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VATS)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4초

Multiple Thymoma with Myasthenia Gravis

  • Seo, Dong Hyun;Cho, Sukk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1호
    • /
    • pp.68-70
    • /
    • 2017
  • The actual incidence of multiple thymoma is unknown and rarely reported because it remains controversial whether the cases represent a disease of multicentric origin or a disease resulting from intrathymic metastasis. In this case, a patient underwent total thymectomy for multiple thymoma with myasthenia gravis via bilateral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A well-encapsulated multinodular cystic mass, measuring $57mm{\times}50mm{\times}22mm$ in the right lobe of the thymus, and a well-encapsulated mass, measuring $32mm{\times}15mm{\times}14mm$ in the left lobe, were found. Both tumors were type B2 thymoma. Few cases of multiple thymoma with myasthenia gravis have ever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We report a case of synchronous multiple thymoma associated with myasthenia gravis.

Surgical Catheterization for Continuous Serratus Anterior Plane Block after Thoracoscopic Lobectomy: A Report of 3 Cases

  • Soo Jung, Park;Hanna, Jung;Saeyoung, Kim;Deok Heon, Le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6호
    • /
    • pp.485-488
    • /
    • 2022
  • Serratus anterior plane block (SAPB) has been used for perioperative pain control dur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and the effects of continuous SAPB have been studied. This procedure is usually performed by the anesthesiologist; however, it could be performed more simply and safely by the thoracic surgeon through the use of meticulous finger dissection to create a space in the deep serratus anterior plane during surgery. We describe 3 cases of surgical catheterization for continuous SAPB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during VATS lobectomy, in which postoperative pain was effectively reduced.

좌측 폐암 환자에서 동반 시행한 비디오 종격동경 림프절 절제술과 흉강경 폐엽 절제술의 안정성과 유용성 (The Safety and Usefulness of Combined Video-Assisted Mediastinoscopic Lymph Adenectomy and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Lobectomy for Left-sided Lung Cancer)

  • 정희석;김용희;박승일;김동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33-38
    • /
    • 2010
  • 배경: 폐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 시 흉강경을 이용한 폐엽 절제술과 림프절 절제술이 증가하고 있지만 흉강경 림프절 절제술의 유용성은 여전히 논란거리로 남아있다. 최근에 비디오 종격동경을 이용한 림프절 절제술이 폐암 환자의 종격동 병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는 좌측 폐환자에서 비디오 종격동경을 이용한 림프절 절제술과 흉강경 폐엽 절제술의 안정성과 유용성 등의 임상적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2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좌측 원발성 폐암으로 흉강경을 이용한 폐엽 절제술을 시행한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30명(Group A)은 비디오 종격동경과 흉강경으로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받았으며, 나머지 20명(Group B)은 흉강경만으로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받았다. 결과: 수술 소요시간, 흉관 거치일수 및 재원일수에 있어서 두 군간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림프절 절제수(p=0.001) 및 N2 림프절 절제수(p=0.013)는 A군이 B군에 비하여 많았으나 N1 림프절 절제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각각 2명의 환자에서 10일 이상의 지속적인 공기누출이 있었고 A군에서 폐렴이 1예, B군에서 성대마비가 1예 있었다. 수술 후 단기 사망률은 없었다. 결론: 폐암 환자에서 종격동 병기결정을 위해 비디오 종격동경을 이용한 림프절 절제술(VAMLA)이 이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VAMLA는 좌측 폐암수술에서 종격동 림프절 절제 시 흉강경을 이용한 림프절 절제술과 비교하여 보다 완전한 절제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VAMLA는 최소절개수술의 한 방법으로서 폐암의 진단 목적뿐만 아니라 치료의 수단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Surgery for Diaphragmatic Hernia Repair: A Longitudinal Single-Institutional Experience

  • Siwon Oh;Suk Kyung Lim;Jong Ho Cho;Hong Kwan Kim;Yong Soo Choi;Jhingook Kim;Young Mog Shim;Junghee Le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3호
    • /
    • pp.171-176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and describ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outcomes of diaphragmatic hernia (DH) repair according to the operative approach. Methods: After excluding cases with a combined approach and hiatal hernias, we analyzed 26 patients who underwent DH repair between 1994 and 2018. The baseline and periope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thoracic approach group and the abdominal approach group were described and analyzed. Results: Fifteen of the 26 patients were treated through the thoracic approach, including 5 patients who underwent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VATS). Eleven patients underwent the abdominal approach. The thoracic approach was associated with a longer duration of DH than the abdominal approach (2 vs. 0.1 months), herniation of the right-sided abdominal organs, and herniation of the retroperitoneal organs. During the median follow-up of 23 months, there was no recurrence of DH. Conclusion: The surgical approach should be chosen considering the duration of DH and the location of herniated organs. VATS might be a safe and feasible option for repairing DH.

