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Parahaemolyticus

검색결과 400건 처리시간 0.05초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and Sanitary Management of Aquarium Water in the Busan Area

  • Cho, Kyung-Soon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1
    • /
    • 2014
  •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by our own investigation, also cooperated with Health and Sanification Division and each of district offic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fter choosing, we collected water samples five times for microbiological examina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n 160 water samples from urban areas, we could detect 88 cases of Vibrio spp. Furthermore, there were four cases exceeding the acceptable limit of aquarium water (100,00/mL) and another four cases exceeding the limit of Coliform group (1,000 below/100 mL).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at we performed for 271 cases of water samples from coastal areas from April to November, we could detect 130 cases of vibrio species and 10 cases of Coliform group. After performing 17 kinds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for 41 cases of isolated Vibrio parahaemolyticus, 27 cases showed tolerance to Amplicllin (AM), all of 31 cases showed intermediate resistance only to Cefazolin (CF) but had sensitivity to the rest of them. As a result of performing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serum test and PFGE gene analysis on each 10 pair of Vibrio parahaemolyticus detected concurrently from intake-pipe water and, aquarium water, we couldn't get data showing that they are clearly same species in three kinds of test. In addition, UV sterilization, Ozonization and so on. Based on our research, intake pipe didn't have a problem with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so we are sure that the germ came from supplied fish had caused that kind of contamination. For effective management, UV sterilization or Ozonization which can be handled consistently should be adopted in aquarium.

인진호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the Food-Borne Pathogens)

  • 이종기;서진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27-1232
    • /
    • 2003
  • 천연 보존료의 개발을 위한 식품학적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인진호 추출물을 이용하여 9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Salmonella typhimurium, Vibrio prahemolyticus에 대해 각 용매 추출물에서 고루 항균성을 나타내었고, 물 추출물은 Vibrio prahaemolyticus에 대해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아세톤 추출물의 항균력이 가장 높았다. 인진호 아세톤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MIC)는 Staphylococcus aureus와 Bacillus subtilis에서 20 mg/mL, Vibrioparahaemolyticus에서 40 mg/mL 그리고 Salmonella typhimurium에서는 80 mg/mL로 나타났으며, 측정된 48시간 동안까지 최소저해농도 이상에서는 균이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인진호 아세톤 추출물의 순차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이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Salmonella typhimurium, Bibrio prahemolyticus에서,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Salmuneila typhimurium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헥산 분획물은 Bacillus subtilis에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같은 사실은 인진호 추출물의 항균성 물질은 특정 용매에만 용해되지 않고 다른 용매에도 용해되는 성분으로 단일 물질보다는 여러 성분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천연물에 따라 항균력을 가지는 물질이 다양하여 추출용매의 선정이 항균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찾아내는데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또한 인진호에서 추출된 항균성 물질이 Staphylococcus aureus나 Vibrio parahaemolyticus 등 식중독균의 생육억제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몇 가지 천연 향신료 정유의 Vibrio속 균주들에 대한 항균효과 및 그 휘발성 성분 (Antibacterial Effects of Natural Essential Oils from Various Spices against Vibrio Species and Their Volatile Constituents)

