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Parahaemolyticus

검색결과 400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자생식물의 항균활성 (Screening of Domestic Plant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 양민석;하영래;남상해;최상욱;장대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84-589
    • /
    • 1995
  • 새로운 유용식물자원개발의 일환으로 80종류(95 시료)의 국내자생식물을 채집하여, 이들 methanol 추출물의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및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력을 검토하였다. 실험대상 4가지 균주 모두에 항균성을 보인 것은 사철쑥, 지칭개, 뽀리뱅이, 꿀풀, 광대나물 그리고 향나무였으며, 씀바귀, 떡쑥, 애기똥풀, 조팝나무, 냉이 전초 및 동백나무 잎 가지 등을 포함한 8 종류는 적어도 3가지 균주에 대해 항균성을 보였다. 반면에, 라일락 잎은 그람 음성균인 E. coli와 V. parahaemolyticus에서, 꽃다지는 V. parahaemolyticus에서, 얼레지의 인경은 B. subtilis에 대해 선택적인 항균성을 보였다. 특정균주에 대한 항균력을 살펴보면, B. subtilis에 대해서는 얼레지의 인경(18mm)이, S. aureus에 대해서는 조팝나무(16 mm), E. coli에 대해서는 라일락의 잎(18mm) 그리고 V.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꽃다지(23mm)가 각각 가장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적 강한 항균활성을 보여준 9종류의 methanol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용매분획하여 얻은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와 물분획물의 B. subtilis와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실험한 모든 분획물중에서 지칭개의 chloroform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균력 (각각 17mm, 29mm)을 보였다. 뽀리뱅이는 chloroform 분획물에서, 사철쑥, 씀바귀 및 꿀풀은 hexane 분획물에서, 그리고 동백 잎 줄기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강한 항균성을 보였으나, 향나무와 쇠뜨기는 물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비교적 고른 항균성을 보였다.

  • PDF

서해안에서 분리한 암피실린 내성 비브리오속 세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mpicillin-Resistant Vibrio spp. Isolated from a West Coastal Area of Korean Peninsula)

  • 이한웅;임숙경;김말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0-25
    • /
    • 2009
  • Thirty-eight Vibrio spp. were isolated from the sea waters harvested from the 22 stations located on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eptember 2006. The isolates consisted of V. parahaemolyticus (n=21), V. alginolyticus (n= 16) and V. cholerae non-01 (n=1), among which 35 isolates displayed resistance against two of the tested antibiotics. Among the 38 isolates, 18 isolates exhibited multi-drug resistance against more than four 4 antibiotics. In particular,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_{50}$ and $MIC_{90}$ of ampicillin-resistant isolates were as high as $2,048{\mu}g{\cdot}mL^{-1}$ and $4,096{\mu}g{\cdot}mL^{-1}$ respectively. $\beta$-lactamase production was examined to analyze the ampicillin-resistance. Some Vibrio spp. isolates produced $\beta$-lactamase, however antibiotics resistance pattern and $\beta$-lactamase production were not clearly related to each other. A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and gene expression was confirmed in the ampicillin-resistant isolates.

Immuno Gold 표지법을 이용한 대장균내 Vibrio fluvialis MotX 단백질의 존재 부위 결정 (Detection of the Recombinant MotX Protein Vibrio fluvialis in Escherichia coli with Immuno-Gold Labeling Method)

  • 이종희;박제현;김선회;안선희;공인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51-453
    • /
    • 2002
  • The rotation of the flagellar motor is powered by the electrochemical gradient of specific ions across the cytoplasmic membrane. Recently, the gents of the Na'-driven motor have been cloned from marine bacterium of Vibrio sp. and some of the motor proteins have been purified and characterized. Also, motx gene encoding a channel component of the sodium type flagellar motor was identified from Vibrio Huuiaiis (KTCC 2473). The amino acid sequence of MotX protein from V, Huvialis shared 90, 85, $85\%$ identity with V, cholerae, V. alginolyticus, V parahaemolyticus, respectively. We have studied the localization of the expressed MotX protein in Escherichia coli by immune-gold labeling of ultra-thin frozen section. Our observation of the expressed protein indicated that MotX protein could be existed as attachment to inner membrane in E. coli.

