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Reality Program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on upper limb strength, active joint range of motion 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 virtual reality training

  • Kim, Dong-Hoon;Lee, Suk-Mi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9권3호
    • /
    • pp.171-177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pper limb strength, active joint range of motion (AROM), and upper limb function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using virtual reality training in combination with upper limb sensory stimulation. Design: Two-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s: 20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10, the sensory motor st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training (SMVR) and virtual reality training (VR) groups. The training was conducted for 30 minutes per session,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The participants' upper limb strength was measured via the hand-held dynamometer, joint angle AROM was measured via dual inclinometer, function was measured using the Jebson-Taylor hand function test and the manual function test.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l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for upper extremity strength, AROM, and function (p<0.05). Between the two groups, the SMVR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muscle strength, AROM, and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scores compared with the VR groups (p<0.05).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sensory stimulation and VR had positive effects on upper extremity strength, AROM, and function of persons with chronic stroke. Th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future, VR in combination with sensory stimulation of the upper limb is likely to become an effective method (a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upper limb function of persons with chronic stroke.

몰입형 가상현실 영어 회화 학습이 언어불안감과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mersive Virtual Reality English Conversations on Language Anxiety and Learning Achievement)

  • 정지연;정혜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21-33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사용한 영어 회화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몰입형 가상현실과 모바일 기기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학습자는 가상 캐릭터와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회화 패턴을 9 개의 에피소드에 걸쳐 학습하였다. 학습을 시작하기 전(사전)과 모든 학습을 마친 뒤(사후)의 언어불안감을 비교한 결과, 언어불안감은 몰입형 가상현실과 모바일 조건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몰입형 가상현실 조건에서 언어불안감이 더욱 크게 감소하였다. 학습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해 각 에피소드에서 회화 패턴을 학습하기 이전의 반응(1단계)과 가상 캐릭터와의 회화 학습이 일어난 후의 문장(4단계)을 문장 길이, 적절성 및 정확성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조건 모두 1단계보다 4단계에서 문장 길이, 적절성, 정확성이 향상되었다. 그 중 문장 길이는 몰입형 가상현실 조건에서 더욱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몰입형 가상현실이 학습자가 영어 회화 학습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언어불안감 감소 및 회화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가상현실에서 댄스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우울 및 일상 생활 동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ance Sports in Virtual Reality on Balance, Depression and ADL in Stroke Patients)

  • 김용남;이동규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5권5호
    • /
    • pp.360-365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dance sports in virtual reality on balance,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stroke patients. Methods: Subjects of the research consisted of 18 stroke patients who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nine patients each. All subjects underwent 30 minutes of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NDT) and 15 minute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five days per week for a period of six weeks.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n extra 30 minutes of dance sports in virtual reality each day. Balance, depression, and ADL of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ere measured using Berg's balance scale (BBS),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Modified Barthel index (MBI), respectively. For comparisone of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applied and for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mannn-whitney U test was applied. Result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depression, and ADL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p<0.05). As a control of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erformed extra dance sports in virtual rea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depression, and ADL(p<0.05). Conclusion: Depending on the result, a dance sport in virtual reality was verified to enhance balance, depression, and ADL in stroke patients. Therefore, from now on, need for effective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using dance sports in virtual reality will arise.

작업치료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가상현실 치료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Feasibility of Virtual Reality for Enhance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Post Stroke)

  • 권재성;양노열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2호
    • /
    • pp.35-4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뇌 가소성을 동반한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강도 높은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집중치료로써 임상적으로 유용한 훈련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 사용-의존성 즉 운동 강도와 반복은 마비 측 사지의 운동 기능향상에 중요한 치료적 요소이다. 최근에는 상지의 지속적 사용을 통한 뇌-가소성에 기반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가상현실 치료가 대두되었다. 가상현실 치료는 재활 임상환경에서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강도와 반복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으로 채택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적 유용성 측면에서는 강도 높은 반복적 훈련이 가능하다는 것과 게임 같은 형식으로 높은 동기부여가 가능하다는 것, 실제 수행을 통한 다중감각적 피드백 제공, 상호작용이 가능한 과제지향적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임상 환경에서 작업치료와 더불어 부가적으로 가상현실 치료를 실시하는 것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회복을 더욱 촉진할 것이다.

Effects of Robot-Mediated Gait Training Combined with Virtual Reality System on Muscle Activity: A Case Series Research

  • Heo, Seoyoon;Kim, Mooki;Choi, Wansuk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21-2027
    • /
    • 2020
  • Background: Previous robot-mediated gait training has been proven several limitations such as pointless repeated motion training, decreased presence, etc. In this research, adult stroke patients were participated in robot-mediated gait training accompanied with or without virtual reality program. Objectives: Exploring whether the results indicated virtual reality system has contribution to muscle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Design: A case series research, cross-over trial. Methods: Eleven participants (male 4, female 7) with adults diagnosed as stroke from medical doctor ware engaged. The participants received 2 treatment sessions of identical duration, robot-assisted gait training with virtual reality and robot-assisted gait training with screen-off randomly crossed over include 1-day for each person of wash-out period. The parameter was muscle activity, the researchers assessed sEMG (surface electromyography). Results: The result showed less muscle activities during training in robot-assisted gait training with virtual reality circumstances, and these indicated muscles were gluteus medius muscle, vastus medialis muscle, vastus intermedius and vastus lateralis muscle, semimembranosus muscle, gastrocnemius-lateral head, and soleus muscle (P<.05). Conclus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outcome of muscle activity for clinical inference of robot-assisted gait training with virtual reality (VR). Less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in the treatment accompanied by VR, therefore, a more systematic, in-depth and well-founded level of follow-up research is needed.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학습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on Learning Motivation)

