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ble Korean

검색결과 4,598건 처리시간 0.036초

산소 결함형 $TiO_2$ 분말의 가시광에 대한 광촉매 활성 (Photocatalytic Activity of $TiO_2$ Powder with an Oxygen Deficiency in the Visible-Light Region)

  • 양천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
    • /
    • 2007
  • It prepared the $TiO_2$ powder which has photo-catalytic activity in the visible-light by the wet process with titanium oxysulfate. The titanium $dioxide(TiO_2)$ by the wet process creates a new absorption band in the visible light region, and is expected to create photocatalytic activity in this region. Anatase $TiO_2$ powder which has photocatalytic activity in the visible light region, is treated using microwave and radio-frequency(RF) plasma. But, the $TiO_2$ powder for the visible light region, which also can be easily produced by wet process. The wet process $TiO_2$ absorbed visible light between 400nm and 600nm, and showed a high activity in this region, as measured by the oxidation removal of aceton from the gas phase. The AH-380 sample appears the yellow color to be strong, the catalytic activity in the visible ray was excellent in comparison with the plasma-treated $TiO_2$. The AH-380 $TiO_2$ powder, which can be easily produced on a large scale, is expected to have higher efficiency in utilizing solar energy than the plasma-treated $TiO_2$ powder.

Analysis of Energy Flow and Barrier Rib Height Effect using Ray-Optics Incorporated Three-dimensional PDP Cell Simulation

  • Chung, Woo-Joon;Jeong, Dong-Cheol;Whang, Ki-Woon;Park, Jae-Hyeung;Lee, Byoung-Ho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2권4호
    • /
    • pp.46-51
    • /
    • 2001
  • Using ray-optics code incorporated with three-dimensional PDP cell simulation, we have analysed the energy flow in the PDP cell from the electric power input to the visible light output. Also, the visible light output profile and viewing angle distribution were obtained. We applied our code to the analysis of the barrier rib height effect on the visible light luminance and efficiency of the sustaining discharge. Although cells with higher barrier rib generate more VUV photons, less ratio of visible photons are emitted toward front panel due to the shadow effect. Thus, there exists optimal barrier rib height giving the highest visible luminance and efficiency. This kind of code can be a powerful tool in designing cell geometry.

  • PDF

졸-겔법으로 제조된 Bismuth ferrite의 가시광 광촉매 특성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Bismuth Ferrite Prepared By Sol-Gel Method)

  • 박병건;정경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3호
    • /
    • pp.486-492
    • /
    • 2020
  • 가시광 LED 빛에 반응하는 페로브스이트형 bismuth ferrite (BFO) 광촉매 제조방법과 가시광 광촉매 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BFO는 졸-겔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된 BFO는 주로 BiFeO3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Bi24Fe2O39 구조도 포함한 나노 크기의 결정을 이루고 있었다. BFO 나노 결정은 약 600 nm까지 자외선과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것을 UV-visible 확산 반사 스펙트럼으로부터 확인하였다. 확산 반사 스펙트럼으로부터 구한 BFO의 밴드갭은 약 2.2 eV로 나타났다. 포름알데히드는 585 nm와 613 nm 파장의 가시광 LED 램프의 빛과 BFO 광촉매와의 광반응에 의하여 분해되어 제거되었다. BFO의 가시광 LED 빛에서 광촉매 활성은 BFO의 좁은 밴드갭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원적외선 영상의 열 정보를 고려한 가시광 영상 개선 방법 (Visible Image Enhancement Method Considering Thermal Information from Infrared Image)

  • 김선걸;강행봉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50-558
    • /
    • 2013
  • 가시광 영상과 원적외선 영상은 각각 질감 정보와 열 정보를 가지므로 서로 다른 정보를 표현한다. 그러므로 가시광 영상 개선을 위해 가시광 영상의 정보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가시광 영상에서 존재하지 않는 원적외선 영상의 열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효과적인 가시광 영상 개선을 위해 가시광 영상에서 개선이 필요한 정도에 따라 가중치 맵을 만든다. 가중치 맵은 채도와 밝기를 이용하여 계산하며 원적외선 영상에서 열 정보를 고려하여 값을 조정한다. 마지막으로 조정된 가중치 맵을 이용하여 원적외선 영상의 정보와 가시광 영상의 정보를 융합함으로써 두 영상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포함한 결과 영상을 생성한다. 실험결과에서는 가시광 영상에서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원적외선 영상 정보와의 융합으로 원본의 가시광 영상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여준다.