Nonossifying Fibroma of the Rib Resected by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with Preservation of Periosteum

  • Pyo, Ju Yeon;Chon, Soon-Ho;Ro, Jae Yo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6호
    • /
    • pp.478-481
    • /
    • 2013
  • Nonossifying fibromas are not uncommon, but those described in the rib are unique. We report the case of a 15-year-old patient with symptoms of chest wall pain for 5 days who underwent a video-assisted thoracoscopic rib resection for a 2.5-cm rib mass. Unexpectedly, pathological results revealed a nonossifying fibroma of the rib. The results showed excellent cosmesis and new bone formation because of the preservation of the overlying periosteum.

선천성 근질환을 가진 횡격막 내장탈출 환아에서의 흉강경을 이용한 주름성형술 -2예 보고 - (Video-assisted Diaphragm Plication in Children with Diaphragm Eventration Associated with Congenital Myopathy - Report of 2 Cases -)

  • 이재항;김영태;김주현;강창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9호
    • /
    • pp.725-728
    • /
    • 2006
  • 6개월 남아와 30개월 여아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들은 모두 선천성 근질환을 진단 받았으며 반복적인 폐렴의 과거력이 있었고 흉부방사선촬영상 횡격막성 내장탈출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근질환을 가진 환아에 있어서 일반적인 개흉술을 시행할 경우 환아의 술 후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어 흉강경을 이용한 주름성형술을 시행하였다. 두 환아는 각각 수술 후 17일, 24일째 퇴원하였으며 현재 외래에서 경과 관찰 중이다. 본원에서는 선천성 근질환을 가진 환아를 대상으로 흉강경을 이용한 주름성형술 2예를 체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omparison of ultrasonography guided serratus anterior plane block and thoracic paravertebral block in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 Baytar, Merve Sena;Yilmaz, Canan;Karasu, Derya;Baytar, Cagdas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4권2호
    • /
    • pp.234-240
    • /
    • 2021
  • Background: Various truncal block techniques with ultrasonography (USG) are becoming widespread to reduce postoperative pain and opioid requirements in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The primary aim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USG-guided serratus anterior plane block (SAPB) is as effective as the thoracic paravertebral block (TPVB) in VATS. Our secondary aim was to evaluate patient and surgeon satisfaction, block application time, first analgesic time, and length of hospital stay. Methods: Patients in Group SAPB received 0.4 mL/kg bupivacaine with a USG-guided SAPB, and patients in Group TPVB received 0.4 mL/kg bupivacaine with a USG-guided TPVB. We recorded the pain scores, the timing of the first analgesic requirement, the amount of tramadol consumption,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or 24 hours. We also recorded the block application time and length of hospital stay. Results: A total of 62 patients, with 31 in each group (Group SAPB and Group TPVB) completed the study.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t and dynamic pain visual analog scale scores at 0, 1, 6, 12, and 24 hours after surgery. The total consumption of tramad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PVB group (P = 0.026). The block application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Group SAPB (P < 0.001). Conclusions: An SAPB that is applied safely and rapidly as a part of multimodal analgesia in patients who undergo VATS is not inferior to the TPVB and can be an alternative to it.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폐엽절제술: 치험 36예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Lobectomy: Experience with 36 Cases)

  • 이희성;이재웅;김건일;조성우;박상준;김형수;신윤철;신호승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32-737
    • /
    • 2009
  • 배경: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폐엽절제술은 최근 흉곽절개술을 대체하며 많이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법의 안전성과 이환율 및 사망률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폐엽절제술을 시행한 87명의 환자(비디오 흉강경 36명, 흉곽절개술 51명)를 대상으로 수술적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폐엽절제술은 4~5 cm 정도의 흉부절개창을 늑간을 벌리지 않고 각각의 폐문부 혈관 및 기관지의 박리와 임파선 생검과 박리를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들의 연령은 6세에서 79세까지였고 평균 연령은 $59.8{\pm}15.0$세였다. 남자가 52명, 여자가 35명이었다. 환자들의 조직학적 검사 결과는 원발성 폐암 66예(편평상피세포암 24예, 선암 38예, 그 외 4예), 전이암 2예, 폐 유암종 2예, 양성 폐 질환 17예였다. 수술 중 사망은 없었으며 수술 후 합병증은 각각 비디오 흉강경 5명(15.6%), 흉곽절개술 33명(64.7%)에서 발생하였다. 수술 후 사망은 비디오 흉강경 1명(2.8%), 흉곽절개술 3명(5.9%)의 환자가 수술 후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사망하였다.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폐엽절제술 중 3명(8.3%)의 환자가 흉곽절개술로 전환되었다. 흉관은 수술 후 각각 비디오 흉강경 6일, 흉곽절개술 9.4일째 제거되었으며(p<0.001), 퇴원은 수술 후 각각 비디오흉강경 8일, 흉곽절개술 12.8일째 시행되었다(p<0.001). 결론: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폐엽절제술은 적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보였으며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술 후 빠른 회복과 적은 통증으로 빠른 일상 생활의 복귀가 가능하였다.