  • 유미지;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38-443
    • /
    • 2006
  • 여름철 식중독의 원인균인 Vibrio속 균주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고자 휘발성과 항균활성이 있는 생강 등 6종의 정유에 대해 항균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정유의 휘발성 성분을 GC와 GC-Ma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Vibrio균에 대해 천연 생강 정유를 처리 하였을 경우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22.5-85.7%의 증식억제율을 나타내었고, 주요 휘발성 성분은 ${\beta}-bisabolene$(35.19%, peak area)와 ${\beta}-sesquiphellandrene$(12.22%) 등으로 확인되었다. Vibrio균에 대해 겨자의 정유를 처리하였을 경우 V. parahaemolyticus에 1,000 ppm 처리 시 100% 증식억제율을 나타내었고, V. vulnificus는 증식억제율이 V. parahaemolyticus 보다 50% 정도 낮게 나타나므로 V. vulnificus가 V. parahaemolyticus 보다 내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겨자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allyl isothiocyanate (92.55%)와 4-isothiocyanato-1-butene(0.53%)으로 확인되었다. Vibrio균에 대해 마늘 정유를 1,000 ppm 처리하였을 때 증식억제율은 V. parahaemolyticus 22.8%, V. vulnificus 01 14.6%, V. vulnificus 02 32.9%로 나타났고,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dimethyl sulfide (49.39%)와 methyl 2-propenyl sulfide(10.09%) 등으로 확인되었다. Vibrio균에 대해 정향의 싹과 잎 및 전체의 천연 정유를 처리하였을 경우 V. vulnificus 02에 처리 시 증식억제율이 60.6-80.3%로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 생강, 겨자, 마늘 정유에 대하여 내성이 다소 강했던 V. vulnificus 02에는 정향의 싹 및 잎 정유가 증식억제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정향 싹의 정유는 eugenol(83.33%)와 ${\beta}-caryophyllene$(7.47%), 정향 잎의 정유는 eugenol(87.46%)과 ${\beta}-caryophyllene$(10.03%), 정향 전체의 정유는 eugenol(86.04%)과 ${\beta}-caryophyllene$(9.71%) 등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생강, 겨자, 마늘 및 정향 등의 휘발성 정유는 Vibrio속 균주에 대해 항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 생장 예측모델과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Vibrio parahaemolyticus의 신속 증균배지 개발 (Development of a Rapid Enrichment Broth for Vibrio parahaemolyticus Using a Predictive Model of Microbial Growth with Response Surface Analysis)

  • 서연희;이소영;김은지;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49-456
    • /
    • 2023
  • 본 논문은 적은 농도로 존재하는 Vibrio parahaemolyticus를 6시간이내에 106 CFU/mL까지 신속하게 배양가능한 배지인 Rapid Enrichment Broth for V. parahaemolyticus(REB-V)를 개발하여 V. parahaemolyticus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Modified Gompertz model과 RSM를 활용하여 V. parahaemolyticus를 신속하게 증균할 수 있도록 첨가 성분을 최적화하였다. 그 결과 2%(w/v) NaCl BPW에 D-(+)-mannose 0.3 g/L, L-valine 0.2 g/L, magnesium sulfate 0.2 g/L를 첨가하였을 때 V. parahaemolyticus의 증균량이 최대였다. REB-V의 배양조건을 pH 7.84와 37℃으로 최적화하였으며, 2%(w/v) NaCl BPW와 비교하여 REB-V의 증균 효율을 확인하기 위해 7시간 증균을 통해 증균량을 평가하였다. 또한 매시간마다 배양액에서 DNA를 추출하였고, 추출한 DNA로 real-time PCR을 수행하여 REB-V의 분자진단법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7시간 동안 2%(w/v) NaCl BPW에서 V. parahaemolyticus는 5.452±0.151 Log CFU/mL까지 증균되었고, REB-V에서는 7.831±0.323 Log CFU/mL의 V. parahaemolyticus가 증균되었다. 최종적으로 REB-V에서 6시간 이내에 106 CFU/mL 이상으로 증균된 것을 확인하였고, REB-V의 증균속도가 2%(w/v) NaCl BPW보다 빠르고 같은 시간 내의 증균량이 2%(w/v) NaCl BPW보다 많았음을 통해 REB-V의 증균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해안에서 분리한 비브리오균의 항생제 감수성 특성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Vibrio spp. Isolated from West Sea)

  • 강창호;오수지;소재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6-149
    • /
    • 2013
  • 비브리오균은 해양 및 하구 환경에서 상재하는 균으로 그람 음성 간균, 호염성, 비포자형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질병과 관련된 균주로는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vulnificus, Vibrio cholera 등이 있다. 매년 어패류의 섭취 등을 통해 식중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6곳에서 패류를 채취하여 비브리오균의 분포도를 모니터링하고, 이들의 항생제 내성을 분석하였다. 총 120건의 패류를 TCBS 평판배지와 API 20E kit 기법으로 동정하였을 때 23.3%의 시료에서 비브리오균이 검출되었다. 이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내성을 16종의 항생제에 대해 분석한 결과 82.1%가 각각 vancomycin과 ampicillin에 대해 내성을 보였고, rifampin (71.4%)과 cephalothin (53.6%)에 대한 내성비율도 다른 항생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감수성은 chloramphenicol (92.9%),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92.9%)과 tetracycline (96.4%)에 대해 가장 높았다. 분리균주들의 약 71.4%가 vancomycin과 ampicillin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항생제에 대해 다중내성을 보였다.

