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mimicus K-1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5초

Pathogenic Vibrio spp. Isolated from the Gwangan Beach of Busan in 2003

  • Park Mi-Yeon;Park Chan-Woong;Kwon Chil-Sung;Chang Dong-Suc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7권1호
    • /
    • pp.10-15
    • /
    • 2004
  • A total of 52 pathogenic Vibrio strains was isolated from the Gwangan Beach during summer in 2003. The isolated vibrios were composed of 6 different species: V. parahaemolyticus, V. cholerae non O1, V. fluvialis, V. vulnificus, V. alginolyticus, and V. mimicus. V. parahaemolyticus was most predominant as $46\%$ (24/52), V. cholerae non O1 was the second with $23\%$ (12/52), and V. fluvialis was the third with $17\%$ (9/52). Among the isolated strains, 22 strains showed hemolytic, proteolytic or ureolytic activity. Eight strains showed both hemolysin and protease activities, and either 6 strains showed only hemolysin activities and 7 strains only protease activities. Only one strain of V. parahaemolyticus isolates showed urease activity. The urease-positive V. parahaemolyticus strain (V. parahaemolyticus S25) showed the sam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s the reference strain, V. parahaemolyticus KCTC 2471 (urease­negative) except for urease production. To compare the degree of virulence of Vibrio strains having different pathogenic factors, hemolysin, protease, or urease-positive strains were injected into groups of 10 each of ICR mice (7- to l0-week-old male). The lethal rate of urease-positive V. parahaemolyticus S25 was significantly high, being $70\%$. Protease-positive strains showed $40-60\%$ of lethal rate. Hemolysin-positive strains showed no mortality, similar to non-pathogenic V. parahaemolyticus KCTC 2471 and V. parahaemolyticus FM12.

경남연안 기수지역에서 분리된 비브리오균의 항균제 내성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ibrio Strains from Brackish Water on the Coast of Gyeongsangnamdo)

  • 오은경;손광태;하광수;유현덕;유홍식;신순범;이희정;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5-343
    • /
    • 2009
  •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Vibrio species isolated from brackish water in Geoje, Tongyeong and Goseong, Gyeongsangnamdo province into which streams, sewage and leachate all flowed. Only 19 strains (10.7%) of 177 V. parahaemolyticus were susceptible to 15 antimicrobials. 146 strains (69.5%) proved resistant against more than one antimicrobial and 12 strains (6.8%) were multi-drug resistant. The resistance rate of 152 strains were 85.9% against AM and 26.6% against RA, 16.4% against AN, 13.6% against Sand 13.0% against TMP. 86 strains of 129 V. cholerae non-O1 (66.7%) were susceptible to antimicrobials and 31 strains (24.0%) were resistant to more than one antimicrobial and 12 strains (9.3%) were multi-drug resistant.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 of 129 strains against 15 antimicrobials, with the exception of C, CIP, E and GM, i.e. 11 antimicrobials, was 0.7-16.2%, 16.2% of 129 strains proved resistant against RA and 13.9% against AM, 9.3% against TMP, 7.7% against SXT and 6.9% against TE. 19 of 49 strains of V. mimicus (38.8%) were susceptible to antimicrobials and 31 strains (61.2%) were resistant against more than one antimicrobial; none of the strains were multi-drug resistant. 15 strains of V. mimicus were resistant against only RA, AmC and TE. The resistance rate was 59.2% against RA (highest) 4.1% against AmC and 2.0% against TE.

해양 생물에서 분리된 Phaeobacter inhibens KJ-2의 항균 활성 (Examin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by Phaeobacter inhibens KJ-2 Isolated from a Marine Organism)

