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ewpoint of Pedestria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Viewpoint Invariant Person Re-Identification for Global Multi-Object Tracking with Non-Overlapping Cameras

  • Gwak, Jeonghwan;Park, Geunpyo;Jeon, Moong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4호
    • /
    • pp.2075-2092
    • /
    • 2017
  • Person re-identification is to match pedestrians observed from non-overlapping camera views. It has important applications in video surveillance such as person retrieval, person tracking, and activity analysis. However, it is a very challenging problem due to illumination, pose and viewpoint variations between non-overlapping camera views. In this work, we propose a viewpoint invariant method for matching pedestrian images using orientation of pedestrian. First, the proposed method divides a pedestrian image into patches and assigns angle to a patch using the orientation of the pedestrian under the assumption that a person body has the cylindrical shape. The difference between angles are then used to compute the similarity between patches.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 to real-time global multi-object tracking across multiple disjoint cameras with non-overlapping field of views. Re-identification algorithm makes global trajectories by connecting local trajectories obtained by different local trackers. The effectiveness of the viewpoint invariant method for person re-identification was validated on the VIPeR dataset. In addition, we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for the inter-camera multiple object tracking on the MCT dataset with ground truth data for local tracking.

설계방법론을 이용한 보행자 보호 시스템의 최적설계 (An Optimal Design of a Pedestrian Safety System Using a Design Scenario)

  • 윤용원;박경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9호
    • /
    • pp.1019-1027
    • /
    • 2014
  • 차대 보행자 교통사고는 발생빈도에 비하여 사망률이 매우 높은 특징이 있다. 전세계적으로 정부 및 보험사에서는 보행자 보호를 위한 새로운 안전기준을 수립 및 강화하는 추세이다.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국정부는 2007 년부터 신차안전도평가에서 보행자 안전을 평가하고 있다. 보행자 보호 성능은 점진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여전히 미흡한 상태이다. 전개형 후드 및 보행자 에어백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보행자 보호 시스템은 보행자 보호를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보행자의 머리상해기준값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새롭게 정의된 설계방법론을 바탕으로 보행자 에어백 설계 절차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설계방법론을 실용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였고 보행자 보호 시스템의 제작에 적용이 가능하다.

Event Detection on Motion Activities Using a Dynamic Grid

  • Preechasuk, Jitdumrong;Piamsa-nga, Punpiti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1권4호
    • /
    • pp.538-555
    • /
    • 2015
  • Event detection based on using features from a static grid can give poor results from the viewpoint of two main aspects: the position of the camera and the position of the event that is occurring in the scene. The former causes problems when training and test events are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amera to the actual position of the event. The latter can be a source of problems when training events take place in any position in the scene, and the test events take place in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training events. Both issues degrade the accuracy of the static grid method. Therefore, this work proposes a method called a dynamic grid for event detection, which can tackle both aspects of the problem. In our experiment, we used the dynamic grid method to detect four types of event patterns: implosion, explosion, two-way, and one-way using a Multimedia Analysis and Discovery (MAD) pedestrian datase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detect the four types of event patterns with high accuracy. Additionall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than the static grid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higher accuracy than the previous method regarding the aforementioned aspects.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가로수 식재유형별 가로경관 평가 - 대구광역시 동대구로 은행나무를 대상으로 - (Evaluation of Streetscape by Street Planting Types using Dynamic Simulation - In the case of Ginkgo planted on the Dongdaegu-ro in Daegu -)

  • 신재윤;정성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9-103
    • /
    • 2014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한 동대구로를 대상으로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가로수 식재 유형별 선호도와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식재 유형은 총 4개로 1열 차도측 식재, 1열 보도중앙 식재, 2열 병렬 식재, 2열 교호식재 등으로 선정하고, 4m, 7m, 10m 간격별로 구분하였으며, 보행자 시점으로 제작한 동적 시뮬레이션으로 설문하였다. 분석 결과, 경관 선호도는 1열의 경우 차도측 4m 간격이 4.64로 높게 나타났고, 2열은 교호식재 7m가 5.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관형용사를 이용하여 경관 선호인자를 분석해 본 결과, 경관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쾌적한'과 '아름다운'으로 나타나, 식재를 통한 경관연출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요소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의 보행체험을 바탕으로 가로수 식재 유형 및 간격에 대해 시각적으로 적합한 기준 제안을 목표로 하였고, 쾌적하고 질 높은 가로경관 조성을 위한 객관적 자료 및 식재계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캠퍼스 지하공간 개발전략 연구 - 국내 주요대학 캠퍼스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trategy to Develop Underground Space of Campus - Focused on the Analyses of the Campuses of Main Universities Nationwide -)