Tryptic Soy Broth와 생선 Homogenate에 첨가한 Ethanol이 Vibrio parahaemolyticus의 증식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 (Inhibi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by Ethanol in Tryptic Soy Broth and Some Fish Homogenates)

  • 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2
    • /
    • 1996
  • Tryptic soy broth(TSB)와 광어, 굴 homogenate에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와 5%의 ethanol(v/v)을 함유한 경우에 ethanol이 V. parahaemolyticus의 증식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이 세균의 최적온도(35$^{\circ}C$)와 저온(-20, 5$^{\circ}C$) 및 고온(45, 5$0^{\circ}C$)에서 검토하였다. 35$^{\circ}C$에서의 V parahaemolyticus의 증식은 TSB와 광어 homogenate에서 빨랐으나 굴 homogenate에서 약간 느렸다. 5%의 ethanol 존재하에서는 TSB와 광어 homogenate에서 긴 유도기를 거친 후에 증식이 시작되었으나 굴 homogenate에서는 저장초기부터 계속 생균수가 감소하였다. 5%의 ethanol을 함유한 것과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액체배지에 $10^{6}$-$10^{7}$ cells/ml의 V. parahaemolyticus를 접종하여 저온(5, -2$0^{\circ}C$)과 고온(45, 5$0^{\circ}C$)에 저장하면서 ethanol에 의한 생존억제 작용을 조사하였다. 5$^{\circ}C$에서 ethanol을 함유한 것과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액체배지에서 시료간의 생균수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으나 -2$0^{\circ}C$에서는 5%의 ethanol 존재하에서 광어와 굴 homogenate에서 V. parahaemolyticus의 생존이 TSB에 비하여 현저히 억제되었다. 45$^{\circ}C$와 5$0^{\circ}C$에서 D-value는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와 5%의 ethanol을 함유한 경우 모두에서 굴 homogenate가 TSB와 광어 homogenate에 비하여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45$^{\circ}C$와 5$0^{\circ}C$에서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각 액체배지에서의 D-value는 5%의 ethanol을 함유한 각각의 액체배지에서의 D-value보다 1.9-3.5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인체 병원성 비브리오 균주간 유전자 계통의 불일치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Phylogenetic Incongruence among Protein Coding Genes of Vibrio Strains Pathogenic to Humans)

  • 조영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83-390
    • /
    • 2013
  • Vibrio cholerae균은 자연적으로 외부 유전자를 받아들이는 능력이 있으므로, 종간 수평적 유전자 전달 작용(LGT)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3종의 비브리오균 사이에서 일어나는 LGT 현상의 정량적 측면들을 분석하였다. V. cholerae N16961, V. parahaemolyticus RIMD2210633, V. vulnificus CMCP6, Escherichia coli K12 substrain MG1655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4개의 유전체에 모두 존재하는 단백질 발현 유전자들의 4개 일조를 결정하였다. 각 조의 4개 유전자의 계통수를 작성하는 분석을 통하여, 다른 조들 간의 계통성의 일치성과 불일치성을 결정하고, 수직적 계통성과 수평적 계통성을 구분하였다. 약 70%의 조에서 계통수가 확정될 수 있었으며, 그 중 75%는 서로 일치하는 계통성을 보였고, 25%는 LGT 계통수를 보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비브리오균의 LGT는 다른 세균 분류균의 속보다는 과단위에서 발생하는 빈도의 LGT계통수를 보였다. 염색체별로 관찰하였을 때, 유전자 제공자별로 LGT가 집중되는 현상이 일부 관찰되었고, V. cholerae 균주의 작은 염색체에서는 염색체의 약 절반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제공자별 LGT 위치들이 집중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런 결과는 유전자 제공자에 따라 선택성이 반복적으로 작용하거나, 대규모의 LGT가 있다는 가설을 수립하게 하였으며, 유전자 제공자별로 LGT 유전형질이 선택성을 띄게 되는 원인과 그 현상이 비브리오균의 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전남 다도해 바다목장 비브리오속 세균의 계절적 분포 (Seasonal Distribution of Vibrio spp. in the Jeonam Archipelago Marine Ranching Ground)