V. parahaemolyticus에 의한 Alkaline Pretense 생산조건(1) (Cultural Condition of the Production of Alkaline Pretense by f parahaemolyticus(1))

  • 양지영;한종흔;강현록;황미경;차재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6-178
    • /
    • 2000
  • V. parahaemolyticus를 균주로 alkaline protease 생산을 위한 질소원의 종류, skim milk농도, NaCl농도, 금속이온의 종류를 조사하였다. 질소원인 peptone, tryptone, casamino acid, ski milk, phyton peptone중에서는 skim milk에서 활성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고, skim milk의 농도에 따른 실험에서는 2%일 때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NaCl의 농도에 따른 실험에서는 0%일 때 활성이 가장 높았고 농도가 높아질수록 활성이 낮아졌다. 금속이온에 따른 활성을 보면 금속이온이 들어가지 않았을 때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금속이온을 첨가하므로써 활성이 급격히 떨어졌다. 또한 CoCl$_2$, CuCl$_2$, HgCl가 첨가되었을 때는 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추출물의 항균성검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Extract)

  • 김건희;전희정;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4-118
    • /
    • 1998
  • In ordo. to develop the natural food preservative agent, freeze dried dandelion (Taraxcum platycarpum) was extracted with several solv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vestigated. The methanol extract obtained from the dandelion exhibited antimicrobial properties against five strains such a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The methanol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2000 $\mu\textrm{g}$/ml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B. subtilis, E. coli, L. monocytogenes and V. parahaemolyticus.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ylacetate fraction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dandelion was the strongest fraction compare to those the other solvent fractions such as n-hexane, chloroform, n-butanol and water. The ethylacetate fraction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at the concentration of 0.5 mg/disc on the growth of the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 PDF

Antimicrobial Activity of Trifoliate Orange (Poncirus trifoliate) Seed Extracts on Gram-Negative Food-borne Pathogens

  • Kim, Seong-Yeong;Shin, Kwang-S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3호
    • /
    • pp.228-233
    • /
    • 2012
  • Trifoliate orange seed extracts (TSEs) were prepared from different solvents, water (TW), ethanol (TE), and n-hexane (TH), and assess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ix gram-negative food-borne pathogens (Escherichia coli KCTC 1039,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95, Salmonella Enteritidis ATCC 3311, Salmonella Typhimurium KCCM 11862, Shigella sonnei KCTC 2518,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Among the tested TSEs, TE and TH showed a slight inhibition activity on V. parahaemolyticus ATCC 17802, but a good growth inhibition activity on Sal. Typhimurium KCCM 11862. TH and TE showed steady growth inhibition activity with increasing growth time after 6 hr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From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TH and TE as antimicrobial materials.

득량만 해수의 세균학적 수질 (Bacteriological Quality of Sea Water in Deukryang Bay, Korea)

  • 장동석;정은탁;유홍식;이은우;임성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7-81
    • /
    • 1998
  • 득량만 해수에 대한 세균학적 수질을 평가하여 수출용 패류생산지정 해역수질에 합당한가를 파악함과 동시에 지표세균의 조성, 병원성 세균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득량만 해수의 세균학적 수질은 만 안쪽의 연동지선의 일부해역 (area IV)을 제외하고는 수출용패류의 생산해역의 수질기준에 합당하였다. 2. 대장균군의 최확수는 해수 100ml당 <\;3.0\~4600$의 범위였으며 230을 초과하는 시료의 비율은 $7.4\%$였고, 분변계대장균의 최확수는 $<\;30\~1,100$의 범위였으며 43을 초과하는 시료의 비율은 $8.5\%$로 한계치 $10\%$에 미달하였다. 3. 강우시에는 비강우시에 비하여 세균 오염도가 높았으며 특히 93mm의 강우가 있은 48시간 이후에도 비강우시의 $6\~7$배나 높은 세균오염도를 나타내었다. 4. 대장균군의 분류결과 Escherichia coli가 약 $54\%$나 되어 오염원의 주류가 분변오염임을 알 수 있었다 5. 살모넬라, 시겔라, 콜레라균 등 수인성 병원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6.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여름철인 $6\~8$월 사이에는 시료의 $15\~20\%$에서 양성으로 나타났다.