  • 김우겸;최동열;곽승철;김희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3호
    • /
    • pp.271-283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과학 교과의 지질 단원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소재 과학고등학교 1학년 91명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지질학습장 일부에 대하여 제작된 가상현실 학습 자료로 15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때 학습 동기 전략 ARCS를 사용하였다. 수업을 진행하기 전 사전검사를 한 다음 수업 진행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과학 교과 지질단원의 핵심 개념 요소가 포함된 우리나라의 지질학습장을 선택하여 가상현실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함으로서 야외답사의 단점인 시간, 거리,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지구과학 교과 수업에 가상현실 기술의 활용은 학습자의 학습 동기 요소 중 주의집중, 만족감, 자신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학생들은 학습 활동에 대한 흥미와 몰입, 주의집중 향상에 도움이 된다.

문제중심학습 기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유사실험 연구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a non-randomized trial)

  • 송영아;김민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9-23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based proble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in the nursing care of women undergoing induction of labor.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52 nursing students (2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ook a problem-based learning (PBL) class in the first week, and then engaged in self-directed learning us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In the second week, lectures about emergency nursing care for induction of labor and drug administration were give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PBL in the first week and lectures in the second week.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17 to May 19, 2023.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Fisher exact 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independent t-test. Results: Before-and-afte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oblem solving ability (t=-5.47, p<.001) and self-efficacy (t=-5.87, p<.001). Critical thinking ability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score for satisfaction with the virtual reality simulation program was 3.64±5.88 out of 5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PBL education using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way of teaching. Although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PBL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strategy to enhance nurs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가상현실을 활용한 간호교육의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A Systematic Review)

  • 김선경;엄미란;박미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61-670
    • /
    • 2019
  •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술을 간호교육에 활용한 연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체계적 문헌고찰이다. 연구대상 논문은 2018년도 11월 까지 출간된 논문으로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PubMed, Proquest (nursing and allied health), CINAHL, RISS를 활용한 문헌검색이 이루어졌다. 검색어로는 'nursing education', 'simulation', 'skill training', 'virtual reality', 'VR'을 사용하였다. 총 695개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최종 7편의 문헌이 포함되었다. 7편 중 5편은 비동등성 대조군 실험설계 연구였으며 2편은 단일군 설계 연구였다. 이중 2편은 수기술 교육에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였으며 5편은 시나리오를 활용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이었다. 측정된 결과 변수는 수기술 능력, 지식, 총 VR 활용 학습시간,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능력이었고, 대체로 긍정적인 결과가 확인되었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도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간호교육의 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으나 향후 체계적인 측정과정이 포함된 중재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수기술 교육프로그램과 시뮬레이션 교육과의 체계적인 비교연구를 통해 비용 등의 효과에 대한 근거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치매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Virtual Reality Program for Dementia Education)

  • 김수현;박희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195-202
    • /
    • 2021
  • 본 연구는 치매교육으로 제공한 국내·외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특성, 효과, 적용 전략 등을 확인하는 체계적고찰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2020년 7월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문헌을 대상으로 국외는 CINAHL, Cochrane, EMBASE, Pubmed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국내는 RISS, KISS, DBpia에 대한 검색을 시행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근거로 최종 6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선정된 문헌의 연구대상자는 비전문 간병인 2편(33.3%), 일반인 1편(16.7%), 간호학생과 의학 및 약학대 학생을 포함한 학생들 3편(50.0%)이었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총 5개(공감능력, 치매 지식과 편안감을 포함한 치매태도,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뢰, 양자관계척도)영역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 중 공감능력에 대한 평가가 가장 많았으며 공감능력을 측정한 연구의 75%에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공감을 기반으로 한 인간중심적 간호에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상현실 기반 여성건강간호학 실습교육이 메타인지와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혼합연구 방법 (Effect of Virtual Reality Women Health Nursing Practicum on Meta-cognition and Critical Thinking: Mixed Method Study)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481-48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간호 대학생이 가상현실을 적용하여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교육과정을 적용한 후 메타인지와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교육효과를 질적, 양적으로 혼합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단일군 사전사후 검증을 사용한 양적 연구와 개별 심층 면담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한 질적 연구를 활용한 수렴적 혼합연구이다. 양적 연구 결과 메타인지는 가상현실 프로그램 적용 후에 사후 104.16±12.98, 사전 98.59±18.09 (t=1.85, p=.030)로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비판적 사고능력은 프로그램 적용 후에 사후 101.66±7.18, 사전 99.18±15.13 (t=1.00, p=.10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를 증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 간호학 실습 교육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