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Cognitive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6초

도시 대표경관의 인지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Research on Cognitive Factors of Urban Representative Landscape - Focused on Seoul -)

  • 이창연;김한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3-84
    • /
    • 2010
  • 도시이미지 안에서 대표경관들은 그 도시를 상징하며 사람들에게 그 도시의 도시다움을 느끼게 해주는 도시정체성의 중요한 기간자원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대표경관들이 어떠한 지각-인지의 조건들로 인해 대표성을 획득하게 되는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먼저 서울시를 중심으로 도시 대표경관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종합하여 대표경관들을 도출하고, 그들 각각의 인지요인들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유형별 요인별로 다각적 비교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를 향후 대표경관 계획 및 관리방안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기본방향은 특히 가시적 요인, 심미적 요인, 활동적 요인,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다면적 요인의 분석에 의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의 대표경관의 인지 순위와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고, 이에는 시민들의 문화적 요인에 대한 인식의 비중이 높아진 것이 원인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직 기초적 연구결과이기는 하지만 후속 연구의 보완을 통해 향후 대표경관 계획과 관리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ex-Gaussian 모형을 활용한 인지적 과제의 반응시간 분포 분석 (The ex-Gaussian analysis of reaction time distributions for cognitive experiments)

  • 박형범;현주석
    • 감성과학
    • /
    • 제17권2호
    • /
    • pp.63-76
    • /
    • 2014
  • 대부분의 인지적 과제에서 관찰되는 반응시간 자료의 분포는 정적으로 편포되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반응시간을 종속측정치로 하는 대다수의 연구들은 표본 평균에 근거한 집중경향치 분석에 의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반응시간 자료의 분포특성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어 실험적 처치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추론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평균 반응시간의 변화는 그 분포상 가우시안 및 지수 분포가 혼합된 형태로 나타난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최대우도 추정법에 근거한 ex-Gaussian 모형 검증을 통해 반응시간 분포 특성을 수치화된 파라미터로 산출하고 확률밀도함수를 구현할 수 있다. 분석 사례를 위해 두 가지 고전적 시각탐색과제에서 얻어진 반응시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ex-Gaussian 함수를 통해 탐색배열의 항목개수의 증가가 초래하는 평균 반응시간의 지연효과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수리적 모형을 통한 반응시간 분포 분석은 고전적 집중경향치 분석의 한계를 넘어 반응시간을 활용한 다양한 이론 및 개인차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매체와 인쇄 매체에서의 문단 읽기 속도 비교 (Reading Speed Comparison: Paragraphs in Digital and Print Media)

  • 이고은
    • 인지과학
    • /
    • 제34권4호
    • /
    • pp.299-31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인쇄 매체와 디지털 매체 간 읽기 수행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인쇄물과 태블릿 PC에서 문단의 읽기 속도를 측정하였다. 매체의 물리적 특성이 읽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인쇄 매체와 디지털 매체 간 글의 포맷을 최대한 동일하게 하였다. 또한 문단을 구성하고 있는 문장 길이에 따라 매체 간 읽기 수행 차이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동일한 내용을 긴 문장으로 구성한 조건과 짧은 문장으로 구성한 조건을 비교하였다. 추가적으로 참가자의 작업기억 용량에 따라 읽기 수행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읽기폭 수준에 따른 읽기 속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매체로 읽을 때보다 인쇄 매체로 읽을 때 읽기 속도는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단을 구성하고 있는 문장의 길이에 따라서는 읽기 속도에 차이가 없었다. 읽기폭이 큰 참가자가 읽기폭이 작은 참가자에 비해 읽기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읽기폭이 큰 참가자는 긴 문장으로 된 문단을 디지털 매체보다 인쇄 매체로 더 빠르게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태블릿 PC가 유발하는 시각 피로도와 참가자의 작업기억 용량이 읽기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esearch on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Methodology in IOT Environment

  • Kim, Byung-Taek;Cho, Yun-S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3-6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and quantitative analysis on user's perceived privacy, security, and user satisfaction when providing visualization information about objects and service provider behaviors that users can not perceive in internet service process. Through previous research, we have examined the importance of privacy and security factors as a key factor to be consider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Internet of things. In addition, service blueprint, which is one of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ies to examine the flow of service usage in providing Internet service of things, was examined. In the flow of things internet service utilization, it is found that the things that are out of the user's cognitive area and the behavior of the service provider take up a large part.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the trust of the Internet service securit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experience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security visualization information about the behavior of the object and the invisible service provider in the non-contact aspect of the user and the objec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we conducted experiments and questionnaires on the use of virtual objects' internet environment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m.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visual information feedback on non - contact and invisible objects and service provider's behaviors had a positive effect on user's perceived privacy, security,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we conclude that it can be used as a service design evaluation tool to eliminate psychological anxiety about security and to improve satisfaction in internet service design.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great help for the research on application method of service design method in Internet environment of objects.