가시광 무선인식장치에서 비트간 잡음검출에 의한 잡음광의 영향 감소 (Reducing the Effects of Noise Light Using Inter-Bit Noise Detection in a Visible Light Identification System)

  • 황다현;이성호
    • 센서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12-419
    • /
    • 2011
  • In this paper, we used the inter-bit noise detection method in order to reduce the effects of noise light in a visible light identification system that uses a visible LED as a carrier source. A visible light identification system consists of a reader and a transponder. When the enable signal from the reader is detected, the transponder encodes the response data in RZ(Return-to-Zero) bit stream and sends response signal by modulating a visible LED. The reader detects the response signal mixed with noise light, samples the noise voltage in each blank low time between data bits of the RZ signal, and recovers the original data by subtracting the sampled noise from the received signal. In experiments, we improved the signal-to-noise ratio by 20dB using the inter-bit noise detection method.

가시광 통신의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릴레이 모듈 구현 (Implementation of a Relay Module for Coverage Extension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 이상권;이종성;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38-740
    • /
    • 2017
  • 가시광 통신은 빛을 사용한 통신방식이며, RF 통신에 비해 단일 공간 내 보안성을 보장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빛의 가시선을 벗어난 영역의 경우 통신단절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시광 통신의 커버리지 확장과 통신단절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릴레이 모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릴레이 모듈은 target ID를 포함한 데이터 패킷을 인접한 가시광 모듈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데이터 전송 실험을 통해 전송범위의 확장과 가시선을 벗어난 영역에서의 데이터 수신을 확인하였다.

  • PDF

Mn-TiO2 촉매의 가시광촉매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n-TiO2 catalyst for visible-light photocatalyst)

  • 김문찬
    • 분석과학
    • /
    • 제24권6호
    • /
    • pp.493-50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가시광촉매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촉매를 제조하여 촉매를 특성화 하였으며, toluene, xylene, MEK (methyl ethyl ketone), ammonia를 반응물로 하여 기존의 UV-광촉매와 분해능을 비교 실험하였다. UV-광촉매는 파장범위가 280~360 nm 근처에서 광촉매가 활성화된다. 그러나 가시광촉매는 가시광영역인 400~750 nm의 파장영역에서도 광촉매가 활성화 된다. 이것을 UV-Vis 흡수도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가시광촉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재료로 도핑하는데, 여기서는 망간에 Pt를 부가하여 성능향상을 꾀하였다. Pt를 첨가한 가시광 촉매의 경우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바인더로 MTMS (methyl tri methoxy silane)를 사용하였으며 바인더양에 따른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MTMS 함량이 증가할수록 접촉각이 커졌다. 따라서 친수성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Mn-$TiO_2$ 촉매의 항균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센서 및 가시광 통신 기반 위치 추정 기술 (Localization Techniques Based on Image Sensor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 Le, Nam-Tuan;Ifthekhar, Md. Shareef;Mondal, Ratan Kumar;Jang, Yeong Min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호
    • /
    • pp.37-41
    • /
    • 2016
  • Localization is one of the key issues of demandable applications, especially smart services. Beside the traditional GPS based localization technique, the localization issue by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is promising market because of possibility of combin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with positioning technique for a high accurate, especially indoor localization service. This paper provides the overview and new image sensor scheme for localization issue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he survey is introduced from core techniques to enhancement issues of localization. We hope these will be the essential references for the impact selection method in implementation and standardization issues.

달 관측 영상을 이용한 천리안위성 기상탑재체 가시채널 검출기의 성능감쇄 분석 (Degradation Monitoring of Visible Channel Detectors on COMS MI Using Moon Observation Images)

  • 서석배;진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5-121
    • /
    • 2013
  • 천리안위성은 대한민국에서 개발한 최초의 정지궤도위성으로 궤도상 시험을 완료하고 통신, 해양, 기상임무에 대한 정상운영을 수행하고 있으며, 천리안위성의 기상탑재체는 지구 및 주변의 가시채널 및 적외채널 영상을 취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천리안위성 가시채널 검출기의 성능 분석방법을 설명하고, 2년의 운영기간동안 성능 분석결과를 설명한다. 가시채널 검출기의 성능은 검출기에서 취득한 결과 및 ROLO 모델 기반의 결과를 이용해서 계산할 수 있으며, 분석을 통해서 검출기의 성능은 정상임을 확인하였다.

LED IT 기반의 간편한 비캐리어 가시광 통신 시스템 구현 (Realization of Non-carrie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based upon LED IT)

  • 임경순;방성근;이용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9B호
    • /
    • pp.1117-1125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을 이용한 간편한 가시광 통신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비 캐리어 NRZ-OOK(non-return to zero on off keying) 변조 방식을 사용하고, 가시광 송신을 위한 발광소자인 $3{\times}3$ 백색 LED 배열과 가시광 수신을 위한 여러 가지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송수신 소자사이의 거리가 약 2.5m이고, 전체 시스템 속도가 115.2kbps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가시광 시스템을 설계하여 구현 한다.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분석을 위해 LED 와 포토다이오드 종류, LED 배열 수, 전송속도 따른 최대 송수신 거리를 구하고 여러 가지 구현시스템의 성능을 실험을 통해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