  • 김말남;이한웅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9-235
    • /
    • 2007
  • 2006~2007년 전남 다도해 바다목장 내 9개 정점을 대상으로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비브리오속 세균의 개체수를 측정하고, 군집의 종조성 및 우점종을 분석하였다. 계절별 비브리오속 세균의 개체수는 여름(2007년 6월) 표층수에서 5.4~93.2 cfu㎖-1, 저층수에서 1.0~53.1 cfu㎖-1로 4계절 중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해수온도가 낮은 겨울(2007년 1월)의 경우에는 1개 정점의 표층수에서만 0.2 cfu㎖-1의 비브리오속 세균이 검출되었다. 봄(2007년 4월) 조사에서 표층수는 0~11.9 cfu㎖-1, 저층수에서 0~8.3 cfu㎖-1, 가을(2006년 11월) 조사의 표층수는 0.1~21.4 cfu㎖-1, 저층수에서는 0~2.9 cfu㎖-1의 비브리오속 세균이 검출되었다. 비브리오속 세균 군집의 종조성은 V. parahaemolyticus, V. alginolyticus 및 V. cholerae non-01으로 조사되었으며, V. parahaemolyticus와 V. alginolyticus가 4계절 모두 분리되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V. alginolyticus는 수온이 낮은 겨울에도 대부분의 정점에서 분리되어 다른 비브리오속 세균에 비하여 온도에 덜 민감한 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Temperature-Dependency Urease Activity in Vibrio parahaemolyticus is Related to Transcriptional Activator UreR

  • Park, Kwon-Sam;Lee, Soo-Jae;Chung, Yong-Hyun;Iida, Tetsuya;Honda, Takesh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1호
    • /
    • pp.1456-1463
    • /
    • 2009
  • Vibrio parahaemolyticus possessing urease-positive property is relatively rare, but such strains consistently exhibit the TDH-related hemolysin (TRH) gen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incubation temperature on urease activity expression, using the TH3996 and AQ4673 strains where the enzyme activity is known to be temperature-dependent and -independent, respectively. In the TH3996 strain, $\beta$-galactosidase activity was 4.4-fold lower after $30^{\circ}C$ cultivation than after $37^{\circ}C$ in a ureR-lacZ fusion strain, but temperature dependency was not found in ureD- or nikA-lacZ fusion strains. However, ureR-, ureD-, and nikA-lacZ fusions of the AQ4673 strain was not influenced by incubation temperature. We compared the promoter sequences of ureR between the above two strains. Intriguingly, we detected mismatches of two nucleotides between the two strains located at positions -66 and -108 upstream of the methionine initiation codon for UreR. Additionally, urease activity was not affected by culture temperature at either $30^{\circ}C$ or $37^{\circ}C$ by allelic introduction of the AQ4673 ureR gene into the TH3996 ureR deletion mutant. Taken together, our study demonstrates that the transcriptional factor UreR is involved in the temperature dependency of urease activity, and two nucleotides within the ureR promoter region are of particular importance for the urease activity dependency of V. parahaemolyticus.

해양에서 분리한 Vibrio vulnificus의 면역학적 특성 (Immunological Characterization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Marine Environment)

  • 정초록;전유진;허문수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302-312
    • /
    • 2001
  • Immunoglobulin G was purified by 40% $(NH_4)_2SO_4$ precipitation, DEAE-Sephadex, Sephadex G-150 column chromatographies from rabbit antiserum against V. vulnificus ATCC 27562 O antigen and used for immunological test for V. vulnificus isolates. The profiles of cell lysate total protein and outer membrane protein from the isolates were analyzed by SDS-PAGE and densitometry. The overall profiles in all isolates were similar. Distict protein band was observed in comparison with V. parahaemolyticus. Western Blotting with rabbit Immunoglobulin G against cell lysates and OMP of V. vulnificus isolates showed a strong antigenic response to antigen 66, 60, 54, 48, 33 and 26 kDa which were common to all strains examined. The 26 kDa antigen showed V. vulnificus specific antigen in comparison with Vibrio parahaemolyticus. A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as developed by using rat anti-V. vulnificus ATCC 27562 polyclonal antibodies as capture antibody, a purified rabbit IgG antibody as detector antibody, and goat anti-rabbit IgG-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 as developer antibody. When four V. vulnificus isolates were tested, the reactivity showed from 50 to 70% by sandwich ELIS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