반자율주행 차량의 제어권 전환 상황에서 효율적 정보 제공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of Take-Over Request for Semi-Autonomous Vehicles)

  • 박천규;김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70-82
    • /
    • 2022
  • 4단계 이전의 자율주행은 반자율주행 단계로 차량이 주행을 하다가 운전자에게 빠르게 제어권을 넘겨야 하는 상황이 반복적으로 벌어진다. 하지만 지금의 자율주행 차량은 제어권을 넘길 때 일괄적으로 간단한 메시지와 경고음만을 사용해 운전자에게 알림을 주고 있어 개개인의 특성에 대한 고려나 다양한 위급 상황에 대한 설명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 차량의 판단에 대한 시·청각 정보 제공 정도와 운전자의 운전 효능감이 제어권 전환 요청 상황에서 운전자의 판단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제어권 전환 요구 시 제공된 시·청각 정보 조합 방식에 따른 운전자의 인지 부하, 신뢰도, 안전감, 사용성 및 유용성의 설문 항목에서 조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효능감에 따라 제어권 전환 상황에서 요청을 전달하는 효율적인 정보 제공 방식이 달라진다는 인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었다. 급박한 제어권 전환 상황에서 운전자의 특성을 고려한 요청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전자와 소통할 수 있는 자율주행 차량을 설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상의 해상도와 HMD의 휘도가 가상현실 시청 경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age Resolution and HMD Luminance on Virtual Reality Viewing Experience)

  • 이혜진;정동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74-85
    • /
    • 2018
  • 본 연구는 영상의 해상도와 디바이스의 휘도가 다르게 제시된 가상현실 영상 시청 시, 인지된 특성, 프레즌스 그리고 피로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혼합 설계로 구성되었으며, 해상도는 HD, 2K, 4K의 3가지, 휘도는 20, 60, 100의 3가지로 분류하였다. 모든 실험 참여자들은 2분 분량의 영상 3편, 총 6분의 영상을 시청하였으며, 각각의 영상 시청 후 설문에 응답하였다. 해상도와 휘도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를 보고자 하였으나, 해상도와 휘도 간의 상호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해상도와 휘도의 주효과를 분석한 결과, 깊이지각감의 휘도, 시관관여의 해상도 그리고 조절피로의 해상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해상도와 휘도가 높을수록 인지기능, 프레즌스 그리고 피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미디어아트의 재매개화 특성을 통해 본 현대 공간디자인의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method of Contemporary Spatial Design Viewed through the characteristic of Remediation in New Media Art)

  • 정재원;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17-125
    • /
    • 2010
  • Theories and concepts emerging in new media environment are influencing the field of current spatial design. Art and technology have always coexisted, not but they are differentiated in two parts. They show new communicational paradigm in terms of supplementary position each other. The fact that examining the expression method and the communicational structure of today's new media art will be an analytical tool which analyzes the concepts of contemporary spatial design. For this, we attempt to use the Bolter and Gusin's remediation theory as analytical tool. First of all, we consider its theoretical aspects, and then,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 creation method,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ccording to their types. We prepared an framework of analysis using the Remediation theory and its traits. We reviewed the relations between new media and spaces concerning remediation. After researching, we could analyze the cognitive aspects between new media and spaces as immediacy, and recognize the operational aspects of visual image as hypermediacy. Through the analysis, we could recognize the traits that digital environmental simulacres, sense of telepresence, and non-linear hypermediacy etc. remediate with repeating of mediation of mediation.

현대 실내디자인의 하이브리드 미학적 표현기법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 of Hybrid Aesthetics in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 김은지;이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39-47
    • /
    • 2007
  • In comtemporary interior design, hybrid form causes cognitive turnovers of aesthetics. Especially it offers much possibility to expression techniques in interior design and works as compound system, symbolic aggregate that makes and expands various meanings. The aesthetic ideology of hybrid design can be interpreted through the philosphic concept of art, sublime, reception, representation and explains express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 in interior design through various transformation and meaning conversion. The expression techinique that is a form of openness, transcendental interpretation that exceed a dupilicate of meaning. can be classified as oxymoron, defamiliarization and interface. The characteristic that is based on those expressions appears as use of complex codes of visual images, decoding strategy, intertextuality of meaning. This research attitude can explain the thinking method of interior design by defining the epistemological scheme that is basically involved in expressional styles with characteristics of hybrid aesthetics.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the object of aesthetics, hybrid has to be approached by interpretational methods of expression techniques. Consequently the characters of expression techniques in hybrid design can be investigated as one of the methodology in interior design plan.

몰입형 환경에서의 사용자 디자인 과정에 관한 연구 (Users' Design Process in Immersive Environments)

  • 조명은;김미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64-7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immersive environments in the design domain by analyzing students' design process in immersive environments from cognitive and experiential aspects. To do this, we reviewed major concepts and theories such as users' immersion, participation, presence, and awareness and developed a comprehensive conceptual framework of immersive shared environments. In three different visualization systems of HIVE, teams consisting two students were assigned to design tasks and the design process was analyzed by a customized framework.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mersive environment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 task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s is very important, and the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objects is interested in the shape or the material such as whether the object is flat or inclined. Also, it is found that the multi-technology of immersive environments is very useful for creative collaboration. In the future,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ffects on design decisions in a more diverse visual interface condition and the effects on more diverse design areas should be added.

Individual differences in categorical perception: L1 English learners' L2 perception of Korean stops

  • Kong, Eun Jong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63-70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individual variability of L2 learners' categorical judgments of L2 stops by exploring English learners' perceptual processing of two acoustic cues (voice onset time [VOT] and f0) and working memory capacity as sources of variation. As prior research has reported that English speakers' greater use of the redundant cue f0 was responsible for gradient processing of native stops, we examined whether the same processing characteristics would be observed in L2 learners' perception of Korean stops (/t/-/th/). 22 English learners of L2 Korean with a range of L2 proficiency participated in a visual analogue scaling task and demonstrated variable manners of judging the L2 Korean stops: Some were more gradient than others in performing the task.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L2 learners' categorical responses were modestly related to individuals' utilizations of a primary cue for the stop contrast (VOT for L1 English stops and f0 for L2 Korean stops), and were also related to better working memory capacity. Together, the current experimental evidence demonstrates adult L2 learners' top-down processing of stop consonants where linguistic and cognitive resources are devoted to a process of determining abstract phonemic 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