  • 박훈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14
    • /
    • 2012
  • University campus has grown and developed along with history of human in connection with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city. In particular, reflecting the features in the times, the masterplan should explore its main roles today when international growth of university is pursued. In particular, center core and quad space, focusing on main components of campus such as main building, student union hall and main lecture facility, are the prototype of campus components and have been pursued to have importance in terms of shape and function as traditional campus space strategy. Recently, however, new strategy has been proposed to explore orders of campus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focusing on main universities. Design of Hana Plaza of Korea University and Bekyangro of Yeonsei University, the targets of this study, actively explore this strategy. This study analyzed such strategies in terms of concept of space to obtain space, design trend of main universities at home and abroad, and viewpoint of integrated masterplan proposal.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cept of quad and center space found in the design of traditional campus is reinterpreted into new design aspects through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Second,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is approached to overcome the limit of existing campus and to present the vision of universities 100 years ahead. Third, ever-changing complicated urban environment has been reflected in space configuration of campus and positioned as strategy to implement this as modern construction technique. Third, implementation of pedestrian-oriented campus has been pursued by reinforcing utilization of inclined topography of urban environment in Korea. This enables to obtain spaces for main activities of students and to implement the space where student support facilities are concentrated and activities are performed actively. Such features can be presented as conclusions of this study.

시점변화에 적응적인 보행자 유동 속도 측정 (A Method of Pedestrian Flow Speed Estimation Adaptive to Viewpoint Changes)

  • 이광국;윤자영;김재준;김회율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09-418
    • /
    • 2009
  • 본 논문은 일반적인 영상 감시 비디오의 입력으로부터 영상 내 보행자들의 유동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연속된 프레임 간에 얻어진 움직임 벡터로부터 실세계(real world)에서 보행자들의 이동량의 크기를 예측하고, 이를 통해 영상 내 보행자들의 평균 이동 속도를 측정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이를 위해 영상 내 화소 단위를 실세계의 물리 단위(미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인자를 정의하였다. 또한, 정확한 속도 추정을 위해 카메라 투영 과정에서 잃어버리게 되는 실세계 움직임의 높이 정보를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통계적으로 추정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카메라 매개변수를 속도 추정 과정에서 명시적으로 분리하여 표현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동 속도 추정 방법과 달리 영상의 환경 변화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안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시뮬레이션 영상과 실제 영상에 대하여 실험이 이루어졌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시뮬레이션 영상에서 약 0.08m/s의 오차로 속도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실제 영상에 대해서도 기대할 수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지하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by Types of Subway Platforms and Transit Stations)

  • 김황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437-445
    • /
    • 2015
  • 지하철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시설물의 배치, 정보안내의 경우 지하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게 되나, 현재 해당 항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출발하여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른 이동시설 및 환승편의시설, 정보안내의 만족도간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도시철도 환승역사 15개를 대상으로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이 동일함에 따라 이용자간 중요도 및 만족도 차이, 개선항목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동선교차가 많이 발생되는 승강장 유형(상대식 승강장)과 환승정거장 유형(+, L, T자형)으로 지하철역을 설계하는 경우 이동편의시설 및 정보안내표지의 적정한 위치 선정이 중요함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이용자의 불편이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신규 역사 설계 및 기존 역사 개선시 활용이 가능하며,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라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항목 도출로 지하철 개선비용 효율성 증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복합환승역사 통행자 기반 통합 모빌리티 평가 기법 개발 (Methodology for Assessing an Integrated Mobility of the Passenger Passing through Intermodal Transit Center)