  • PDF

항균 필름과 저장 온도의 고등어 저장성 및 미생물학적 안정성에 대한 병행 효과 (Combined Effects of Antibacterial Film and Storage Temperature on Shelf-life and Microbiological Safety of Mackerel)

  • 하지형;이유시;허선경;배동호;박상규;황선순;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7-322
    • /
    • 2007
  • 본 연구는 고흡습성 필름에 고추냉이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작한 항균흡습필름의 고등어 중 존재하는 식품위해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호기성균 및 식품위해미생물인,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를 점 접종하여 항균흡습필름으로 포장한 후 저장온도, 기간별 및 항균 필름의 코팅 횟수가 균의 성장 및 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5^{\circ}C$에서 총균수,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의 성장 억제 효과는 $10^{\circ}C,\;15^{\circ}C$에서 보다 우수하였다. 특히 Usrio Vibrio parahaemolyticus는 $5^{\circ}C$에서 저온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모든 시료에서 1일, 4일 후 각각 약 $1\;log_{10}cfu/g\;and\;1.80\;log_{10}cfu/g$ 정도 감소하다가 7일 후에는 검출한계 아래로 모두 사멸하였다. 고추냉이 추출 물질이 함유된 흡습필름은 $10^{\circ}C,\;15^{\circ}C$에서 보다 $5^{\circ}C$ 에서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세 가지 농도별 항균효과는 $5^{\circ}C$ 에서 두드러진 농도별 항균효과 차이를 보였으며 코팅 횟수가 늘어날수록 항균효과가 컸다. 이는 항균필름, 한 가지로만은 저장기간 향상에 한계가 있고 냉장저장이라는 hurdle을 동시에 적용하여 항미생물 synergy 효과를 보인다는 증거가 된다.

주요 식중독균 분리용 선택배지의 타당성 연구 (Evaluation of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of Foodborne Bacteria)

  • 조서희;하지형;김근성;심영환;권기성;한정아;황인균;하상도;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88-394
    • /
    • 2007
  • 본 연구는 현행 식품공전상 제시되어 있는 식중독균 분리배지의 평가를 위해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의 5가지 식중독세균용 29가지 분리 선택배지를 Broth와 Food에서 시험하였다. Food는 닭고기, 쌀, 돼지고기, 고등어를 대상으로 5가지 식중독균을 접종후 균주의 recovery를 확인하였고. Broth는 5가지 식중독세균용 29가지 분리 선택배지를 사용하였다. Broth에서는 각 세정균에 대한 분리배지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Food에서는 그 차가 크지는 않았으나, 분리선택배지간의 분리능에 통계적 유의차가 존재하였다. 식품공전에 등재된 전통적인 분리 선택배지에서 분리된 균수가 Chromogenic 배지 등 새로운 선택배지에서 분리된 균수보다 많았다. 국제적으로 등재된 배지간의 선택성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추후 다양한 배지가 식품공전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황금탕 및 황금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Whangkumtang Extract and Scutellariae Radix Extract on the Food-Borne Pathogens)

  • 서진종;이종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06-1610
    • /
    • 2005
  • 각종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중요시되는 11종의 균주에 대해서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의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 황금탕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higella sonnei,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11 및 Escherichia coli O126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황금 추출물은 Staphy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higella sonnei,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11, Escherichia coli O126 및 Escherichia coli O157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 모두 항균력이 없었고, Escherichia coli O157에 대해서는 황금탕 추출물은 항균력이 없었으나, 황금 추출물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황금탕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Staphyl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서 40 mg/mL, Shigella flexneri 와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100 mg/mL이었고, 황금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Bacillus cereus에서 10 mg/mL, Staphylococcus aureus, Shigella flexneri 및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20 mg/mL이었으며,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 모두 Staphyl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 대해 48시간까지 배양하는 동안 최소저해농도 이상에서는 균이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이상에서 황금탕 추출물보다는 황금 추출물의 항균력이 더 강하며, 황금탕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항균력은 황금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항균력이 확인된 세균으로 인한 각종 식중독에 황금탕의 사용 가능성을 고려할 만하며, 황금 추출물에 대한 천연 식품 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