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tor perception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3초

시지각 기반의 공간분석이론에 따른 관람동선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Museum Visitor Circulation with Spatial Analysis Theory base on Visual Perception)

  • 정수영;임채진;윤성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198-205
    • /
    • 2011
  • The study on how visitors of a museum view exhibition is necessary for providing quality experience to the visitors. Previous studies on the movement of visitors of a museum focused on qualitative analysis after the follow-up surve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various ways to us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on the movement of visitors in the museum.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xhibition place and movement of visitors was conducted using programs to produce quantitative results from the space analysis including VAE, VGA, V-ERAM and ESA. VAE and VGA helped to understand the spatial structure and ESA was helpful to predict how the flow of human traffic would be in the museum. If the programs are used all together, it would be easier to quantitatively predict how the How of human traffic would be in an exhibition room. However, this study is in its infancy, so following studies are necessary based on more data and results of analysis in the future.

레스토랑에서의 푸드 코디네이션에 대한 기대요인과 수준에 관한 연구 -$20{\sim}30$대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A Study on Expectation Factor and Level About Food Coordination in Restaurant - For Twenties to Thirties Customers)

  • 안지원;김혜영;고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30-93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ways for practical food coordination, by examining restaurant-visitor' expectation factors for food coordination in restaurants.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collected via survey from the restaurant. visitors. For the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applied, using the SAS 9.1(ver.) program. In the results for the general perception of food coordination, the degree of recognition by restaurant visitors for food coordination is not high. However, necessity for food coordination is highly recognized and a 70% of the respondents were positive in their response about an expropriation price. Fitty percent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a positive respons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effect of the food and a re-visit to the restaurant. Therefore, most restaurant visitors believe food coordination is necessary in restaurants, and expect to pay for it in price.

도시 오픈스페이스 방문동기 및 만족도 연구 - 서울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Visitor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Urban Open Space - In the Case of Waterfront Open Space in Seoul -)

  • 조경진;김용국;김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7-40
    • /
    • 2014
  •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다기능적 공간으로서 시민들의 휴식 및 건강, 자연경관 감상은 물론 예술 문화적 체험과 도시관광 및 마케팅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현대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역할과 기능에 비해 이에 대한 담론과 연구는 미진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은 물론 관광객 등의 원거리 이용 수요가 있는 서울시의 4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방문동기 요인을 도출하고, 오픈스페이스의 공간 특성 및 이용행태에 따라 방문동기와 만족도가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청계천, 서울숲, 선유도공원, 반포한강공원을 선정하였고, 조사방법으로는 관찰조사, 문헌조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방문동기 요인은 크게 커뮤니티성, 자연성, 문화교육성, 디자인 심미성, 일상탈출성 등 5개로 구분되었다. 둘째, 방문동기 요인 중 커뮤니티성, 자연성, 디자인 심미성은 오픈스페이스별 경관, 집객시설 및 프로그램, 편의시설, 주변지역 특성 등의 공간 특성에 따라 방문객들의 지각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문객 거주지로부터 오픈스페이스까지의 거리에 따라 방문동기를 지각하는 데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거리의 방문객은 오픈스페이스의 자연성을, 도시관광객 등 원거리 방문객은 디자인 심미성을 주요 방문동기 요인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넷째, 도시 오픈스페이스 방문객들의 방문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공통적인 방문동기 요인은 자연성, 디자인 심미성, 일상탈출성으로 나타났고, 오픈스페이스별 공간 특성에 따라 방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방문동기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종합해 보면,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휴식 및 운동 등의 단순한 체험을 넘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와 결합한 하이브리드 공간으로서 심미적 욕구, 유대감 형성 및 강화, 문화 및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의 요인들이 방문동기로서 작용하며, 이들 요인이 전체 방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표하는 도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가 방문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를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지자체 입장에서는 매력적인 도시 오픈스페이스 창출을 위한 조성 정비는 물론 운영 관리 과정에 활용할 수 있으며, 오픈스페이스 계획 및 설계가 입장에서는 지역 여건에 부합하는 도시관광 및 마케팅적인 기능을 시설배치 및 공간프로그램 구상 과정에 적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물관 전시공간에서의 관람자 시각행동과 가시영역에 관한 조사 연구 - 부산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isitor's Visual Behavior and Isovist Area in Museum Exhibition Space - Focus on the Busan Museum, Gimhae National Museum -)

