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Water Trad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2초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Grain Virtual Water Trade: An Empirical Analysis using Decomposition and Decoupling Model

  • Golden Odey;Bashir Adelodun;Seulgi Lee;Kyung Sook Choi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94-394
    • /
    • 2023
  • The world's sustainable growth is being severely hampered by the inefficient use of water resources. Despite the widely acknowledged importance of trade in global and regional water and food security, societal reliance on local production as well as international trade remains inadequately assessed. Therefore, using South Korea as a case study, this study fills in this research gap by applying the virtual water concept, the logarithmic mean divisia index (LMDI) method, and the Tapio decoupling model. The virtual water concept was used to estimate South Korea's net virtual water trade for major grain crops from 1992 to 2017. Then, the LMDI method was utilized to assess the driving factors causing changes in net virtual water trade. Lastly, the Tapio decoupling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ecoupling relationships between economic growth and the driving factors of net virtual water trade. Results showed that South Korea remains a net importer of virtual water flows with respect to grain crops, with an average import of 16,559.24 million m3 over the study period. In addition, the change in net virtual water trade could be attributed to water intensity effect, product structure effect, economic effect, and population effect. However, water intensity and economic effects were the major decisive factors for decrease and increase in net virtual water trade respectively, while the population and product structure effects had minor positive influences on the net virtual water trade. Furthermore, water intensity and economic growth showed a strong decoupling in most periods, while the decoupling state between product structure and economic growth was observed as expansive negative decoupling. Likewise, population size and economic growth showed a weak decoupling in most periods. The results reveal South Korea's status as it concerns the virtual water trade of grain crops, thu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into the sustainability of trade activities for the management of local water resources.

  • PDF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Indicators of Virtual Water Trade: A Review

  • Odey, Golden;Adelodun, Bashir;Kim, Sang Hyun;Choi, Kyung Soo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1-211
    • /
    • 2020
  • The concept of virtual water has been largely applied in the study of regional, national, and global water flow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water scarcity. Despite water traditionally being managed locally, certain global forces influence the local water resource scarcity/availability and hence virtual water exchanges worldwide. It is therefore of necessity that the significant forces be examin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vailable water in a region and the variability and trends in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factors that are of utmost importance in the formulation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policies. This study therefore reviewed recent literature from 2003 - 2019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indicators of virtual water trade at different spatiotemporal levels. The study examined and compared the major approaches to virtual water trade flows accounting, and also identified and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options concerning the analysis of virtual water trade. Available information has shown that virtual water trad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conomic (GDP, Demand-Supply of goods and services), geographical (Distance), institutional (population) and environmental (water availability, arable land, precipitation) factors. Reports further show that the selection of a given approach for virtual water trade flows accounting will depend on the scope of the study, the available datasets, and other research preference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doption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virtual water trad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water resources availability and the complexity of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factors will be pivotal for establishing the basis for the conservation of water resources worldwide.

  • PDF

Assessing the Impact of Virtual Water Trade on Water and Land Security

  • Odey, Golden;Adelodun, Bashir;Adeyemi, Khalid;Choi, Kyung Soo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1-161
    • /
    • 2022
  • Despite the impressive development of water infrastructure and management in recent decades, Korea still faces a number of threats to water security owing to such factors as climate change. This puts the country at the top spot amongst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untries in terms of water stress. It is suggested that increasing food imports and decreasing domestic food production can contribute to water and land savings and in extension, to increased water and land security. This study therefore aimed at analyzing the impact of virtual water import through food trade on the water and land savings in Korea. It was concluded that over the period 2000 - 2017, significant amounts of national water and land was saved through the importation of major upland crops. In addition, we estimated the virtual water trade (VWT) that refers to the trade of water embedded in food product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mount of virtual water traded over the study period.

  • PDF

국제 물거래 대비 가상수 거래량 산정 : 국내 물발자국 적용값 도출 (Calculating virtual water for international water transactions: deriving water footprints in South Korea)

