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ideo-ethnography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n Application of Ethnography for the User Research in Designing Korean Express Train

  • Kim, Hyun-Jeong;Lee, Kyn-P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389-393
    • /
    • 2000
  • Ethnography, a major research method in Anthropology, has been recently applied in human-centered design research. Since ethnography has empirical, naturalistic, holistic and eclectic characteristics, it is needed a guideline to apply ethnography into design research in accordance with a characteristic of project. Design project in which ethnography is applied can be categorized by two criteria; degree of newness of project goal(existing user-potential user) and limitedness of worksite(site-oriented-work-oriented). Among work-site activities, technology in use, and user group culture, it should be decided which content to content to focus more than others and thus what kinds of research techniques to apply in the ethnographic research.Case study was to design an interior of a Korean express train. This project is site-oriented and has an existing-potential users. Therefore, video ethnography was effectively applied to obtain chronological data of activity potential users. Therefore, video ethnography was effectively applied to obtain chronological data of activity flo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as applied to obtain statistical data of synchronous activities. Case study shows a concrete process example of how to apply ethnography into design research.

  • PDF

Improvement of usability of the refrigerator through behavioral analysis (사용행태 분석에 의한 냉장고 사용편의성 개선)

  • 변재형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2
    • /
    • pp.245-252
    • /
    • 2001
  • On the assumption that the layout of refrigerator for domestic market does not match with the eating habits of the Korean, this study suggests a way of improvement for usability of the refrigerator by re-arranging layout of inner shelves through behavioral analysis with the video ethnography. On the result of analysis, it can be found that the layout of inner shelves of the most refrigerators differs from the habits of cooking and preparing meals of Korean food, so the author propose a new layout to exchange the usage of the 3rd shelf with the vegetable box of the bottom level. It can be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usability by assigning appropriate usage for each shelf. To extract internal design factors of product, which is related to the specific living habits such as a refrigerator, understanding of user behavior must be accomplished at the first stage. The author found that the analysis of user behavior using the video ethnography is useful for this purpose, because it can be used to explore unpredictable design factors from user's real life.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Ethnography for User-centered Design Research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리서치를 위한 에스노그래피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 김현정;이건표;리우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10a
    • /
    • pp.22-23
    • /
    • 1999
  • 제품이 가지는 감성적이고 사회적인 기능이 디자이너가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면서, 제품 디자인은 제품 자체를 분석하고 개선한다는 소극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제품 사용상황을 이해하고 그 안에서 숨겨진 니즈를 파악하여 새로운 사용상황을 제안하는 적극적인 관점으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s Ethnography for human-Centered Design Research with an Emphasis on Understanding Food Culture in the Kitchen and Observing Usage Patterns of Microwave Oven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리서치를 위한 애쓰노그래피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부엌에서의 식생활 문화와 전자레인지 사용 행태 관찰을 중심으로-)

  • 김현정;이건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1
    • /
    • pp.187-197
    • /
    • 2000
  • This study was on the investigation of how to adapt Ethnography, main research methodology in Anthropology, to "User-Centered Design Research", which is a recently focused issue in design field. Thus, this paper has highlighted concrete application processes and methods which were adapted in the case study of developing a concept for the new microwave oven. This paper mainly consists of two parts. First, the basic concept of "Ethnography" is introduced based on secondary research, and the concept of "Culture" is defined as the favorable one to design field. This part was done for constructing knowledge basis which is needed in establishing thematicaJ framework of design research. Second, the application methods of Ethnography is demonstrated through the concrete case study of developing a new microwave oven. This second part was composed of three sub-sections, which are an introduction of conducting process of ethnographic deisgn research, a description of analyzed data of kitchen culture and various particularities of usage pattem of microwave oven, and finally, a discussion of the efficiency of ethnography through generating design implications for a new microwave oven. This demonstration of case study suggests the concrete idea of how to adapt ethnography to design research and will contribute to increase more effective ethnographic design research in the future.c design research in the future.

  • PDF

Understanding hidden needs through video ethnography in a dynamic environment (동적 환경 내에서의 사용자 니즈 파악을 위한 비디오 관찰법에 관한 연구)

  • Yoon, Jong-Kwan;Lee, Kun-Pyo;Kwon, Yong;Kim, Hyun-Jung;Kim, By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2000.11a
    • /
    • pp.22-23
    • /
    • 2000
  • 사용자의 숨은 니즈를 발견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디오 관찰기법의 활용은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비디오 관찰기법의 체계는 일반적으로 마틴(Martyn Hammersley)와 폴(Paul Atkison)이 제시한 4가지 단계의 프로세스를 대표적으로 여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찰법의 프로세스가 자동차의 실내라는 동적환경에서 어떻게 적용되어 활용되는지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중략)

  • PDF

Video Ethnography를 위한 컴퓨터 지원 분석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 이지현;이건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65-69
    • /
    • 1998
  • 기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시 다양한 사용자 니즈들이 수집되고 이러한 정보들의 효과적 활용을 위하여 여러 가지 분석방법들이 활용, 개발되고 있다. 그중 Video Ethnography는 특정 시스템 상에서 나타나는 사용자의 행동을 중심으로 한 환경내의 변화를 비디오를 이용해 저장하고 저장된 상황 의 변화요인을 해석 체계에 의거해 분석하는 기법이다. 이는 기존의 다른 방법에 비해 사용자의 자연스 러운 작업의 수행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실험실에서 행해지는 계획된 실험에서 얻 을 수 없는 시스템에 관한 발견점을 찾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Video Ethnography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사용성 정보들이 총체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 분석되지 못하고 있고, 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 관리하는데 필요이상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실정 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Video Ethnography를 통해 얻어진 사용자 니즈를 체 계적으로 수집,해석, 관리하는 효과적인 도구의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특정한 사용상황에 맞추어 수집 된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니즈들은 먼저 컴푸터를 통해 입력되고 입력된 데이터는 과업의 목적, 주변상황, 시스템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분석된다. 이러한 분석의 과정을 통해특정 시스템 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가 도출되고 새로운 디자인 해결안이 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은 사용자 니즈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며 추후 제품 개발의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사 용환경에 대한 사용자 니즈 데이터베이스가 확충되면 각 사용상황하의 사용성 문제 해결안뿐만 아니라 서로 관련이 있는 사용상황간의 연계 연구를 통해 좀 더 광범위한 개념의 제품 개발도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다.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교차로 통행을 고려하는 performance function의 경우 비신호 교차로와 신호교차로에 대한 적절한 비교가 현재로서는 고려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구성되는 가로망의 경우 신호교차로들로만 구성되며, 부득이한 경우 입체교차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실제 가로망의 경우, 교통향이 많은 도시부의 경우 주가로망은 대부분 신호교차로와 입체교차로 구성되기 때문에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