  • 유재엽;최준혁;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97-205
    • /
    • 2010
  • For the spatial experience of spectators visiting a museum, the route search of trying to follow the spatial structure or production of exhibition and the information search of trying to see are accomplished at the same time. In such process, the spectator's reaction of visual perception produces the result of emotional reaction and action exchanged between human and space by going through the recognition and perception on the target of environment factor. For the spatial experience of a spectator, the reaction of visual perception which interacts according to the exhibit and exhibition environment within space according to viewing purpose, interest and concern of spectator comes out as visual activity which is an activity to understand the spatial information shown as various activities according to spatial structure and unfolding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Spectator Movement Created According to Structural Form of Exhibition Area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Exhibition Area Structure and Spectator to utilize as basic material while designing museum exhibition using isovist field which is a quantitative analysis tool of spectator's visual behavior and spatial structure at each exhibition area.

국립공원 이용 및 관리 방안에 대한 시민 인식 (Citizens' Perception on and Attitudes toward Use and Management of National Parks in South Korea)

  • 이성훈;구경아;임창민;윤태경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2호
    • /
    • pp.89-104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국립공원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국립공원 관리의 정책 방향을 검토·결정하는데 필요한 국립공원 이용·보전 관리에 대한 시민의 여론을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지금까지 국립공원 이용 및 인식과 관련한 설문 조사, 빅데이터 분석 등이 수행됐으나 공원 관리의 쟁점 사항 및 이용에 관한 조사 문항 등이 부족하며 조사 대상이 탐방객으로 국한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시민들의 국립공원 이용과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제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탐방객을 상대로 진행된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일반 시민들은 고지대 탐방보다는 저지대 탐방을 선호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국립공원에서는 산정부 탐방 금지 정책에 대해 일반 시민들은 현재의 정책을 유지하거나 탐방예약제를 소폭 도입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탐방예약제를 이용해본 시민들의 비율도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탐방객과 일반 시민의 차이점을 고찰하고 공원 관리 원칙과 방향성의 변화, 국민의식과 탐방형태의 변화에 따른 정책여건을 전망하였다.

Liaohe National Park based on big data visualization Visitor Perception Study

  • Qi-Wei Jing;Zi-Yang Liu;Cheng-Kang Zhe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33-142
    • /
    • 2023
  • 국립공원은 세계 자연 보존 연맹(WWF)이 수립한 보호지역 관리 체계의 중요 유형 중 하나이며, 또한 자연 및 문화 유산의 효과적인 보호와 지속적인 이용을 실현하는 세계 각국의 관리 모델이다. 이러한 공원은 보호, 과학 연구, 교육, 레크리에이션 및 지역 개발을 비롯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다. 대용량 데이터의 배경 아래, 본 연구는 전 세계 연안 습지의 대표적인 대상인 중국 랴오하 국립공원을 사례 지역으로 삼아 파이썬 기술을 사용하여 중국의 주요 관광 OTA 사이트 중 하나인 망픈웨이 (Mafengwo), 셰어이(Gonglve), 큐난우(Chujingyou), 메이툰(Meituan) 및 대중점평넷(Dianping)의 관광객 여행기와 댓글을 데이터 소스로 수집하였다. 텍스트 시간 범위는 2015년부터 2022년까지이며, 총 2,998개의 댓글과 166,588개의 단어를 포함하다. ROST 콘텐츠 마이닝 및 Gephi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랴오하 국립공원 방문객의 만족도, 인지 과정, 공선 네트워크, 감정 성향 등을 시각적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야생 동물 및 식물 자원, 강과 바다가 결합 된 자연 경관, 습지 생태는 랴오하 국립공원 방문객의 인식에서 충분히 반영되었다. 방문객은 랴오하 국립공원에 대해 강한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지만, 시설 서비스, 대중교육, 방문객 참여 경험 등에서 여전히 개선할 여지가 있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제도 시행에 따른 방문객 인식 변화: 울릉 화산섬 밭농업 지역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Visitor's Percep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The Field Agricultural Area of the Volcanic Island in Ulleung)