  • 박성제;이민현;박계영;안요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spc1호
    • /
    • pp.765-772
    • /
    • 2020
  • 수자원 수급계획은 보통 물수지분석에서 파악된 수자원의 양에 따라 수립한다. 그러나 그것은 상품의 이동과 같은 국제교역을 고려하지 않은 폐쇄적인 수급계획이다. 물수지분석에 가상수 개념을 도입하면 상품의 수출량과 수입량을 고려한 수자원 수급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기존에 활용하는 직접적인 물 사용(지역 내에서 가용한 각종 수자원)과 가상수를 고려한 간접적인 물 사용(지역 외에서 수입한 상품생산에 소요된 타 지역의 수자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 가상수의 개념이 국가 수자원계획 수립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않고 있다. 국내외에서 발표된 가상수 산정연구 논문에서는 가상수 산정과정이 생략되거나 일부만 제시된 사례가 많다. 따라서 가상수의 산정과정 및 거래량의 적절성을 파악하여 실무에 활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수출입하는 가상수량 산정을 위한 물발자국 적용값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농축산물의 국제 이동량, 물발자국 적용값, 가상수 거래량을 파악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이를 기존연구와 비교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산정과정과 산정기준은 물발자국 및 가상수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국제 물거래 대비 가상수 거래량 산정 : 한국 중심 국제교역량 분석 (Calculating virtual water for international water transactions : Korea focused international trade analysis)

  • 박성제;이민현;박계영;신지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9호
    • /
    • pp.691-699
    • /
    • 2020
  • 한국은 좁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거주하여 1인당 가용 수자원량이 세계 평균에 비하여 매우 적다. 이에 따라 국민 개개인이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수자원의 확보가 절실하다. 더구나 한국은 이미 선진화된 공업국가로서 농업에 대한 국가경제의 의존도가 크게 낮아졌다. 따라서 한국은 외국의 수자원을 활용하지 않으면 국민 개개인에게 현재와 같은 식생활 수준에 맞는 농축산물의 제공이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아직 가상수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수자원계획 수립에서 가상수의 국제교역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한국을 중심으로 교류하는 가상수의 국제적인 흐름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세계 248개국과의 국가별, 품목별 가상수 수출입 거래량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농축산물 가상수의 국제교역은 수입량이 수출량보다 월등히 많고, 수입 가상수는 농산물 부산물을 수입하면서 발생하는 양이 월등히 많았다. 2018년 한국이 전 세계에서 수입한 가상수량은 722억 ㎥으로 수출한 가상수량 25억 ㎥에 비해 무려 29배나 많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에서 수립되는 국가 수자원계획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 가상수량 산정방법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Virtual Water Calculation Method in Korea)

  • 안재현;이재근;이승호;홍일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583-595
    • /
    • 2010
  • 가상수(假想水, Virtual Water)란 일정량의 농산물, 축산물, 공산품과 같은 생산품 혹은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물의양을 뜻하는 것으로 1990년대 초반 Tony Allan 교수가 처음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Chapagain and Hoekstra (2004)이 제시한 농축산물 및 공산품의 단위 가상수량 산정방법을 분석 및 적용하여 1998년부터 2007년까지 우리나라의 가상수 수출입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가상수 수출입을 국가간 정량화하는 방법론으로 물발자국(Water Footprint) 이론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2006년 우리나라 농작물 생산량에 단위 가상수량을 적용하여 수자원장기종합계획(건설교통부, 2006)의 농업용수 수요량과 비교함으로써 단위 가상수 사용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우리나라는 연평균 320억 $m^3$의 가상수를 농축산물 및 공산품의 무역을 통하여 순수입하고 있으며 그 양은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생산되는 농작물의 가상수량과 농업용수 수요량의 차이는 약 6억 $m^3$으로서 전체 수요량이 약 160억 $m^3$인 점을 감안한다면 상대적으로 근소한 차이로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단위 가상수량 산정방법이 타당함을 입증하였다.

국가별 수자원평가지표 비교 평가 (Comparative Analysis of Countries based on Water Evaluation Indicators)