  • 유소영;김경태;정은비;이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2-28
    • /
    • 2017
  • Mobility 4.0으로 일컬어지는 교통서비스의 핵심은 유연성 있는 모빌리티 구현이며, 이를 위해 수요-공급을 실시간, 유기적으로 이어줄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즉, 교통 정보 혹은 통합 모빌리티를 빅데이터 기반의 표준화 및 상시 업데이트가 가능한 DB로 구축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 체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행 통행을 포함하는 복합환승역사와 이를 기반으로 통행 전주기로 확장하여 분석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복합환승역사를 이용하는 통행자 중심의 통합 모빌리티 분석 체계를 3단계로 구성하여, Data Repository 생성 모듈, 통합 모빌리티 분석 모듈, 공간 정보를 융합한 결과해석 모듈로 정의하였다. 철도 및 광역버스 환승역사(사당, 신도림, 교대, 광화문, 삼성, 강남, 잠실) 7개 역사를 분석 대상 역사로 지정하여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 역사는 통계적 유의성에 근거하여 3개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자료 기반으로 한 통행 전주기 분석과 해석을 통해 보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복합환승역사 분석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다차원척도법에 의한 교통정책 평가 인지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ransportation Policy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 이원규;정헌영;고상선;윤항묵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D호
    • /
    • pp.255-261
    • /
    • 2010
  • 교통정책에 대한 평가는 평가자의 관점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단순한 빈도분석보다는 평가대상에 대해서 정확한 인지 서열화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도시의 교통정책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도로소통, 대중교통, 주차, 보행환경, 광역교통, 교통정보, 교통전체 7개 분야에 대해서 다차원척도법인 ALSCAL법과 MDPREF법을 시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포지셔닝한 결과, 각각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전체적으로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아이디얼 포인트 모형인 ALSCAL법은 지능형 교통체계의 도입 유무에 따른 교통정책별 개선정도, 벡터 모형인 MDPREF법의 경우는 특정 기능의 확충 내지 구축에 따른 교통정책별 개선정도에 대한 인지경향이 있는 것으로 대별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교통정책을 수립할 경우에는 아이디얼 포인트 모형인 ALSCAL법과 벡터 모형인 MDPREF법을 우선적으로 수행하여 평가자의 정확한 인지 서열화를 기한 후, 이를 함께 고려한 교통정책을 수립,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도시경관으로서 세종대로 (구)국세청 별관 부지 설계 (Design of the Former National Tax Service Building Site on Sejong-daero as a Historic Urban Landscape)

  • 서영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7-118
    • /
    • 2016
  • 서울시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일제 강점기에 지어져 최근까지 사용했던 세종대로 (구)국세청 별관을 철거하고 시민의 공간으로 재조성하고자 설계공모를 시행했다. 본 연구는 설계공모에 출품된 설계안 중 하나로 대상지의 역사 맥락을 통해 장소 특성을 분석하고 개념을 도출하여 설계 전략과 내용을 서술했다. 지침서상 광역 분석과 세종대로의 가치와 문화 유산과의 연계방안을 고려하여 과거와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공간이 되도록 명시하고 있다. 세종대로는 조선 건국에서 대한제국기, 일제 강점기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도로구조의 변화와 함께 중요한 사건과 활동이 일어나는 중심공간이다. 대상지 배후지역인 정동은 근대 태동기 문물이 도입되는 첨단의 장소였으며 인접한 덕수궁, 성공회성당, 서울시 의회건물도 많은 변화를 거치며 현재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역사도시경관 관점으로 광역 분석을 통해 길과 광장의 의미를 고찰했다. 정동과 대상지 주변의 변화와 현황을 분석하고 설계의 주요 개념을 공공성의 회복으로 설정했다. '리-퍼브릭'은 고종이 선포한 대한제국의 이념을 상징하는 중의적 개념이다. 대상지의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열림, 연결, 비움으로 설계 키워드로 주요 전략을 수립하여 대안 검토를 통해 8% 경사 광장을 계획했다. 대상지 현황을 반영하여 장애자, 노약자 등 누구나 편하게 접근 가능한 램프 구조로 계획하며 인접 대지와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도모했다. 성공회 성당 레벨의 테라스 광장과 보도에서 이어진 주 광장은 계단실 등과 같은 건축물의 신축 없이 완전히 비움으로써 열린 조망을 확보하고 다양한 현대 도시 활동을 담을 수 있도록 계획했다. 설계안은 고종이 지향하던 근대적 민주개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장소의 가치를 다시 공공에게 환원하는데 기여하도록 했다. 본 연구는 역사적 배경과 중층의 시간이 쌓인 대상지 설계에 대한 방향성을 제고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