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ewer Loyalt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A Study on Information Attitude, Brand Attitude, Usage Satisfactio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of YouTube Sports Contents Viewer

  • Byun, Kyun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3호
    • /
    • pp.206-21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formation attitude, brand attitude, usage satisfactio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of YouTube sports Contents. The survey subjec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selected the 490 YouTube sports contents Viewer in the metropolitan area. Data processing was done with SPSS 23 for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α analysis. Also, AMOS 21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more effective to increase the attitude toward the brand itself rather than information attitude to use satisfaction Second, both information attitude and brand attitud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brand image. In relation to attitude and image, it was possible to achieve research accumulation for YouTube users. Third, it was found that both the use satisfaction and the brand image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전문 유튜버의 평판이 충성도 및 구독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튜버 진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YouTuber's Reputation on Viewer Loyalty and Subscription Intention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YouTuber Authenticity)

  • 은창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221-23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급격한 미디어 산업 변화의 중심에 있는 개인 미디어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특히 어디서든 접속, 시청, 제작 가능한 모바일 미디어 환경을 선도하는 1인 혹은 소수 미디어 크리에이터들의 활동 영역을 탐구하여 크리에이터들과 시청자들 간의 상호 생태계를 면밀히 살피는 단계적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전문 유튜버 영역의 확장 가능성이 날로 진화하는 콘텐츠 서비스 사용자들의 욕구 및 수요 형태의 변화에 맞닥뜨린 상황에 주목하고, 전문 유튜버의 평판이 시청자의 충성도와 구독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진정성이 이들 관계에서 형성하는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관계 형성 과정을 구체적 자료를 통해 실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결론 부분에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추할 수 있는 시사점과 향후 추가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TV 뉴스 콘텐츠의 채널 선택 유형에 따른 수용자 특성 (Study on Relationship of Channel-Selection-Type & Audiences in TV News)

  • 김승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99-106
    • /
    • 2007
  • 본 연구는 다매체 다채널 시대를 맞아 국내 주요 5개 방송사의 뉴스 시청자는 어떤 유형의 사람들이며 그들은 어떤 이유에서 특정 채널의 뉴스를 선택하는지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이 연구는 4개의 TV 뉴스 콘텐츠의 채널 선택 유형(channel loyalty type, brief news type, central watcher type, peripheral watcher type)을 귀납적으로 측정, 채널 선택 유형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채널 선택 특성 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brief news' type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해 생활 패턴의 변화와 뉴스시청 행위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뉴스 채널 선택 유형에 따라 성(性)과 연령, 직업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나타났다. 아울러 방송사별로 시청자들의 채널 선택 유형에 나름대로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즉 KBS1은 'central watcher', MBC는 'channel loyalty', SBS는 'peripheral watcher', YTN은 'brief news' type이 특징적으로 나타났고 KBS2는 뚜렷한 특징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초기 시청시간 패턴 분석을 통한 대흥행 드라마 예측 (Prediction of a hit drama with a pattern analysis on early viewing ratings)

  • 남기환;성노윤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4호
    • /
    • pp.33-49
    • /
    • 2018
  • TV 드라마는 타 장르에 비해 시청률과 채널 홍보 효과가 매우 크며, 한류를 통해 산업적 효과와 문화적 영향력을 확인시켜줬다. 따라서, 이와 같은 드라마의 흥행 여부를 예측하는 일은 방송 관련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간, 지상파 채널을 통해 방송된, 총 280개의 TV 미니시리즈 드라마를 분석하였다. 이들 드라마 중 평균 시청률 상위 45개, 하위 시청률 45개를 선정하여 흥행 드라마의 시청시간 분포 (5%~100%, 11-Step) 모형을 만들었다. 이들 기준 모형과 신규 드라마의 시청시간 분포와의 이격 거리를 Euclidean/Correlation으로 측정한 유사도(Similarity)를 통해, 시청자의 초기(1~5회) 시청시간 분포로 신규 드라마의 성패 여부를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었다. 또한 총 방송 시간 중 70% 이상 시청한 시청자를 열혈 시청층(이하 열혈층) 으로 분류하고, 상위/하위 드라마의 평균값과 비교하여, 신규 드라마의 흥행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드라마의 초반 시청자 충성도(시청시간)는 드라마의 대흥행 여부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밝혔으며, 최대 75.47%의 확률로 대흥행 드라마의 탄생을 예측할 수 있었다.

현대 패션 전시의 유형별 연출 기법과 특성 연구 (A Study on Display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Exhibitions)

  • 정다운;하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823-838
    • /
    • 2018
  • The article surveys the technique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exhibitions in terms of fashion museography and fashion curation. The article reviewed both a literature study on the history of fashion exhibition focused on the display technique as well as a case stud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mporary fashion exhibitions. The results of the article is as follows. Fashion brand exhibitions are about building competitive business advantage by planning differentiated contents. It gives viewers a brand fantasy and increases brand loyalty. This type mainly displays the latest collections on the commercial purpose as well as uses diverse mediums and high technology to make a spectacular space that provides an immersive experience to the viewer. Second, the museum fashion exhibition focuses on the roles of fashion in terms of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aspects that also focus on public education. The presentation technique emphasizes careful collection conservation rather than celebrate fashion business. The article is to encourage a further scholar discourse of fashion curatorial practice and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