  • 김윤범;김동휘;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161-1167
    • /
    • 2017
  • 본 연구는 양식업에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을 야기시키는 세균성 어류질병인 Vibrio anguillarum을 예방하고 억제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군소 알로부터 특징적인 균주를 분리 하였다. 이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형태학적 특성을 통해 균을 동정하여 Phaeobacter inhibens KJ-2로 명명하였다. Phaeobacter inhibens KJ-2 균주는 Vibrio sp.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갖고 있으며, 항균물질의 생산특성을 배양조건에 따라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진탕 배양의 경우 $20^{\circ}C$에서 24시간 배양 후, 정치 배양의 경우 96시간 배양 후 항균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진탕 배양 및 정치 배양 모두 4시간 후부터 생육도는 낮았으나 항균 물질 생산을 시작하였다. 생육도가 거의 없는데도 불구하고 항균물질이 생산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QS (Quorum Sensing)의 신호 물질인 AHLs과 관련이 있다고 사료되며, AHLs의 생성능은 항균 활성과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배양특성을 바탕으로 항균 활성을 검토한 결과 V. anguillarum외 다른 Vibrio sp.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Vibrio vulnificus, Vibrio campbellii, Vibrio mimicus에 대해 높은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Lipopolysaccharide 생합성에 관여하는 Vibrio anguillarum의 phosphomannomutase/phosphoglucomutase 유전자 cloning과 특성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hosphomannomutase/Phosphoglucomutase (pmm/pgm) Gene of Vibrio anguillarum Related to Synthesis of LPS)

  • 오륜경;문수영;조화진;장원제;김장호;이종민;공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55-362
    • /
    • 2016
  • 수해양성 병원성 미생물로 알려진 Vibrio anguillarum으로부터 mannose-1-phosphate를 mannose-6-phosphate, glucose-1-phosphate를 glucose-6-phosphate로 가역적으로 변환시키는 phosphomannomutase/phosphoglucomutase (pmm/pgm)의 유전자를 sequencing하여 1338 bp의 open reading frame (ORF)을 밝혔다. 이는 446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47,625 Da을 가지고 있다. 보고된 다른 Vibrio sp.의 pmm/pgm 유전자와 상동성을 비교하였을 때 V. mimicus V. vulnificus, V. splendidus, V. harveyi와 92.3%, 91.4%, 89.9%, 89.9%에 해당하는 상동성을 지니고 있었다. 증폭된 목적 유전자를 pET-28a(+) vector에 연결하여 대장균에서 단백질의 대량발현을 유도하였으며 이는 주로 soluble한 상태로 나왔다. Soluble fraction을 Ni-NTA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약 50 kDa의 단백질을 얻었고 이는 주로 mannose-1-phosphate를 이용하는 효소로 확인되었으며 Mg2+ 이온이 존재할 때 효소의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유전자는 낮은 온도의 stress하에서 발현이 증가됨을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통해 확인하였고, 상동성 재조합 (homologous recombination)에 의한 돌연변이 균주 제작을 통해 PMM/PGM protein과 lipopolysaccharide (LPS)의 생합성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V. anguillarum wild type과 mutant로부터 LPS를 분리하였고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후 silver staining을 통해 LPS의 high molecular weight (HMW) 부분인 O-antigen에서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V. anguillarum wild type과 mutant의 growth와 viability를 확인한 결과 mutant가 wild type보다 정지기까지 더 낮은 생육을 보였으며 viability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V. anguillarum의 pmm/pgm 유전자가 미생물의 생육과 LPS 생합성에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통영항의 해수 및 저질의 위생학적 특성 (Sanitary Characteristics of Seawater and Sediments in Tongyeong Harbor)

