호감도와 재구매 의도에서 절차 복잡성의 효과는 시각적 주의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모바일 쇼핑에서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절차적 복잡성과 개인 정보 보호의 균형을 위한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다루었다.

한글 단어 재인에서 시각적 요인에 따른 공간주의의 영향 (The Effect of Spatial Attention in Hangul Word Recognition: Depending on Visual Factors)

  • 이고은;이혜원
    • 인지과학
    • /
    • 제34권1호
    • /
    • pp.1-2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요인에 따라 한글 단어 재인에 미치는 공간주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시각적 요인에 따라 공간주의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단어의 시각적 복잡성(실험 1)과 단어의 밝기 대비(실험 2)를 조작하였다. 단어의 복잡성에 따라 받침이 있는 조건과 받침이 없는 조건으로 나뉘었고, 단어의 대비에 따라 대비가 높은 조건과 대비가 낮은 조건으로 나뉘었다.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하여 공간단서가 표적 위치에 주어지는 경우(타당 시행)와 표적 위치에 주어지지 않는 경우(비타당 시행) 간의 수행 차이를 단서효과로 계산하여 주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단어의 복잡성에 따라서는 단서효과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므로, 공간주의의 영향은 복잡성에 의해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단어의 대비에 따라서는 고대비 조건에 비해 저대비 조건에서 단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대비가 낮을 때 공간주의의 영향이 더 커지는 것은 자극의 신호를 강화시키는 공간주의의 기제로 설명되었다.

한글 글자 유형이 시각 폭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yllable complexity on the visual span of Korean Hangul reading and its relation to reading abilities)

  • 최영은;김태훈
    • 인지과학
    • /
    • 제27권2호
    • /
    • pp.325-353
    • /
    • 2016
  • 읽기의 초기 단계에서 처리되는 글자의 정보량을 지칭하는 시각 폭은 개별 글자의 획수가 증가하거나 폰트의 종류, 고정된 지면에서 차지하는 잉크의 면적, 글자 간의 간격과 같은 복잡성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들이 조합되는 독특한 알파벳-음절 표기법을 사용하는 글자 체계를 가지고 있어 영어나 중국어를 중심으로 한 결과들에 비해, 자모구성의 글자 유형에 따라서도 복잡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특수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글자 쌍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글자의 유형에 따라 한글 읽기 시각 폭의 크기가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여러 글자 유형의 시각 폭 중 읽기 능력의 개인차를 예측하는 글자 유형을 확인해보고자 시각 폭과 읽기 폭, 읽기 유창성, 읽기 이해와의 상관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글자 유형이 복잡해질수록 글자 재인 정확률이 감소하고 시각 폭이 줄어드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자음+모음+자음의 형태가 자음+모음 형태보다 글자 재인율이 높고 시각 폭도 큰 것으로 나타나 자모조합의 복잡성에 따른 영향이 선형적이지 않고 다른 요인이 개입할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자음만 제시한 조건과 CV조건의 글자 재인율은 읽기 이해와 정적 상관을 보여 향후 읽기 능력과 관련한 시각 폭 측정 시 사용할 수 있는 글자 유형으로 나타났다.

A Perception-based Color Correction Method for Multi-view Images

  • Shao, Feng;Jiang, Gangyi;Yu, Mei;Peng, Zongj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2호
    • /
    • pp.390-407
    • /
    • 2011
  • Three-dimensional (3D) video technolog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as it can provide users with high quality and immersive experiences. However, color inconsistency between the camera views is an urgent problem to be solved in multi-view imaging. In this paper, a perception-based color correction method for multi-view images is proposed. In the proposed method, human visual sensitivity (VS) and visual attention (VA) models are incorporated into the correction process. Firstly, the VS property is used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by removing these visual insensitive regions. Secondly, the VA property is used to improve the perceptual quality of local VA regions by performing VA-dependent color correc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compared with other color correction methods, the proposed method can greatly promote the perceptual quality of local VA regions greatly and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obtain higher coding performance.

실시간 시각적 피드백 보행 훈련이 노인들의 보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l-time Visual Feedback Gait Training on Gait Stability in Older Adults)

  • Byun, Kyungseok;Han, Sooji;Bhang, Dawon;Seo, Hyundam;Lee, Hyo Keu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7-253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al-time visual feedback gait training on gait stability in older adults. Method: Twelve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ing divided into 2 groups including a) visual feedback (VF) and b) non-visual feedback (NVF) groups. For 4 weeks, VF performed a treadmill walking training with real-time visual feedback about their postural information while NVF performed a normal treadmill walking training. For evaluations of gait stability, kinematic data of 15-minute treadmill walking were collected from depth-based motion capture system (30 Hz, exbody, Korea). Given that step lengths in both right and left sides were determined based on kinematic data, three variables including step difference, coefficient of variation, approximate entropy were calculated to evaluate gait symmetry, variability and complexity, respectively. Results: For research findings, VF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gait stability after 4-week training in comparison to NVF, particularly in gait symmetry and complexity measures. However, greater improvement in gait variability was observed in NVF than VF. Conclusion: Given that visual feedback walking gives potential effectiveness on gait stability in older adults, gait training with visual feedback may be a robust therapeutic intervention in people with gait disturbances like instability or fa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