  • 도지윤;정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3호
    • /
    • pp.173-183
    • /
    • 2022
  •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국가중요농업유산(KIAHS; Korean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제도 시행 전후 기간을 비교하여 방문객 인식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제도 도입의 효과와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울릉도와 관련된 인식은 지정 전후 모두 접근성과 관련된 키워드가 상위 키워드로 도출되었으며, 특히 지정 이후 다양한 접근 방법과 새로운 개항 등의 키워드를 찾아볼 수 있었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 이후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하였으며, 호감의 인식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공통적으로 정확한 작물의 이름과 화산섬에 대한 키워드가 나타났으나, 지정 이후의 중심성 분석 결과에서 영향력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전통지식 보전과 이를 활용한 전통 농업문화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뵈메의 감성학을 통한 올라퍼 엘리아슨 공간의 지각적 분위기 체험 연구 (A Spatial Study about Olafur Eliasson's Emotional Atmospheric Experience of Gernot Böhme's Aesthetics)

  • 장수민;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108-115
    • /
    • 2018
  • The atmosphere is a popular word in everyday life. There is often an atmosphere when we enter a particular place. As if to say, The mood is perceived as an emotional and subjective word. Atmosphere is subjective and there are different feelings, but there are definitely certain feelings that people can relate to. The researcher examines the question in the paper and analyzes how the atmosphere in the space could be explained. So I will research about $B{\ddot{o}}hme^{\prime}s$ aesthetics which is called atmosphere. and analysis how his atmosphere is applied in nowadays art. So this study has two purposes. First is the notion of the atmosphere, not the atmosphere of rational perspective, it's about emotional and perceptual experiences. Therefore a connection about audience and arts is the most important focus in atmosphere. So the other purpose is Olafur Eliasson's Atmosphere. he is an artist about this perception. His work requires spectator intervention and participation to make it a perfect art. There is also a element in Eliasson's philosophy, in which the perceptual experiences of visitor's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nd the viewer, and eliminates the boundary as a perceptual expression.

박물관 전시공간에 있어 인터렉티브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ve Design Application of Exhibition Space in Museum)

  • 주광춘;박광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2-177
    • /
    • 2005
  • What kind of information is it got in an exhibition space? And any order is determined and can read an exhibition? Is application possible with interactive design in an exhibition space? All elements must be reflected in an information design in addition to a biological process and perception process. Various uncertainty, a little information about exhibition contents and negative attitude, various ways of thinking, time physical a few psychological fatigue, uncertain target will be for these reasons. When configuration of a space and a human biological element are satisfied in an information design by physical configuration, maximization of a communication between exhibition water and visitor firm names will consist in a museum.

  • PDF

박물관에서의 시지각 요소와 관람동선의 상관관계 연구 - 컴퓨터그래픽 응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Elements and Visitor's Movements in Museum - Focused on the Implementation with Computer Graphics -)

  • 김진규;최윤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7호
    • /
    • pp.144-150
    • /
    • 2003
  • Human being is experiencing the spaces with constant moves. The process of delivering information is worked by vision and perception communications. The aim of this specialized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es of constructed experiences which visitors may choose the directions in the museum. Abstracting and investigating the recognizable and visual elements, we examine how those elements influence the audiences moving choices which reflect the propensity of people through mostly the experimental research. These cases would show the more effective results with proper harmony of different characters. To analyzing and adapt the recognizable and visual elements which effect the audiences moves from starting point, this research suggests the directions of plans in active spaces which would help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bjects In the museums and people. This research is the basic study of maximiz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audiences and exhib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