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ation Alarm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초

Mobile Guidance System for Evacuation based on Wi-Fi System and Node Architecture

  • Raju, Timalsina;Kim, Woo Sung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5호
    • /
    • pp.41-56
    • /
    • 2019
  • Recently great loss of life and property is occurring because of fire, natural disaster, earth quake, tsunami and so on. People spend 80~90% of their time indoor environment like office, supermarket, campus. Therefore Indoor navigation and guidelines system became so essential for most of all. Incase of emergency we must be careful earlier, in such a cases 5G kind of new technology may also cannot work. So immediate action and quick routing notification for guidelines and protection is the most. Considering this issue We proposed indoor evacuating guidance system based on microcontroller Wi-Fi board for Indoor APP using mobile. Focusing various kind of technology like, ok google, voice search APP we purposed node architecture based system. When we listen fire alarm while living inside the room. Then to be safe we connect with server and start Arduino UNO+IoT ESP8266 Wi-Fi shield version1-IoT module to store data in MySQL DB server. We make application to escape out from the building up-to the three exits giving information from source point to destination. Our program can send information to the users emergency location and situations. For this when the user get sound or vibration in their mobile device it indicate fire out near by. At that time we update message from Arduino to DB server for the fixed current position inside the building which give routing signal for that fire out location by changing values from 0 to 1. We have user in point 10 where user is near by. Later we detect Wi-Fi signal form Nodemcu as room of each floor and try to connect with user.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ave life of people in short time and find out the shortest path up to nearest exits in the time of emergencies and rescue them.

가속도 응답을 이용한 실물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구조건전성 모니터링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Full-Scale Concrete Girder Bridge Using Acceleration Response)

  • 홍동수;김정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65-17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실물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가속도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상태변화를 경보한 후 그 위치 변화를 검색하는 2단계 구조건전성 모니터링 체계를 제시하였다. 먼저, 2경간 연속 콘크리트 거더 교량인 미호천교를 대상교량으로 선정하였으며, 볼링공을 이용한 강제진동 실험으로부터 동특성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미호천교의 2단계 구조건전성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손상 발생 경보 및 손상 위치 검색 기법들을 선정하였다. 손상 경보 기법으로는 시간영역 특징을 이용하는 자기회귀모델과 주파수응답함수의 상관계수, 주파수응답비보증지수를 선정하였다. 손상 위치 검색 기법으로는 모드변형에너지기반 손상지수법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덤프트럭을 이용한 정적 재하 실험을 통해 2단계 손상 모니터링 체계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청각증강 기술 개발을 위한 청각장애인의 욕구조사: 위험상황 인식 및 의사소통 분야를 중심으로 (A Needs Assessment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for Hearing Augmentation Technology Development: Focusing on Risk Context Awareness Communication)

  • 이준우;이현아;박종미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225-2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인이 경험하는 위험상황과 청각 대체기술로 사용하는 보조기기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청각증강 기술 개발의 적용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청각장애 등급을 판정받은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35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리 및 진동을 인지한 경험이 없는 상황으로 교통수단, 사물, 자연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중 교통수단의 소리와 진동을 인지하지 못한 비율이 높아 일상생활에서 청각장애인이 경험하는 위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청각장애인이 경험한 위험상황은 교통사고, 보행사고, 가정에서의 일상생활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위험상황 인식과 알림을 위한 보조기기로 2G폰/스마트폰, 진동디지털알람시계, 경광등, 진동손목시계의 인지도가 높았으며, 2G폰/스마트폰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넷째, 의사소통을 위한 보조기기로 보청기, 스마트폰, 영상전화기, 인공와우, 2G폰 순으로 인지도가 높았으며, 스마트폰을 사용하였을 경우 만족도와 의사소통 개선정도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청각증강 기술 개발을 위해 고려할 점으로 휴대/착용 편의성, 가격, 동작 정확도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알림 전달 방식은 시각(문자와 빛)을 활용한 알림방식을 선호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위험상황에서 청각장애인의 청각증강 기술 개발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DSDV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위치 정보 시스템 및 사용자 맵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System and User Mapping System using DSDV Routing Algorithm in Ad-hoc Network Environment)

  • 곽종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이동 가능한 관리 대상을소수의 관리자가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위하여 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DSDV(Destination Sequenced Distance Vector) 라우팅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위치 정보 시스템을 구현하며, 또한 이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맵핑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부분에서는 다수의 위치 정보 노드들이 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DSDV 라우팅 알고리즘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구축된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 노드가 사라지면 진동과 같은 경고 시스템을 활성화한다. 하드웨어로 구현된사용자 맵핑시스템은 사용자위치 정보노드(u_LIN, User Location Information Node)라 명명된 장치들이 네트워크를 구축한 뒤, 그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u_LIN이 사라지면 경고 시스템을 활성화 하여 사라진 u_LIN을 찾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의 설계로 구현된 프로토타입으로 성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 사용자 위치 정보 노드 간 1:1 통신을 직선거리에서 수행하였을 때, 약 250m까지 통신이 가능하였으며, 1:N 통신의 경우 약 100m 이내의 거리에서 정상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시스템은 유치원 아동 관리 시스템, 놀이공원 미아 방지 시스템, 관광객 관리 시스템 등 여러 시스템에 매우 유연하게 적용이 가능하여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