  • 박준용;김영인;배기성;오광수;최종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67-375
    • /
    • 2010
  • 이 연구는 통영항 내의 해수와 저질의 특성과 주변횟집의 수질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 2008년 6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월 1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영항의 해양수온은 평균 $17.4{\pm}5.77^{\circ}C$, 투명도 평균 $1.9{\pm}0.46$ m, 부유물질 $36.7{\pm}5.00$ mg/L, COD $2.36{\pm}0.80$ mg/L, DO $6.67{\pm}1.54$ mg/L, 염분농도 $32.3{\pm}0.64$‰를 각각 나타내었다. 아질산 질소는 $0.010{\pm}0.005$ mg/L, 질산 질소 $0.050{\pm}0.011$ mg/L, 암모니아 질소 $0.030{\pm}0.007$ mg/L, 인산 인 $0.050{\pm}0.006$ mg/L로 각각 나타났으며, TBT는 검출한계 이하로 검출되었다. 통영항 해수 중의 total coliform은 조사기간 중 < 1.8~22,000 MPN/100 mL 범위에 기하학적 평균값이 164.9 MPN/100 mL이었고 230 MPN/l00 mL을 초과하는 비율은 39.6%를 나타내었다. fecal coliform은 < 1.8~7,900 MPN/100 mL 범위에 기하학적평균값은 33.7 MPN/100 mL, 43 MPN/100 mL을 초과하는 비율은 47.9%로 조사되었다. total coliform에 대한 fecal coliform 검출 비율은 69.2%로 나타났다. 통영항 해수 중의 비브리오는 6월부터 11월에 240주가 검출되었으며, V. alginolyticus가 82주로 34.2%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그 밖에 parahaemolyticus가 13.8%, V. culnificus 10.0%, V. cholerae non-O1이 0%, V. mimicus 12.5%가 검출되었다. 저질 특성은 함수율이 $56.63{\pm}5.51$ %, 강열감량 $9.20{\pm}1.36$%, COD $7.64{\pm}1.13$ mg/g, AVS $0.07{\pm}0.02$mg/g으로 다른 해역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의 함량은 카드뮴(Cd)은 $0.10{\pm}0.05$, 구리(Cu) $4.79{\pm}8.20$, 비소(As) $1.95{\pm}0.17$, 수은(Hg) $0.10{\pm}0.07$, 납은 불검출, 6가크롬은 ($Cr^{6+}$) $0.34{\pm}0.12$, 아연 (Zn) $125.33{\pm}16.40$, 니켈(Ni) $16.34{\pm}1.93$ mg/kg을 나타내었다. 통영항 주변 횟집의 total coliform 및 fecal coliform은 횟집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여름철에 주로 검출되었으며, 여름철 집중관리가 요구되었다.

Construction of Chimeric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Containing Short Collagen-Binding Domain Moieties for Use as a Wound Tissue Healing Agent

  • Kim, Dong-Gyun;Kim, Eun-Young;Kim, Yu-Ri;Kong, I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119-126
    • /
    • 2015
  • Among the various human growth factors, epidermal growth factor (hEGF, consisting of 53 amino acids) has various effects on cell regeneration, stimulation of proliferation, migration of keratinocytes, formation of granulation tissues, and stimulation of fibroblast motility, which are important for wound healing. Owing to their multiple activities, EGFs are used as pharmaceutical and cosmetic agents. However, their low productivity, limited target specificity, and short half-life inhibit their application as therapeutic agents. To overcome these obstacles, we fused the collagen-binding domain (CBD) of Vibrio mimicus metalloprotease to EGF protein. About 18 or 12 amino acids (aa) (of the 33 total amino acids), which were essential for collagen-binding activity, were combined with the N- and C-termini of EGF. We constructed, expressed, and purified EGF (53 aa)-CBD (18 aa), EGF (53 aa)-CBD (12 aa), CBD (18 aa)-EGF (53 aa), and CBD (12 aa)-EGF (53 aa). These purified recombinant proteins increased the numbers of cells in treated specimens compared with non-treated specimens and control hEGF samples. The collagen-binding activities were also evaluated. Furthermore, CBD-hybridized hEGF induced phosphorylation of the EGF recepto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se fusion proteins could be applicable as small therapeutic agents in wound tissue healing.

ERIC-PCR genomic fingerprinting에 의한 주요 식중독 그람 음성 세균 4속의 구별 (Differentiation of Four Major Gram-negative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l Genera by Using ERIC-PCR Genomic Fingerprinting)

  • 정혜진;박성희;서현아;김영준;조준일;박성수;송대식;김근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05-101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높은 분리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험의 재현성과 경제성의 측면에서도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ERIC DNA sequence를 응용한 ERIC-PCR을 이용하여 Salmonella, E. coli, Shigella, Vibrio 등 4속의 주요 그람 음성 식중독유발 세균들의 분리 동정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ERIC-PCR 결과, E. coli의 경우 0.3kb, 0.42kb 및 1.2kb의 band가 모든 균주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었고, Salmonella속으로부터는 0.22kb, 0.4kb 및 0.7kb의 band가 증폭되었다. Shigella속은 모든 표준균주와 분리균주로부터 0.33kb와 1.25kb의 band가 증폭되었으며, S. sonnei의 경우 위의 주요 2개 band 이외에도 대부분의 균주에서 0.44kb, 2.0kb 및 3.05kb의 band가 증폭되어 다른 종의 Shigella와 구별되는 fingerprinting pattern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V. parahaemolyticus의 경우 표준균주와 분리균주 모두 0.51kb와 1.5kb의 band가 증폭되어 V. cholerae, V. mimicus 등과 같은 다른 종의 Vibrio와 구별되는 fingerprinting pattern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4속의 모든 식중독 균주마다 ERIC-PCR후 생성되는 fingerprinting pattern에서 3-5개의 공통적인 band가 증폭되는 것이 확인되어 이를 이용한 속 수준의 분리 동정과 이러한 주요 band들 이외의 부수적인 band들을 고려하여 종 수준까지의 분리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ERIC 반복적 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ERIC-PCR이 식중독균의 분리 동정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더 많은 속(genus)의 식중독세균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분리 동정 방법을 확립하는데도 응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병원성 비브리오균과 동물성 플랑크톤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Pathogenic Vibrios and Zooplankton Biomass in Coastal Area, Korea)

