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terinary acupuncture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4초

Gold Beads Implants for The Treatment of Canine Chronic Recurrent Otitis Externa

  • Sumano, Hector;Tapia-Perez, Graciela;Gutierrez, Lilia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0-106
    • /
    • 2013
  • A clinical trial was performed to assess clinical efficacy and/or reduction in relapses by gold-bead implantation into acupuncture points in dogs with canine chronic recurrent otitis externa (CCROE). Forty dog-patient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were diagnosed as suffering CCROE, having intact tympanic membranes and a history of recurrences. Treatments were: control group (CG), treat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antimicrobial otic droplets, dosed twice daily for 7 days; and experimental group (GBI- gold bead implants), treated as for CG plus the insertion of 13 gold-bead implants under light anesthesia. Overall per cent assessment of composite clinical progression and progression of individual clinical signs were recorded. Bilateral chronic external otitis was diagnosed in 60% of the cases and left or right otitis in 20% of the cases each. Logistic model for repeated measures analysis showed that GBI induced a better clinical recovery as far as lesion score of some clinical signs is concerned. The overall percent cures of each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 McNemar analysis revealed that higher number of relapses was observed in CG patients as compared to the GBI (P < 0.05). In particular during these days, lesion on the pinna showed in odd ratios analysis a 7:1 ratio (recurrence CG:GBI) and ear wax/pus (4:1) from D42 to D365. It is concluded that gold-bead implantation into acupuncture points improves resolution of some clinical signs and greatly reduce relapses in CCROE affected dogs after 1 year follow-up (98.75%).

간유(肝兪)(BL18)에 대한 자침 및 뜸 요법의 개 간 손상 회복에 미치는 효과 (The Efficacy of Needle-Acupuncture and Moxibustion at BL18 on Hepatic Injury in Dogs)

  • 전형규;이창석;이정연;이상은;송근호;박배근;조성환;김덕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14
    • /
    • 2007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recovery effect of needle-acupuncture (needle-AP) and moxibustion treatments at Gan Shu (BL18) on $CCl_4$ induced hepatic injury in dogs, Total 9 clinically healthy experimental dogs (1 to 2 years old, 2.3-5.3kg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control (3 dogs), needle-AP (3 dogs) and moxibustion (3 dogs) groups, respectively. Hepatic iniw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CCl_4$ (olive oil : $CCl_4=1:1,\;1ml/kg$, once/day). As far the treatments in each group,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at all after induction of the hepatic injury till the end of experiment. Needle-Af group was treated by AP at BL18 (once/day, 20 minutes) from the next day of induction of the hepatic injury for 11 days. Moxibustion group was also treated with commercial moxa at BL18 (once/day, 20minutes) for 11days. The changes of the serum alanine transaminase(ALT), aspartate transaminase(AST) and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GGT)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on pre, 0, 1, 3, 5, 7 and 11 days after hepatic injury, respectively.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also investigated in the liver tissues on day 11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In needle-AP group, they showed significant lower values on the 1st (p<0.05) and $3^{rd} day (p <0.05)$ in serum ALT activities, and the $11^{th}$ day in serum GGT activitie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respectively. However, the significances were not detected in serum AST activities of needle-AP group by comparison with those of control group. In moxibustion group, they showed significant low values on the $1^{st}(p<0.05)$, 3rd day (p<0.05) and $5^{th}$ day (p<0.05) in serum ALT activitie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respectively. However, significances were not detected in serum GGT and AST activities of moxibustion group by comparison with those of control group.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e significant low values were found on $1^{st}\;and\;3^{rd}$ day in serum ALT activities (p<0.05), and $3^{rd}\;and\;5^{th}$ day in serum GGT activities (p<0.05) in needle-AP group, compared by those of moxibustion group,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marked recovery findings of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experimental groups were found, compared by those of control group: mild vacuolar degeneration and necrosis findings in needle-AP group, and moderate vacuolar degeneration and necrotic findings in moxibustion group were found, in contrast to severe changes such as accumulation of bile juice, vacuolar degeneration and necrotic findings observed in control group. In conclusion, needle-AP and moxibustion treatments at BL-18 were effective for the recovery for $CCl_4$ induced hepatic injury and needle-AP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moxibustion in dogs.

