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ictim of school violence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교폭력태도와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Educ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and Empathic Ability)

  • 김정남;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9-95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태도와 인식, 공감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태도의 하위 영역인 폭력에 대한 허용적인 태도, 가해자 및 피해자에 대한 태도, 학교폭력이 발생하였을 때 대처하는 태도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공감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 능력의 하위 영역인 관점 취하기,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 상상하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개정 내용과 함의 (A Review and Implication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Act Revision)

  • 성문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1-126
    • /
    • 2020
  • 본 논문은 학교폭력의 실태를 고찰하고, 2019년 개정된 학교폭력대책 및 예방에 관한 법률(학폭법) 내용을 소개하여 학폭법의 더 나은 개선책을 모색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학교폭력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의 성과로 2004년 학폭법이 도입되었지만 학교폭력자치위원회의 비전문성 문제, 학폭 관련 업무 가중 문제, 학교의 재심 기관 이원화로 인한 심의 일관성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2019년 개정된 학폭법은 이런 부분을 대폭 개선하여 경미한 학교폭력에 대한 학교장 재량권을 도입하는 등 교육현장의 피로도를 해결하고, 학교폭력심의기구를 일선 학교단위에서 교육청 전문심의위원회로 상향 조정하는 등 그동안 간과되었던 학교폭력에 대한 교육적 접근을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함의하는 바가 크다. 향후 학폭법의 과제는 기존의 사법적 접근 중심에서 교육적 접근을 더 확대하는 과제가 남았다고 할 수 있다.

경찰의 학교폭력 근절 대책의 성과와 향후 대응전략 (Achievements of the Comprehensive Measures of Korean Police for the Elimination of School Violence and counter strategies)

  • 김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68-178
    • /
    • 2015
  • 경찰은 범정부적 대책의 일환으로 학교폭력 근절을 위한 추진과제를 실행해 왔고, 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법집행기관으로서의 경찰의 역할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경찰의 학교폭력 예방 활동을 위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선, 학교전담경찰관 활동의 명확한 법적근거를 통한 내실화와 전문성 제고를 위한 채용 교육 제도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학교폭력 이해당사자들의 책무성을 강화해야 한다. 각 지방경찰청장과 교육감이 주관하는 가칭 'Safe School 인증제도' 그리고 보호자에 대한 학교폭력 책무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고려해야한다. 마지막으로, 학교폭력 위험성 정도에 따른 차등적 경찰대응과 종합적인 상담전화 기능의 117학교폭력 전화를 적극 홍보하고 상담사의 전문성을 제고하여 피해신고를 활성화해야 한다.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과 인터넷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 on Aggressiveness in Adolescents)

  • 조성상;이서원
    • 아동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17-131
    • /
    • 2006
  • The researchers surveyed 539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2005)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domestic violence experiences and internet addiction on aggressiveness in adolescen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as a victim or a bystander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ggressiveness in adolescents, 2) both domestic violence experiences and internet addiction reinforced aggressiveness in adolescents, but the influence of the latter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former, 3) The degrees of domestic violences and internet addiction in Korean adolescents far surpassed the world average. Therefore, this study proved the urgent need for the prevention and cure programs for Korean adolescents regarding domestic violence and internet addiction.

  • PDF

코로나-19시대 아동의 가정 및 학교폭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Domestic and School Violence on Mental Health of Children in the Age of Covid-19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endence on Smartphones)

  • 홍문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23-529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 19이후 아동이 가정과 학교에서 겪는 폭력피해경험을 살펴보고, 피해경험이 아동의 정신건강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W지역 14곳에 재학 중인 아동 650명을 대상으로, 폭력피해 경험과 정신건강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의 가정폭력경험과 학교폭력경험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아동의 가정폭력경험과 학교폭력경험이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과의존은 가정폭력경험과 학교폭력경험이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코로나 19로 인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더욱 중요해지며, 위기가정일수록 가정이나 부모에 대한 지원체계 확립, 둘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필요, 셋째, 코로나 19에 대한 사전예방적 논의필요, 넷째, 아동참여와 활동 등 온라인 활동으로 병행한 지원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남녀 고교생이 이성교제 단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성적 폭력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in Dating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 김용미;김현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4호
    • /
    • pp.185-19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ynamics of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in dat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Subjects consisted of 1,205 male and female adolescents from all parts of the country. 1,092 respond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90.6%). For psychological violence, 13.3%(n=145) reported to have such experiences with a dating partner at least once or mo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rms of violence were shouting, insulting language and behaviors, and blaming for a physical appearance. There were no sex differences in frequency of psychological viol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as an aggressor or a victim. Responses of victims were mostly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and trying to forget it. For sexual violence, 27.8%(n=303) was found to have such experiences in a dating scence at least once or more. Hugging and kissing, close contact of parts of body, and gazing at parts of body were most frequently used forms. Responses of victims were pretending not to notice it and responding in the same way.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male aggressors of sexual violence than females, but no sex difference in the number of victims. Those who reported to have experiences of violence were compared to the counterparts who had no experience in attitudes toward violence between dating partners and married couples, experiences of violence in childhood, school violence, and observations of violence between parents. Those with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reported to have significantly more experiences of violence in childhood and school, and parental violen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ion were made in regard to the need for development of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and for welfare programs for adolescents in community.