복잡한 흉막강내 공간차지병소의 흉강경적 흉막 유착박리술 및 박피술 (Video-Assisted Thoracoscopic Pleural Adhesiotomy and Decortication for Complicated Pleural Space Occupying Lesions)

  • 조민섭;조덕곤;문석환;문영규;강철웅;조규도;조건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50-354
    • /
    • 2009
  • 배경: 복잡한 흉막강내 공간차지병소(complicated pleural space occupying lesions, SOL)의 치료는 그 병의 진행정도와 상태에 따라 흉막천자, 폐쇄식흉강삽관술, 섬유소용해제의 주입, 그리고 흉강경이나 개흉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 등이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비디오 흉강경 수술이 발달함에 따라 개흉술의 단점을 극복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VATS)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흉막 유착박리술과 박피술의 유용성과 조기수술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의무기록과 방사선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5월부터 2006년 4월까지 complicated plerual SOL 환자 64명(평균연령 $41.8{\pm}19.8$세)에서 시행한 65예의 VATS 흉막 박피술과 흉막 유착박리 술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수술후 단순흉부방사선 소견을 임의로 4군(Class)으로 나누었다. Class I: no or minimal pleural lesion, class II: blunting of costophrenic angle and mild pleural thickening, class III: elevated diaphgram or persistent lung collapse, class IV complicated or recurrent effusion. 결과: 수술전 환자들은 진단적, 치료적 시술로 41예에서 흉막천자술, 10예에서 pigtail catheter 삽입술, 11예에서 폐쇄식흉강삽관술, 그리고 10예에서 섬유소용해제 주입을 받았다. 증상발현 후부터 수술까지의 기간이(증상발현기간)평균 18.4일이었고,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예는 없었다. 수술결과 Class I 28예, II 13예, III 19예, IV 5예였으며, 증상발현기간과 수술시간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증상발현기간 18일을 기준으로 조기수술군과 지연수술군으로 나누어 비교하면 단순흉부방사선 소견 class별로 빈도수에서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흉막 유착제거 술과 박피술은 Complicated pleural SOL 치료를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고, 보다 좋은 결과를 위해서 조기에 적극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원발성 자연 기흉에서 10 mm와 2 mm 비디오 흉강경 수술의 비교 (The Comparison of Video Assisted Thoracic Surgery (VATS) with 10 mm Thoracoscopy to 2 mm Thoracoscopy for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황진욱;조원민;민병주;손호성;이인성;신재승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9호
    • /
    • pp.627-632
    • /
    • 2005
  • 배경: 2mm 흉강경을 이용한 기흉의 수술은 정확성과 수술 후 재발률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실정이다. 원발성 자연기흉의 치료에서 2mm 흉강경과 10mm 흉강경의 수술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9원부터 2002년 12월 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에서 원발성 자연 기흉으로 기낭 정제술울 시행한 176예(10mm 흉강경 수술군 73예, 2mm 흉강경 수술군 103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10mm군은 10mm 흉강경, 5mm 포트를 통한 흉강경 기구, 2mm군은 2mm 포트를 통한 흉강경과 기구를 사용하였다. 결과: 두 군에서 추적 관찰기관은 10mm군이 20,8$\pm$16.1 개월, 2mm군은 13.9 $\pm$8.2개월 이였다. 수술 적응증은 10mm군에서는 재발성 기흉이 25예($34\%$), 2mm군에서는 환자가 원한 경우가 42예($40\%$)로 가장 많았다. 수술 시간, 사용한 자동 봉합기의 수, 술 후 흉관 거치일, 술 후 총 배액량, 술 후 재원일, 합병증 등에서 2mm군이 10mm군에 비하여 적었으며, 이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은 수술 시간, 사용한 자동 봉합기의 수, 술 후 총 배액량, 술 후 재원일 등이었다. 수술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회귀 분석에서 자동 봉합기의 사용개수, 늑막유착의 유무, 수술 시 늑막유착술 시행여부, 사용한 흉강경의 종류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로 분석되었으나 $R^2$ 값은 모두 0.1 이하였다. 술 후 재발율은 10mm군에서는 총 73예 중 2예($2.7\%$), 2mm군에서는 총 103예 중 3예($2.9\%$)로 재발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재발율의 생명표 분석에서는 두 군 모두 수술후 1년 이내에 재발아였으며 재발률에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 두 군 간에 추적 기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수술 시간, 사용한 자동 봉합기의 수, 술 후 총 배액량, 술 후 재원일에 있어서 2mm 흉강경군에서 의미있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2mm 흉강경 사용 시, 좁은 시야에서도 불구하고 수술 중 기술적 어려움은 없었으며 술 후 재발률에도 10mm 흉강경과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원발성 자연 기흉 환자의 수술방법으로 2mm 흉강경이 적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