개에서 경혈의 조직학적 관찰 (Histological Observation of Canine Acupoints)

  • 김명철;남치주;김무강;김종만;김덕환;이경렬;송치원;박창식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2-10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의 경혈에 관한 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는 것이다. 개(4마리)에서 내관(PC06), 간유(BL18), 신유(BL23) 및 방광유(BL28)에 1 cm 깊이로 자침을 실시하고, 경혈주위의 조직을 관찰하였다. 각 경혈의 주위조직을 현미경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신경섬유, 소혈관, 및 근방추체들은 인근 지점에서의 비경혈, 또는 피부, 피하조직 및 근육과 같은 부위에서의 비경혈에서도 가끔 발견 되지만, 모든 예의 침의 선단 주위에서 신경섬유, 소혈관, 및 근방추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신경섬유, 소혈관 및 근 방추체는 잠재성 경혈 수용체일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된다.

요크셔테리어에서 발생한 난소 유두모양샘암종 (Ovarian Papillary Adenocarcinoma in a Yorkshire Terrier Dog)

  • 조수경;강병택;박철;유종현;정동인;임채영;이종환;우응제;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51-254
    • /
    • 2007
  • 10년령의 중성화되지 않은 암컷 요크셔테리어가 심한 복부확장과 출혈성 삼출물에 대한 평가를 위해 내원하였다. 복부 방사선과 초음파 검사상에서 삼출물과 무에코의 낭성 구성물 들을 지닌 복강 내 종괴가 확인되었다. 복수의 세포검사에서 공포화된 세포질을 지닌 종양성 외피 세포들과 현저한 핵들이 관찰되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잘 분획되고, 이질성의 큰 종괴가 복강 내를 채우고 있었다. 부검 상에서는 우측 난소로부터 유래한 큰 종괴가 관찰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는 종양성 외피세포들로 이루어진 유두모양 구조들로 종괴가 구성되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환견은 임상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들에 근거하여 유두모양의 악성 난소 샘암종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면역매계성 혈액장애를 가진 소동물에서 귀비탕의 사용 (The Use of Gui-Pi-Tang in Small Animals with Immune-Mediated Blood Disorders)

  • ;;김민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1-184
    • /
    • 2009
  • 면역 매개 용혈성 빈혈(IMHA)은 소동물의 빈혈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이고, 면역매계 혈소판 감소증(IMT) 또한 소동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면역관련 질환이다. 스테이드제나 다른 면역억제제를 이용한 면역억압이 IMHA와 IMT의 일차적인 치료법이다. 그러나 적절한 약물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몇몇 동물은 치료에 반응이 없어 다른 면역억제제나 대체의학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IMHA로 진단 된 8살의 중성화한 샴 고양이와 IMT로 진단된 8살의 킹챨스 스파니엘이 전통수의학진료를 위해 동물병원에 의뢰되었다. 두 동물 모두 스테로이드제나 다른 면역억제제에 반응이 없었다. 그래서 전통한약요법으로 귀비탕을 두 동물에게 적용하였다. 귀비탕 적용 한달 후 고양이의 농축적 혈구용적과 개의 혈소판 수치에 현저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귀비탕을 먹이기 시작한 후 4개월 후에도 고양이의 농축 적혈구 용적이 정상으로 유지되었으며, 18개월 후에 측정한 개의 혈소판 수 또한 정상으로 유지되었다. 이 증례로부터 면역혈액질환이 있는 소동물에 있어 귀비탕은 대체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reatment of Congenital Elbow Luxation using the Ilizarov Technique of Distraction Osteogenesis in a Dog

  • Kim, Byung-ju;Han, Kyung-Jin;Hong, Young-chae;Park, Ji-young;Jeong, Seong-Mok;Lee, Hae-Beom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7-290
    • /
    • 2017
  • A 6-month-old, 4.1 kg female Dachshund dog presented with intermittent non-weight bearing lameness of the right thoracic limb. Radiographs revealed caudolateral luxation of the right radial head and a shortened right ulna compared to the contralateral limb. Bone lengthening by distraction of the ulna using the Ilizarov technique was performed following ulnar osteotomy. The rate of distraction was 1.5 mm per day, adjusted a total of 3 times daily for a total distraction distance of 10 mm. The Ilizarov fixator was removed four weeks after surgery. The patient showed knuckling due to radial nerve injury that occurred during limb-lengthening. Corrective osteotomy was performed using a plate and pin for the luxation and deformity of the right radial head. The luxation of the radial head was successfully reduced following surgery. However, the knuckling persisted after surgery. Rehabilitation for radial nerve injury was performed using heat therapy, massage, a passive range of motion exercises, water treadmill exercises,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leash-walking, and acupuncture. 15 months after surgery, the patient showed satisfactory weight-bearing ambulation without recurrence of lameness. The use of the Ilizarov technique is a good surgical option for the treatment of a patient with congenital elbow luxation.