  • PDF

남녀고등학생의 성폭력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Men and Women highschool student's sexual abuse)

  • 김성미;박미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70-978
    • /
    • 2014
  • 본 연구는 남녀고등학생의 성폭력 개념 인식과 성폭력에 대한 인식, 태도, 대처법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3년 7월 1일부터 30일까지 D광역시 고등학생 5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x^2$_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폭력, 성희롱 경험 실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폭력 개념 인식은 음흉한 눈길로 보는 것, 선정적 그림과 글 강요, 성적 농담, 외모에 노골적 표현, 대중교통 이용 시 고의적인 몸 밀착에서 차이가 있었다. 성폭력에 대한 인식, 태도 및 대처는 성폭력 발생장소, 시간, 가해자에 대한 인식, 성폭력 원인, 도움 요청 시,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태도에서 남녀학생의 차이가 있었다. 성폭력 처벌과 예방은 법률지식, 처벌 기준, 예방대책에서 남녀학생의 차이가 있었고, 성교육 경험과 요구는 성교육 시기, 방법, 성폭력 성교육 유무, 성교육 및 성폭력 지식에서 남녀학생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폭력 예방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실시가 절실하다고 본다.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유형에 따른 상태분노, 우울,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State Anger, Depression, Resilience and Self-esteem According to School Violence Ty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용미;박소영;최명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6-255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states of anger, depression, resilience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ype of school violence invol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5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4th, 5th and 6th grades. Data was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PSS/WIN 20.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tates of anger (Fs=16.66, p<.001), depression (Fs=18.04, p<.001), resilience (F=12.77, p<.001) and self-esteem (F=10.39, p<.001)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violence. Of all the groups, bully-victim exhibited the highest score for anger and depression, and the lowest score for resilience and self-esteem.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consider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necessary.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grative programs for students that can enhance resilience and self-esteem, such as self-discovery programs, and reduce anger, such as anger control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청소년기 여성의 가족폭력 피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male Adolescent's Experiences with Traumatic Domestic Violence)

  • 김경희;권혜진;최혜미;정연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5-221
    • /
    • 1996
  •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tribute to the intervention of adolescent domestic violence by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the victims, better.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ries of interviews with 3 subjects singled out at each stage of research. With the permission of the subject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interviews lasted from two and a half to 8 hours. The data were analyzed in the framework of grounded theory as mapped out by Strauss & Corbin (1990).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The core category was found to be the adaptation of "Jitnulim" or "Being suppressed". The sub-categories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grounded data analysis were 'roughness', 'wildness', 'driving', 'challenging', 'being strapped', 'being pressed', 'erupting', 'being horrified', 'being hardened', 'being connected', 'being seen', 'being helpful', being led', 'sprouting', 'being off', 'being cast out', 'shaking off', 'getting out', 'covering-up', 'waiting', 'ruling', 'common placeness', 'overcoming', 'getting united', 'fa11ing behind', 'falling in', 'being mixed up', 'ruthlessness', 'estrangement', 'difficulty', 'being overwhelmed', 'feeling regreful', 'being pressed', 'hesitating', and 'shying off'. These categories were again grouped into 11 categories including 'threatening', 'straightjacketing', 'alliance', 'phenomenon', 'pattern of support', 'system of support', 'challenging', 'calming-down', 'being relieved', 'being hardened and entangled', 'being entangled'. The following four theses were confirmed on the basis of the repetitive relation: 1) If the episodes of violence are frequent and serious, with the resulting straightjacketing being stronger the victim's family relations are coherent and the subject's support pattern is highly mature. Concrete the responses to the straighjacketing resulted in a'calming-down' which gradually relieved. 2) If the episodes of violence were frequent and serious, with the resulting straightjacketing being strong the victim's family relations and incoherent and the subjects supporter is immature but strong the support type is superficial and the responses to the straightjacketing result in a bouncing-off which gets entangled with the passage of time. 3) If the episodes of the violence are frequent and serious, the straighljacketing is strong, but the family relations are and the subject's support system is mature and strong the responses to the straightjacketing result in a calming-down which gets partly relieved but partly entangled. 4) If the episodes of the violence are frequent and serious with the resulting straightiacketing being strong, the victim's family relations are incoherent, the subject's support system is immature, and the support type is immature the responses to the straightjacketing result in a 'bouncing-off' which gets entangled and partly hardened with time.

  • PDF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무선호출기 시범사업 효과성에 관한연구 (Study on Effects of Radio Pager Demonstration Project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 이성대;박종옥;염동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01-107
    • /
    • 2014
  •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무선호출기에 대한 인식과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무선호출기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 6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교폭력 피해경험 유무와 가해경험 유무에 따른 두 집단간의 통계적 차이를 확인한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 학생과 가해경험 학생 모두 무선호출기기가 학교폭력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무선호출기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선호출기기가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무선호출기 소지정도, 무선호출기 필요성향, 무선호출기 만족성향이 높을수록 학교폭력 예방과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함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