  • 최시중;이동률;김휘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839-843
    • /
    • 2004
  • 최근 들어 수자원 계획과 관리에 대한 평가를 위해 수문, 사회, 경제 및 환경 지표들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다. 이를 통해 수자원의 여건을 여러 지표들을 통합한 통합지표로 평가함으로서 객관적이고 투명한 결과로 도출하고자 하고 있다. 여러 국제기구 및 연구단체에서는 최근 논의가 되고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평가하기 위해 각 국가별 자료를 수집하여 지표분석을 통해 각 국가별 상황을 제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통합지표로는 WPI(Water Poverty Index), HDI(Human Development Index)와 ESI(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OECD, SEI 등과 같은 국제기구들이 여러개별 지표들을 통하여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고 있다. 또한 가상의 물 교역(virtual water trade)을 통해 개발된 지표들을 이용하여 각 나라의 수자원 현황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되었던 경제, 사회의 통합지표인 HDI, 환경 통합지표인 ESI, 수자원관련 통합지표인 WPI 등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여 보았다. 또한 Virtual Water Trade를 통해 국가별 수자원 현황을 평가하였고 여러 개별지표 등을 통해 수자원 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환경 등 여러분야에 대해 우리나라의 상황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정확하게는 분석이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정책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고 생각된다. 또한 국내, 외의 여러 지표를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우리나라의 수자원을 평가할 수 있는 통합적인 수자원관련 지표 개발에 많은 도움을 주었으리라 사료된다.DEM 자료로 변환하였다. 또한 유역의 고도차를 이용한 흐름특성 분석을 위해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유역흐름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TOPAZ(Topographic PArameteri-Z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TOPAZ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된 각 격자별 분포형 수문 매개변수는 적합한 관계식을 통해 분포형 유출량을 모의하는데 적용된다.다 정확한 유입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이 작은 오차를 발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퍼프 모형이 입자모형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계산을 통해서도 작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aussian 분포를 갖는 퍼프모형은 전단흐름에서의 긴 유선형 농도분포를 모의할 수 없었고, 이에 관한 오차는 전단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흐름영역에서 장${\cdot}$단점 분석 및 오차해석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Lagrangian 모형의 장점만을 갖는 모형결합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

  • PDF

한국의 밭작물 생산에서의 물발자국 산정 (Estimation of Water Footprint for Upland Crop Production in Korea)

  • 유승환;이상현;최진용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3호
    • /
    • pp.65-74
    • /
    • 2014
  • Water footprint is defined as the total volume of direct and indirect water used to produce a good and service by consumer or producer, and measured at the point of production based on virtual water concept. The green and blue water footprint refers to the volume of the rainwater and the irrigation water consumed, respectively. Crop water footprint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policies at production, consumption and trade aspect. Thus, it is necessary to estimate suitable green and blue water footprint for South Korea.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quantify the green and blue water footprint and usage of upland crops during the period 2001-2010. To estimate the water footprint, 43 upland crop production quantity and harvested area data were collected for 10 years and FAO Penman-Monteith equation was adopted for calculating crop water requirement. As the results, the water footprint of cereals, vegetables, fruits and oil crops accounted for 1,994, 165, 605, and 4,226 $m^3/ton$, respectively. The usage of water footprint for crop production has been estimated at 3,499 (green water) and 216 (blue water) $Mm^3/yr$ on average showing a tendency to decrease. Fruits and vegetables have the largest share in the green water usage, consuming about 1,200 and 1,060 $Mm^3/yr$ which are about 65 % of gross us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nderstood by the agricultural water footprint as well as by the total water footprint from both a production and consumption perspective in Korea.

모바일하버 운영을 위한 국내 무역항 후보지 분석 (Analysis of Site Condition in Domestic Trade Port for Operation of Mobile Harbor)

  • 이중우;국승기;정대득;양상용;김태형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781-786
    • /
    • 2010
  • 본 연구에서 하역크레인을 장착하여 모선과 연안항만간 컨테이너를 단거리 운송하는 것으로 새로운 개념의 해상운송시스템인 모바일하버를 소개하였다. 초대형 컨테이너선박이 직접 연안항만에 접이안하는 대신에 모바일하버가 해안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모선이 정박하기에 수심여건이 양호한 작업장까지만 이동한다. 따라서, 모바일하버의 적용을 위한 국내 무역항의 해안환경, 기술적 조건 및 한계에 대한 조사는 필연적 과정이다. 모바일하버의 접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조건, 화물하역처리능력, 해상교통량 및 교통류를 해상교통시뮬레이션 및 가상항로표지시스템의 툴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한 정보의 분석과 적용서의 평가를 통해 최적수준의 남해안 및 동해안 무역항에 대한 모바일하버 정박장은 (1) 기상 및 해상자연환경조건면에서 마산항, 울산항, 부산신항의 순으로, (2) 해상교통 및 수역시설여건의 조건에서는 목포, 부산신항, 동해묵호항의 순으로, (3) 화물처리의 현장능력 및 지역무역항의 운영실태분석으로는 부산권, 여수광양권, 목포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최적의 항만 및 작업장 선정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모바일하버가 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초대형선박과 모바일하버의 접안 및 화물작업이 이루어지는 해역에서 해상교통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선박자동식별시스템 등 가상항행보조시설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