대추혈(大椎穴) 및 신유혈(腎兪穴)에 대한 전침 레이저자극이 개의 혈액학적 변화와 내분비물질의 혈중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and laser at Da-zhui and Shen-shu on hematologic changes and blood concentration of endocrine substances in dogs)

  • 조용성;배춘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986-994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a)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blood chemistry and (b) to examine the secretion trend of endocrine substances in a dog model after electroacupuncture and laser stimulation at different time period(9 to 11a.m. and 6 to 8p.m.). Two acupuncture points ; Da Zhui(GV-14) and Shen Shu(BL-23) were electroacupunctured for 20 minutes with 2Vol, 20Hz and irradiated for 5 minutes with 8,000Hz. Before stimulation and after a lapse of time(10-minutes, 30-minutes and 60-minutes) all dogs were checked the following parameters ; cortisol, ACTH, RBC, hemoglobin, hematocrit, WBC, Ca, P, SGPT, SGOT and creatinine. The results were as follow : The levels of cortisol and ACTH have been increased 10 minutes after the stimulation of the electroacupuncture and laser. The higher levels of cortisol and ACTH have been decreased to keep the normal levels from 30 minutes after the stimulation of the electroacupuncture and laser. The RBC, hemoglobin, hematocrit and WBC showed the physiological phenomena in the electroacupuncture and laser stimulation. In sero chemical analysis, calcium, phosphate, SGOT, SGPT and creatinine levels were within normal physiological ranges.

  • PDF

Acupuncture in Practical Veterinary Medicine

  • 김갑수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3권1호
    • /
    • pp.38-43
    • /
    • 1997
  • 동서양을 막론하고 최근들어 수의침술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입장을 고수하려는 서양의 학자(school medicine)들 중에서 종양의학에 관심을 갖는 것 뿐만아니라, 환축을 갖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부작용이 심한 약물치료로 부터 벗어나 좀더 자연적인 방법으로 환축을 최소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치료법을 찾으려는 노력의 댓가인 것이다. 본 내용에서는 침술의 근본이론인 동양철학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상기시키고 1991-1994년 사이에 Berlin소재 본인 근무하던 대학병원과 개인병원에서 직접 치료했던 말과 소동물(애완견)을 증례별로 정리하였다. 도표(Table 1-5)에서 알 수 있듯이 아직도 그 작용기전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실제임상에서 침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약물의 투입만을 고수하려는 우리의 수의임상과는 대조적으로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탈피하려는 서양의 움직임이 오히려 최근에 들어서는 수의침술을 배우기 위하여 유럽이나 구미지역으로 유학을 떠나야 하는 실정으로 전도되어 버렸다. 본 내용에서는 자세하게 다루지는 못하였지마는 모든 환자들을 음양오행으로 분석을 하여 질환의 원인을 구명하고 진단, 치료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임상학적으로나 전통적인 서양의학적으로는 같은 질병이라도 동양의학적으로는 환축의 성격이나 감정표현방식의 차이에 따라서 전혀 다른 진단과 치료방법을 선택하여야 하는 경우가 종종 나타난다. 이러한 동양의학의 질서를 이해할 수 없는 서양의학자들에게 침술을 단지 하나의 효과만으로 파고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을 보다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길은 우리 스스로 동양철학을 보다 더 많이 이해하고 침술이론의 허실을 분석하여 체계적이며 이론적인 수의침술발전의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수의침술의 생리적인 기전을 현대의학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고 증명하는 노력이 좀더 많이 기울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경락추적을 위한 피내 알시안 블루 주입방법 (Intradermal Alcian-Blue Injection Method to Trace Acupuncture Meridians)

  • 성백경;김민수;오가이;강대인;소광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12
    • /
    • 2008
  • 목적 : 본 논문에서는 경락을 추적하기 위한 피내(皮內) 알시안 블루(Alcian blue) 염색 방법을 기술한다. 방법 : 1% 알시안 블루 용액을 31게이지 바늘이 달린 0.5mL 인슐린 주사기를 사용하여 경혈 지점에 피내 주사한 후 실체 현미경하에서 수술, 관찰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조직을 레이저 공초점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 알시안 블루로 염색되고 피하로 이어지는 실 모양 구조물을 관찰하였다. 이 조직 내에서 특징적인 막대모양 핵 배열 및 $1-2{\mu}m$크기의 데옥시리보핵산 입자가 관찰되었다. 또한 경혈 조직 내에서 풍부한 모세혈관총 및 말초신경 말단, 그리고 약 $300{\mu}m$크기의 소체형 구조물을 확인하였다. 결론 : 경혈 지점의 피내에서 발견된 특징적 실 모양 구조물 및 소체형 구조물은 각각 표층 봉한관 및 소체로 판단된다.