  • 장동석;김창훈;유홍식;김신희;정은탁;신일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57-566
    • /
    • 1996
  •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생선회를 즐겨 먹는 우리나라의 식습관 때문에 여름철 식중독 원인 세균 중에서 제일 빈도가 높은 세균이다. 특히 매년 여름철이면 콜레라 파동으로 활선어 판매금지 조치 등으로 생산어민 및 생선 횟집 경영자들의 경제적 손실은 매우 크다. 더구나 콜레라균이 해수에서 동물성 플랑크톤에 부착하여 월동한다는 보고도 있어서 실제로 우리 나라 연안 해수에서 콜레라균이 플랑크톤에 부착하여 월동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한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1. 우리 나라 남해안의 해수, 어패류 및 동물성 플랑크톤에서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V. cholerae non O1, V. mimicus는 검출되었으나 V. cholerae O1은 검출되지 않았다. 2. 동물성 플랑크톤은 해수에서 각종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증식이나 부착, 생잔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3.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동물성 플랑크톤에의 부착율은 대장균에 비하여 높은데 염분 농도 $5\%_{\circ}$ 일 경우에는 $60\%$이상으로 높았으나, 염분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흡착율은 감소하였으며 염분 농도 $20\%_{\circ}$이상, pH 8.0 이상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4.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25^{\circ}C$의 해수에서는 플랑크톤이 존재할 때가 그렇지 않을 때 보다 균의 생잔율이 크게 나타났으나, $0^{\circ}C$에서는 플랑크톤의 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2\~3$일 이내에 균수가 급격히 감소되었다. 5. 미세 조류나 사멸시킨 동물성 플랑크톤의 존재가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증식이나 생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PDF

참보라색우무에서 추출한 항균물질의 구조 및 특성 (Structures and some Properties of the Antimicrobial Compounds in the Red Alga, Symphyocladia latiuscula)

  • 임치원;이종수;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0-287
    • /
    • 2000
  • 참보라색우무는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미이용 해조류로서 해조류에서 새로운 천연항균성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항균성물질을 각종 칼럼을 통하여 분리정제하였으며, MS, NMR spectrum에 의하여 구조를 확인하였고, X선회절분석으로 결정구조를 해석하였다. 또한 이들 물질이 가지는 몇가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참보라색우무 670 g 중에서 최종적으로 세 개의 항균성물질(SL-l, SL-2, SL-3)이 각각 85 mg, 135 mg, 27.7 mg을 얻었다. SL-1 및 SL-2는 MS 및 NMR에 의하여 2,3,6-tribromof,5-dihydroxybenzyl alcohol (MW, 374) ,2,3,6-trib romo4,5-dihydroxybenzyl methyl ether (MW, 388)이였으며, 특히 SL-2를 벤젠-디에틸 에테르 용매중에서 결정화하여 X선 결정 해석에 의하여서도 구조가 확인되었다. 한편 SL-3는 SL-2와 MS 및 carbon NMR spectrum에서 잘 일치하였으나 proton NMR에서 signal의 패턴이 약간 달라 SL-2의 어떤 이성질체라고 추정되었다. 참보라색우무 항균성물질의 마우스에 대한 치사독성은 SL-1은 3 mg, SL-2는 5 mg까지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PhIP 및 MeIQx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는 SL-1은 $200 {\mu}g/ml$의 농도에서는 $17.8 {\%}$$17.7 {\%}$에 미치지 않았으나SL-2는 $250 {\mu}g/ml$의 농도에서는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새로운 보존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